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서방의 세상이야기(절(寺)에 안 가는 이유(下))
==
전편의 끝
{그래서 하루는 스님을 뵙고 내가 나이가 있는데 나도 출가를 할 수가 있는지 물어보았다.}에 이어 가겠다.
--
해서 스님이 되면 나는 어떻게 되고 가족은 어떻게 되는 것이며 무엇을 얻자고 이런 모험을 시작해야 하는 가하는 마음,
지금은 무엇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지 하는 등 정말 심연의 나를 찾고자 무척 번민에 들어갔다.
스님이 된다면 가솔들에 대한 일종의 배신이 아닌가,
나만 좋은 곳(?)을 찾아가려고 하니 말이다....
다들 이렇게 저렇게 살아가는데 왜 우리 아버지만 그러실까 하는 생각,
나 하나 믿고 낯설고 물 설은 곳, 말까지 통하지 않는 곳에 대려와 남겨두고 떠나가는 남편을 어떻게 생각할까 등 정말 무책임이란 말 그 이왼 할 말이 없을 것 같았다.
승려생활을 하면서 가족들을 꾸려갈 수는 없는 것일까?
원래 난 돈 하고는 먼 사람, 그저 하루 세끼 먹고 건강만 지켜나가면 모든 게 잘 풀리는 것으로 아는 돈과는 먼 나....
돈을 귀하게 생각 했더라면 아마도 서울에 작은 빌딩 하나 정도는 족히 만들 수 있었던 자리에 있었지만 그런 건 나와는 아주 먼 남의 얘기로 살아온 나......
나의 선친은 G 4 라이트 하나 남겨두시고 가셨다.
생전 아버님의 말씀은 “ 경우대로 살아라! 나 잘 살려고 남 눈물 흘리게 하면 언젠가는 난 피 눈물을 흘려야 한다.”
어떤 땐 용돈이 생겨 드릴라 치면 “네가 월급 때도 아닌데 무슨 돈이 있냐. 공무원이 돈을 함부로 쓰면 나라가 망한다.”
이렇게 살아온 나이기에 스님 짓을 하면서 가솔들을 끌고 간다는 것도 말이 안 되는 소리, 그럴 바엔 스님 될 생각을 말아야지 하고는 이리 저리 생각을 하다가 일단은 마음먹은 것이니 시작을 해보고 다시 정하면 되지 않을까 하는 잘 못된 마음으로 굳어졌다.
이래서 떠나기로 마음먹고 스님이 정해준 전북 익산 백담사의 한 암자를 가게 되었는데 몇 가지 문제가 50이 넘으면 정상적인 조계종 산하의 승려가 될 길이 없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스님에게 내가 돌아올 때 승복을 입고 와야 하는지 평복을 입고 와야 하는지 물어보았더니 승복을 내가 한 벌 사서 입고 오라는 것이었다.
여기서 또 다른 새로운 갈등이 일어났다. 이런 저런 생각 속에 그 암자에 가서 한 달 정도 있다가 이게 아니다 싶어 다시 오긴 하였지만,
어쩌면 새벽에 일어나 혼자서 이런 저런 지난날과 앞으로 내가 가야 할 길을 생각하니 이건 완전히 잿빛 구름 속으로 내가 나를 가두어 버렸다.
이 길이 아니면 불교를 깊이 알 수 없단 말인가?
아니다, 너무 이기적이지 않은가, 가족을 버리고 누굴 위해? 꼭 이렇게 해야 하나?
해서 다시 와선 전에 하던 일상의 밥벌이를 계속하면서 한국의 주요 승가대학에 통신강의로 법사 공부를 시작해 근 2년을 공부를 하는 과정에
어느 스님의 안내로 L.A.에 있는 한 절에 절 일을 보기로 되어 이때 정말 수년을 새벽 3시면 일어나는 몸과 정성으로 절에 오는 신도들을 보살피면서 열심히 일도 하고 불교 공부, 영어 공부를 했었다.
법사 자격증?
이 때 쯤 되니 이런 생각이 들었다. 세상사 인연 끊고 절간에 들어갈 땐 탈속을 의미하는 머리를 깎게 되는 데 이 의미는 세간사를 잊으라는 계의 한 의미가 있고
다른 하나는 스스로가 그 머리를 만지면서 계에 묶이게 하는 심리적인 부담을 줘 바른 승려 생활을 하게 하려는 의도가 담겨있다면
왜 다 버린 사람이 이름도 불명으로 바꾸면서 그 앞에 무엇을 붙이려고 법사님이란 호칭이 왜 필요하단 말인가?
==
미안합니다.
여기서 마치려고 위에 상(上)중(中)이라고 하였는데 오늘 글이 하(下)가 된다면
기왕에 시작한 글 끝을 내려면 앞으로 두 번을 더 올려야 될 것 같습니다.
그 땐 “下下” 와 “결론” 편으로 두 번에 걸쳐 마치겠습니다.
여러분의 반응이 좋지 않으면 올리지 않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다음 글에서 뵙겠습니다.
