동아시아에서 쓰는 한자와 한글과 비교
질문
중국과 전체 동아시아 에 있는 한자는 총 몇자입니까?
lee****
어떤사람이 10만자라고 하고 또 5만자라고 하는데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몇개인지 갈켜주세요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답변
떠돌이검객(4kura1004)님의 답변입니다.
채택답변수3,446 2009.11.29. 17:14
정확한 갯수는 알 수 없으나 그 동안 발간되었던 자전에 나오는 수에 의존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 BC 1500년 갑골문자(甲骨文字) : 약 4000 자
● 100년 설문해자(說文解字) : 9,353 자
- 동한(東漢)의 허신(許愼)이 화제(和帝) 때인 100년에 완성한 한자해설집
● 543년 옥편(玉篇) : 약 19600 자
- 양(梁)나라 남조(南朝) 고야왕(顧野王)이 엮음
● 1716년 강희자전(康熙字典) : 47,035 자
- 청(淸)나라 때의 성조(聖祖) 강희제(康熙帝)의 칙명으로 역음
● 1914년 중화대자전(中華大字典) : 48,200 자
● 1973년 중문대자전(中文大字典) : 49,905 자
● 1986년 한어대자전(漢語大字典) : 54,665 자
● 1994년 중화자해(中華字海) : 87,019 자
● 베이징(北京) 궈안(國安)자문설비공사의 한자뱅크 : 91,251자
현재 각 나라에서는 이중 필수 한자로 지정하여 학교에서 배우고 있다.
각 나라 별 필수 한자 수는 다음과 같다.
● 한국 : 1,800자(중학교 900자, 고등학교 900자)
● 북한 : 1,500 자
● 중국 : 2,252 자
- 64년에 발표된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
● 일본 : 1,945 자
● 대만 : 4,808 자
참고적으로 한국 표준 코드와 호적신고 시 사용 한자는 다음과 같다.
● KSC5601로 불리는 컴퓨터 표준 코드에 수록된 한자는 4888자
● 행정전산망에서 호적신고에 쓸 수 있는 한자는 2731 자
- 대법원은 확정하여 91년 4월 1일 출생신고 때부터 시행하게 하였다
참고로 중국에 15만개 한자를 수록한 한자사전도 있습니다.한자는 시대에 따라 개수가 점점 더 늘어날것입니다.
****************************************************************
나의 의견 : 세계화시대에 문화와 교육은 계속 진보되고 발전되고 새로워 질 겁니다.... 세계의 문화와 정보를 한글 자음 모음 가지고 모두 표기 할 수 있어도 지금 현재로 봐서는 중국의 한자로는 불가능 합니다.. 문명은 새롭게 계속 창출 되는데 글과 문자가 따라주지 못한다면 나라는 디프레이션에 빠집니다. 이연구를 학자들은 계속 해야 할 것입니다.. 시민들의 행복과 또는 안보차원에서 말입니다.
또한 한자는 기초적인 자연에서 얻은 글자 입니다.. 그러나 현대 교육과 문화는 인성의 감성 느낌의 마음을 표현하고 세분화된 이큐(EQ)의 감성을 즐기는 시대가 왔습니다... 한글로는 모두 표기 할 수 있습니다... 단지 감성을 분별하는 연구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을 모두 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지만 앞으로 무궁무진한 느낌들을 표현하고 공감 할 수 있는 시대가 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주 자연도 새롭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자연에 적응하는 자가 살아 남습니다.
중국과 전체 동아시아 에 있는 한자는 총 몇자입니까?
lee****
어떤사람이 10만자라고 하고 또 5만자라고 하는데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몇개인지 갈켜주세요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답변
떠돌이검객(4kura1004)님의 답변입니다.
채택답변수3,446 2009.11.29. 17:14
정확한 갯수는 알 수 없으나 그 동안 발간되었던 자전에 나오는 수에 의존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 BC 1500년 갑골문자(甲骨文字) : 약 4000 자
● 100년 설문해자(說文解字) : 9,353 자
- 동한(東漢)의 허신(許愼)이 화제(和帝) 때인 100년에 완성한 한자해설집
● 543년 옥편(玉篇) : 약 19600 자
- 양(梁)나라 남조(南朝) 고야왕(顧野王)이 엮음
● 1716년 강희자전(康熙字典) : 47,035 자
- 청(淸)나라 때의 성조(聖祖) 강희제(康熙帝)의 칙명으로 역음
● 1914년 중화대자전(中華大字典) : 48,200 자
● 1973년 중문대자전(中文大字典) : 49,905 자
● 1986년 한어대자전(漢語大字典) : 54,665 자
● 1994년 중화자해(中華字海) : 87,019 자
● 베이징(北京) 궈안(國安)자문설비공사의 한자뱅크 : 91,251자
현재 각 나라에서는 이중 필수 한자로 지정하여 학교에서 배우고 있다.
각 나라 별 필수 한자 수는 다음과 같다.
● 한국 : 1,800자(중학교 900자, 고등학교 900자)
● 북한 : 1,500 자
● 중국 : 2,252 자
- 64년에 발표된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
● 일본 : 1,945 자
● 대만 : 4,808 자
참고적으로 한국 표준 코드와 호적신고 시 사용 한자는 다음과 같다.
● KSC5601로 불리는 컴퓨터 표준 코드에 수록된 한자는 4888자
● 행정전산망에서 호적신고에 쓸 수 있는 한자는 2731 자
- 대법원은 확정하여 91년 4월 1일 출생신고 때부터 시행하게 하였다
참고로 중국에 15만개 한자를 수록한 한자사전도 있습니다.한자는 시대에 따라 개수가 점점 더 늘어날것입니다.
****************************************************************
나의 의견 : 세계화시대에 문화와 교육은 계속 진보되고 발전되고 새로워 질 겁니다.... 세계의 문화와 정보를 한글 자음 모음 가지고 모두 표기 할 수 있어도 지금 현재로 봐서는 중국의 한자로는 불가능 합니다.. 문명은 새롭게 계속 창출 되는데 글과 문자가 따라주지 못한다면 나라는 디프레이션에 빠집니다. 이연구를 학자들은 계속 해야 할 것입니다.. 시민들의 행복과 또는 안보차원에서 말입니다.
또한 한자는 기초적인 자연에서 얻은 글자 입니다.. 그러나 현대 교육과 문화는 인성의 감성 느낌의 마음을 표현하고 세분화된 이큐(EQ)의 감성을 즐기는 시대가 왔습니다... 한글로는 모두 표기 할 수 있습니다... 단지 감성을 분별하는 연구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을 모두 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지만 앞으로 무궁무진한 느낌들을 표현하고 공감 할 수 있는 시대가 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주 자연도 새롭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자연에 적응하는 자가 살아 남습니다.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