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가지 사유(펌)
'朴 영장청구' 3가지 사유…중대사안-증거인멸-형평성
기사입력 2017-03-27 13:39 기사원문 260 112
"검찰 조사서 혐의 부인…증거인멸 가능성 있어" 검찰, 박 전 대통령 혐의 입증 자신감 드러낸 것
【서울=뉴시스】오제일 기자 = 검찰이 27일 박근혜 전 대통령 구속영장을 전격 청구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구속영장이 기각될 경우 역풍을 맞을 수도 있는 검찰이 구속영장을 청구함에 따라 혐의 입증 자신감을 드러낸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날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지검장)에 따르면 수사팀이 박 전 대통령 구속영장을 청구한 이유는 사안의 중대성과 증거인멸 우려, 구속된 공범과 형평성으로 압축된다.
먼저 검찰은 특검 수사 등을 거치는 과정에서 박 전 대통령에게 적용된 혐의를 무겁게 판단했다. 모두 13가지 혐의가 적용된 상태인데, 죄명으로 따져도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강요미수, 공무상 비밀누설, 특가법상 뇌물수수 및 제3자 뇌물수수 등 5가지에 달한다.
이 가운데 최씨와 공모해 이재용(49·구속기소) 삼성전자 부회장 경영권 승계를 돕는 대가로 430억원대 뇌물을 받은 혐의가 검찰이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수수죄는 10년 이상 징역으로 처벌하는 중죄다.
박 전 대통령이 지난 21일 조사 과정에서 대부분 혐의를 부인한 점도 구속영장 청구 근거가 됐다. 박 전 대통령은 당시 14시간 조사 과정에서 일부 사실관계를 제외하고 대부분 혐의를 부인했는데, 이 같은 진술 태도 등을 고려할 때 증거를 인멸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 검찰 판단이다.
아울러 검찰은 최씨 등 국정농단 사태 관련자들이 이미 구속된 상태에서 공범 내지는 총책임자 지위로 볼 수 있는 박 전 대통령을 불구속 상태로 수사할 경우 제기될 형평성 문제도 고려했다.
특히 박 전 대통령에게 430억원대 뇌물을 공여한 혐의로 이 부회장이 구속된 상태인 만큼, 뇌물 공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겁게 처벌되는 뇌물수수자를 상대로 구속영장을 청구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검찰은 공모 관계에 있는 이들 조사 내용과 박 전 대통령 지시 사항이 빼곡하게 기록된 안종범(58·구속기소) 전 정책조정수석 업무수첩 등 증거들을 토대로 박 전 대통령 혐의가 입증 가능한 단계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지지기반이 여전히 건재한 박 전 대통령 구속영장이 기각될 경우 여론에 떠밀려 수사를 했다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는 상황에서 정면 돌파를 택했기 때문이다.
검찰 관계자는 "사안의 중대성, 증거인멸 우려, 구속된 공범과의 형평성과 제반 정황을 종합할 때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것이 법과 원칙에 부합한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다음은 검찰 1기 특별수사본부와 '박영수 특검'에 의해 정리된 박 전 대통령의 13가지 혐의 목록이다.
(각 혐의 뒤에 언급된 인물은 박 전 대통령과 '공범' 관계인 것으로 지목됐다.)