좋은 밤 되시기 바랍니다.
전편의 끝
{그래서 하루는 스님을 뵙고 내가 나이가 있는데 나도 출가를 할 수가 있는지 물어보았다.}에 이어 가겠다.
--
해서 스님이 되면 나는 어떻게 되고 가족은 어떻게 되는 것이며 무엇을 얻자고 이런 모험을 시작해야 하는 가하는 마음,
지금은 무엇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지 하는 등 정말 심연의 나를 찾고자 무척 번민에 들어갔다.
스님이 된다면 가솔들에 대한 일종의 배신이 아닌가,
나만 좋은 곳(?)을 찾아가려고 하니 말이다....
다들 이렇게 저렇게 살아가는데 왜 우리 아버지만 그러실까 하는 생각,
나 하나 믿고 낯설고 물 설은 곳, 말까지 통하지 않는 곳에 대려와 남겨두고 떠나가는 남편을 어떻게 생각할까 등 정말 무책임이란 말 그 이왼 할 말이 없을 것 같았다.
승려생활을 하면서 가족들을 꾸려갈 수는 없는 것일까?
원래 난 돈 하고는 먼 사람, 그저 하루 세끼 먹고 건강만 지켜나가면 모든 게 잘 풀리는 것으로 아는 돈과는 먼 나....
돈을 귀하게 생각 했더라면 아마도 서울에 작은 빌딩 하나 정도는 족히 만들 수 있었던 자리에 있었지만 그런 건 나와는 아주 먼 남의 얘기로 살아온 나......
나의 선친은 G 4 라이트 하나 남겨두시고 가셨다.
생전 아버님의 말씀은 “ 경우대로 살아라! 나 잘 살려고 남 눈물 흘리게 하면 언젠가는 난 피 눈물을 흘려야 한다.”
어떤 땐 용돈이 생겨 드릴라 치면 “네가 월급 때도 아닌데 무슨 돈이 있냐. 공무원이 돈을 함부로 쓰면 나라가 망한다.”
이렇게 살아온 나이기에 스님 짓을 하면서 가솔들을 끌고 간다는 것도 말이 안 되는 소리, 그럴 바엔 스님 될 생각을 말아야지 하고는 이리 저리 생각을 하다가 일단은 마음먹은 것이니 시작을 해보고 다시 정하면 되지 않을까 하는 잘 못된 마음으로 굳어졌다.
이래서 떠나기로 마음먹고 스님이 정해준 전북 익산 백담사의 한 암자를 가게 되었는데 몇 가지 문제가 50이 넘으면 정상적인 조계종 산하의 승려가 될 길이 없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스님에게 내가 돌아올 때 승복을 입고 와야 하는지 평복을 입고 와야 하는지 물어보았더니 승복을 내가 한 벌 사서 입고 오라는 것이었다.
여기서 또 다른 새로운 갈등이 일어났다. 이런 저런 생각 속에 그 암자에 가서 한 달 정도 있다가 이게 아니다 싶어 다시 오긴 하였지만,
어쩌면 새벽에 일어나 혼자서 이런 저런 지난날과 앞으로 내가 가야 할 길을 생각하니 이건 완전히 잿빛 구름 속으로 내가 나를 가두어 버렸다.
이 길이 아니면 불교를 깊이 알 수 없단 말인가?
아니다, 너무 이기적이지 않은가, 가족을 버리고 누굴 위해? 꼭 이렇게 해야 하나?
해서 다시 와선 전에 하던 일상의 밥벌이를 계속하면서 한국의 주요 승가대학에 통신강의로 법사 공부를 시작해 근 2년을 공부를 하는 과정에
어느 스님의 안내로 L.A.에 있는 한 절에 절 일을 보기로 되어 이때 정말 수년을 새벽 3시면 일어나는 몸과 정성으로 절에 오는 신도들을 보살피면서 열심히 일도 하고 불교 공부, 영어 공부를 했었다.
법사 자격증?
이 때 쯤 되니 이런 생각이 들었다. 세상사 인연 끊고 절간에 들어갈 땐 탈속을 의미하는 머리를 깎게 되는 데 이 의미는 세간사를 잊으라는 계의 한 의미가 있고
다른 하나는 스스로가 그 머리를 만지면서 계에 묶이게 하는 심리적인 부담을 줘 바른 승려 생활을 하게 하려는 의도가 담겨있다면
왜 다 버린 사람이 이름도 불명으로 바꾸면서 그 앞에 무엇을 붙이려고 법사님이란 호칭이 왜 필요하단 말인가?
==
미안합니다.
여기서 마치려고 위에 상(上)중(中)이라고 하였는데 오늘 글이 하(下)가 된다면
기왕에 시작한 글 끝을 내려면 앞으로 두 번을 더 올려야 될 것 같습니다.
그 땐 “下下” 와 “결론” 편으로 두 번에 걸쳐 마치겠습니다.
여러분의 반응이 좋지 않으면 올리지 않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다음 글에서 뵙겠습니다.
좋은 밤 되시기 바랍니다.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