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치고 살면 좋을 말(일)(첫 회)>

<고치고 살면 좋을 말(일)(첫 회)> 

==

 욕먹을 각오하고 이 글을 쓴다.

.

“ 우리 ? ”

...

첫 예로 :

오늘 우연히 한 기사, 독도 문제가 있어 이의 표현을 눈여겨보았다.

== 정광태 씨의 독도 노래 가사에

...

“ 울릉도 동남쪽 뱃길 따라 87K 

 외로운 섬 하나 새들의 고향 

 그 누가 아무리 자기네 땅이라고 

 우겨도 독도는 우리 땅” == 이라고 하였듯 

...

나는 이 말을 들을 때 마다 느끼지만 

왜 “한국 땅이라 하지 않고 “독도는 우리 땅” 이라고 하는가 한다.

둘은 듣는 느낌이 다르다. 

.

작사의 의도가 일본이 늘 자기 땅이라고 우기니 

그렇지 않다는 걸 알리기 위해서 만든 것이 아닌가. 

“한국 땅”이라고 명확히 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

둘째 예로 :

자녀를 두고 “우리 애들” 한다. 이는 좋다.

그런데 “우리 남편” “우리 마누라” 는 좋지 않다.

 “나의 남편” “나의 마누라”라고 쓰야 한다.

.

이는 부인을 여럿 둔 가정(다처제)에서 한 부인이 남편을 부를 때 쓰는 호칭이다.

반대로 남편이 여럿인 가정(다부제)에서 한 남편이 부인을 부를 때 쓰는 호칭이다. 

.

나이 많은 분에게 자기의 부인을 지칭하면서 

우리 집 사람이란 표현 보다는 저희 집사람이 더 경어적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관습상 우리 집사람으로 쓰고 있다.

엄격히 말 하면 나의 집 사람이 옳은 표현이 된다.

==

셋째 예로 :

한 단체에 속한 직원이 일반적으로 관행이다 싶은 일이지만 

어떤 일을 잘 못하여 이에 대한 책임을 묻기 시작하랴 치면 

 그 일이 본인이 잘 못 한 건 시인 하면서도 

그건 나만이 그런 것이 아니고 우리는 다들 그렇게 하고 있는 것이라 

개인적으로 책임지는 건 부당하다고 하는 경우가 있다.

.

 관행이든 어떻든 잘 못이 있으면 책임을 질 사람이 있어야 하고

 잘 못을 시인하면서 책임은 지지 않겠다는 건 옳지 않은 자세다.

.

만일 책임 질 사안이 오랜 관행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개인에게만 책임을 묻기가 좀 불합리하다면 

이런 건 법정에서 법관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고 본다.

.

다만 그 행위가 그 단체 이름으로 행해졌다면 

당연히 그 단체의 책임자도 동시에 책임을 져야 한다.

누구든 “우리”라는 울타리로 책임을 회피 하지 말라는 것이다. 

.

지금의 한국의 대통령 선거를 앞둔 예비 주자들 간의 다툼은 말 할 것도 없고

항간에 크게 문제화 되고 있는 “대장동” 사건을 보면 충분한 실례가 될 것이다.

.

국어 학자이자 독립운동가 주시경 선생은 

“말이 오르면 나라가 오르고 말이 내리면 나라가 내리나니”라는 말을 했다.

우리 스스로 우리말을 아끼고 썼을 때 우리의 국격도 오른다는 얘기다. 

.

반대로 우리 스스로 우리말을 천시하고 남의 나라 말 쓰기를 즐긴다면 

그 어떤 외국인도 우리를 존중하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우리나라의 발전도 기대할 수 없지 않을까?

.

국가의 질은 국민의 질을 넘지 못한다! 

==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십시오!

==== 의천 


좋아요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열린마당톡 의 다른 글

사진으로 보는 Ktal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