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서방의 세상이야기(구시화문(口是禍門)이란?)
===
입(口)이란 무엇인가?
입은 음식물이 들어가는 입구이다.
입을 통해서 밥도 먹고 과일도 먹고 고기도 먹고 술도 마신다.
음식물이 입에 들어가야 사람은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고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사람이 먹는 음식물이 어디서 왔는가를 따져보면 땅(地)에서 나온 것들이다.
인간이 먹는 음식물이란 땅의 지기(地氣)를 받고 자란 것들이다.
이렇게 놓고 보면 입은 지기가 들어가는 곳이다.
==
그러면 천기(天氣)가 들어가는 곳은 어디인가?
코(鼻)이다.
사람은 코를 통해서 산소를 흡입 한다.
산소는 바로 천기가 아닌가,
천기를 흡입하는 코와 지기를 섭취하는 입의 중간에 있는 부위가 바로 인중(人中)이다.
사람의 가운데란 뜻이다.
이 부위에 인중(人中)이라는 이름을 붙인 이유는
천기와 지기의 중간이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인중위쪽으로는 구멍이 2개씩이다.
콧구멍도 2개, 눈도 2개, 귓구멍도 2개이다.
2라는 숫자는 동양의 상수학(象數學)에서 음(陰)을 상징 한다.
그런데 인중 밑으로는 구멍이 한 개 씩 이다.
입도 1개, 항문도 1개, 요도(尿道)도 1개, 산도(産道)도 1개이다.
1 이라는 숫자는 양(陽)을 상징 한다.
인중을 중심으로 위로는 음이
아래로는 양이 배치되어있는 상항이다.
여기서 입의 위치를 다시 살펴보면 인중 아래로
양(陽)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인체의 양(陽)은 입에서부터 비롯된다.
달리표현하면 인간 만사가 입에서부터 시작된다는 의미다.
입에서 먹을 것과, 복도 들어오지만 화(禍)도 들락거리는 문(門)이다.
말을 잘못하면 재앙이 들어온다.
그래서 구시화문(口是禍門) 이라는 말이 나왔다.
입은 화(禍)가 들어오는 문(門)이라는 의미이다.
고금의 역사를 보면 말로인해서 재앙이 초래된 경우가 많다.
심심창해수(心深滄海水) 구중곤륜산(口重崑崙山)이라는 말이 있다.
마음 씀씀이는 창해수처럼 깊어야하고 입은 곤륜산처럼 무거워야한다 라는 말이다.
<조용헌>
=== 이상 펌 글 ===
===
잊지 않고 살면 좋은 말
구시화지문(口是禍之門) : 입은 재앙을 불러들이는 문이요
설시참신도(舌是斬身刀) : 혀는 몸을 자르는 칼이로다.
폐구심장설(閉口深藏舌) : 입을 닫고 혀를 깊이 감추면
안신처처우(安身處處宇) : 가는 곳 마다 몸이 편안하리라.
==
나에게 가장 귀한 건
얼마큼인지도 모르는 시간이랍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가 되시기 바랍니다.
입(口)이란 무엇인가?
입은 음식물이 들어가는 입구이다.
입을 통해서 밥도 먹고 과일도 먹고 고기도 먹고 술도 마신다.
음식물이 입에 들어가야 사람은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고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사람이 먹는 음식물이 어디서 왔는가를 따져보면 땅(地)에서 나온 것들이다.
인간이 먹는 음식물이란 땅의 지기(地氣)를 받고 자란 것들이다.
이렇게 놓고 보면 입은 지기가 들어가는 곳이다.
==
그러면 천기(天氣)가 들어가는 곳은 어디인가?
코(鼻)이다.
사람은 코를 통해서 산소를 흡입 한다.
산소는 바로 천기가 아닌가,
천기를 흡입하는 코와 지기를 섭취하는 입의 중간에 있는 부위가 바로 인중(人中)이다.
사람의 가운데란 뜻이다.
이 부위에 인중(人中)이라는 이름을 붙인 이유는
천기와 지기의 중간이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인중위쪽으로는 구멍이 2개씩이다.
콧구멍도 2개, 눈도 2개, 귓구멍도 2개이다.
2라는 숫자는 동양의 상수학(象數學)에서 음(陰)을 상징 한다.
그런데 인중 밑으로는 구멍이 한 개 씩 이다.
입도 1개, 항문도 1개, 요도(尿道)도 1개, 산도(産道)도 1개이다.
1 이라는 숫자는 양(陽)을 상징 한다.
인중을 중심으로 위로는 음이
아래로는 양이 배치되어있는 상항이다.
여기서 입의 위치를 다시 살펴보면 인중 아래로
양(陽)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인체의 양(陽)은 입에서부터 비롯된다.
달리표현하면 인간 만사가 입에서부터 시작된다는 의미다.
입에서 먹을 것과, 복도 들어오지만 화(禍)도 들락거리는 문(門)이다.
말을 잘못하면 재앙이 들어온다.
그래서 구시화문(口是禍門) 이라는 말이 나왔다.
입은 화(禍)가 들어오는 문(門)이라는 의미이다.
고금의 역사를 보면 말로인해서 재앙이 초래된 경우가 많다.
심심창해수(心深滄海水) 구중곤륜산(口重崑崙山)이라는 말이 있다.
마음 씀씀이는 창해수처럼 깊어야하고 입은 곤륜산처럼 무거워야한다 라는 말이다.
<조용헌>
=== 이상 펌 글 ===
===
잊지 않고 살면 좋은 말
구시화지문(口是禍之門) : 입은 재앙을 불러들이는 문이요
설시참신도(舌是斬身刀) : 혀는 몸을 자르는 칼이로다.
폐구심장설(閉口深藏舌) : 입을 닫고 혀를 깊이 감추면
안신처처우(安身處處宇) : 가는 곳 마다 몸이 편안하리라.
==
나에게 가장 귀한 건
얼마큼인지도 모르는 시간이랍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가 되시기 바랍니다.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