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

431." 예술의 기억은 또 다른 언어다. " 한강의 문학과 발레가 만나는 자리에서..

2025.11.19


15,나는여행사를통해북유럽을돌다폴란드의아우슈비츠수용소를방문했다.그때만해도여행의즐거움에아무생각없이들떠있었다.버스창밖으로스치는유럽의풍경과초콜릿향기,웃음소리속에서이게바로낭만이지!”하며신나게다녔다.그런데일정표에있던, ‘아우슈비츠수용소방문인생의방향을바꿔놓을줄은몰랐다.


철문위에는노동이너희를자유케하리라(ARBEIT MACHT FREI)”라는문구가걸려있었고,안에는가스실의차가운벽과빈틈없이긁힌손톱자국이남아있었다.그것은사람들이마지막숨을몰아쉬며벽을향해남긴절규의흔적이었다.그곳엔사람의흔적이아니라사라진생명의냄새가남아있었다.나는앞에서한동안숨을없었다.여행의들뜬마음은순식간에사라지고,인간의잔인함이가슴을쳤다.그날이후로나는고통을예술로기억해야한다는생각을품었다.


,가족과함께베트남찾았을때도비슷한감정을느꼈다.평화로운해변과휴양지로유명한그곳한편에는베트남전당시의코코넛 감옥포로수용소가남아있었다.녹슨철창과고문도구,벽에남은자국들을마주하며나는또다시인간의잔혹함과마주했다.예술은고통을외면하지않고,그것을기억으로바꾸는일이라는것을그때깨달았다.


한강의소년이 온다를 읽으며 그 감정은 다시 되살아났다. “죽은 자들이 산 자들을 어떻게 도울 수 있는가.”그 문장은 내 발레 인생의 주제와 닮아 있었다.한강 작가는 동호라는 어린 중학생 인물을 통해 광주 항쟁의 비극을 담담히 그려내며,우리가 잊고 싶어 했던 고통을 다시 마주하게 한다.그는 세상을 떠난 이들의 목소리를 빌려,우리가 어떤 삶의 진실을 잊지 말아야 하는지를 묻는다.


나 또한 매년 열일곱 살의 유관순을 발레로 무대 위에 불러낸다.꽃다운 나이에 세상을 향해 외쳤던 그녀의 목소리를,발끝과 몸짓으로 되살려내기 위해서다.내게 그 무대는 단순히 슬픔을 재현하는 자리가 아니다.죽음이 다시 생명으로,고통이 다시 예술로 변하는 순간이다.


한강의흰색은단순한밝음이아니다.그것은상실과비어있음,그리고죽음의잔향을품은색이다.나는색을발레의튀튀와겹쳐보았다.지젤의윌리,백조의호수의백조들,바야데르의섀도우.죽은여인들의영혼이의상을입고군무를이루는장면들이다.이것이바로흰색의발레블랑,죽음과슬픔,그리고초월의아름다움을품은무대다.흰색은순수의상징이아니라슬픔을통과해얻은빛이었다.


한강의작품을읽다보면문장은막히고어둡다.읽다보면역시무게를함께짊어지게된다.그러나그것은벼가익으며고개를숙이는무게와같다.깊이생각한다는세상을조금낮은자세로바라본다는뜻이니까.발레에서어깨를눌러라,몸을짓눌러라라고하듯,삶도바닥을눌러야진짜부드러움이나온다.힘을주되부드럽게,고통을안고아름답게.예술은바로긴장속에서태어난다.


책을읽는일은내게다른발레의연습이다.움직임이아니라생각으로춤추는시간이다.예술이란상처를기억으로,기억을춤으로바꾸는행위다.작업을하는사람들이바로예술가이며,그들의손끝에서죽은자들의이야기는다시살아난다.예술은오늘도우리마음을비추는하나의거울이다.


 www.koadance.orgwww.balletjean.com

진발레스쿨

3727 West. 6thStreet #607. LA CA 90020

Tel: 323-428-4429


#예술의기억은또다른언어다#한미무용연합#진발레스쿨#진최의무용이야기#발레블랑
#TheLanguageOfArtAndMemory #KOADanceFederation #JeanBalletSchool #JeansDanceStory #BalletBlanc

좋아요
태그
인기 포스팅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