① 삼성, 현대차, SK 등 대기업들이 미르(486억원)·K스포츠재단(288억원)에 774억원의 기금을 출연하는 과정에 관여한 혐의 (직권남용, 강요) - 최순실,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② 삼성이 두 재단에 204억원을 내고 최순실씨에게 433억원을 지급했거나 지급을 약속하는 데 개입한 혐의 (뇌물, 제3자 뇌물) - 최순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③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성을 지시하고 관여한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
④ '블랙리스트' 작성 지시를 이행하길 거부한 문화체육관광부 공무원(1급) 3명의 사직을 압박한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 조윤선, 김상률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등 차은택 전 창조경제추진단장
⑤ 청와대의 뜻과 다른 감사 보고서를 낸 노태강 전 문체부 국장에게 사직을 압박한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⑥ 최순실씨 측근 이상화 전 KEB하나은행 본부장의 승진을 위해 외압을 행사한 혐의 (직권남용) - 최순실, 안종범
⑦ 최순실씨의 청탁을 받고 최순실씨의 지인(정유라 초등학교 동창 학부모)이 대표로 있는 KDI코퍼레이션이 현대차와 약 11억원의 납품계약을 맺을 수 있도록 하고, 최순실씨가 실소유주인 광고회사 플레이그라운드가 KT로부터 광고를 수주할 수 있도록 관여한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 최순실, 안종범, 차은택 전 창조경제추진단장
⑧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과 독대하면서 K스포츠재단에 70억원 추가 출연을 강요한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 최순실, 안종범
⑨ 포스코그룹이 펜싱팀을 만들어 최순실씨가 세운 '더블루케이'에게 매니지먼트 업무를 맡기도록 압박한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 최순실, 안종범
⑩ KT가 최순실씨 지인인 이동수씨를 채용하도록 하고, 플레이그라운드와 68억원 상당의 광고 계약을 하도록 지시한 혐의 -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 최순실, 차은택
⑪ 그랜드코리아레저(GKL) 펜싱팀 창단에 개입한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 최순실, 안종범, 김종 전 문체부 2차관
⑫ CJ그룹 이미경 부회장의 사퇴를 압박한 혐의 (강요미수) - 조원동 전 청와대 경제수석
⑬ 최순실씨에게 기밀 문건을 유출할 것을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에게 지시한 혐의 (공무상 비밀누설) -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
기사입력 2017-03-27 13:39 기사원문 260 112
"검찰 조사서 혐의 부인…증거인멸 가능성 있어" 검찰, 박 전 대통령 혐의 입증 자신감 드러낸 것
【서울=뉴시스】오제일 기자 = 검찰이 27일 박근혜 전 대통령 구속영장을 전격 청구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구속영장이 기각될 경우 역풍을 맞을 수도 있는 검찰이 구속영장을 청구함에 따라 혐의 입증 자신감을 드러낸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날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지검장)에 따르면 수사팀이 박 전 대통령 구속영장을 청구한 이유는 사안의 중대성과 증거인멸 우려, 구속된 공범과 형평성으로 압축된다.
먼저 검찰은 특검 수사 등을 거치는 과정에서 박 전 대통령에게 적용된 혐의를 무겁게 판단했다. 모두 13가지 혐의가 적용된 상태인데, 죄명으로 따져도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강요미수, 공무상 비밀누설, 특가법상 뇌물수수 및 제3자 뇌물수수 등 5가지에 달한다.
이 가운데 최씨와 공모해 이재용(49·구속기소) 삼성전자 부회장 경영권 승계를 돕는 대가로 430억원대 뇌물을 받은 혐의가 검찰이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수수죄는 10년 이상 징역으로 처벌하는 중죄다.
박 전 대통령이 지난 21일 조사 과정에서 대부분 혐의를 부인한 점도 구속영장 청구 근거가 됐다. 박 전 대통령은 당시 14시간 조사 과정에서 일부 사실관계를 제외하고 대부분 혐의를 부인했는데, 이 같은 진술 태도 등을 고려할 때 증거를 인멸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 검찰 판단이다.
아울러 검찰은 최씨 등 국정농단 사태 관련자들이 이미 구속된 상태에서 공범 내지는 총책임자 지위로 볼 수 있는 박 전 대통령을 불구속 상태로 수사할 경우 제기될 형평성 문제도 고려했다.
특히 박 전 대통령에게 430억원대 뇌물을 공여한 혐의로 이 부회장이 구속된 상태인 만큼, 뇌물 공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겁게 처벌되는 뇌물수수자를 상대로 구속영장을 청구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검찰은 공모 관계에 있는 이들 조사 내용과 박 전 대통령 지시 사항이 빼곡하게 기록된 안종범(58·구속기소) 전 정책조정수석 업무수첩 등 증거들을 토대로 박 전 대통령 혐의가 입증 가능한 단계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지지기반이 여전히 건재한 박 전 대통령 구속영장이 기각될 경우 여론에 떠밀려 수사를 했다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는 상황에서 정면 돌파를 택했기 때문이다.
검찰 관계자는 "사안의 중대성, 증거인멸 우려, 구속된 공범과의 형평성과 제반 정황을 종합할 때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것이 법과 원칙에 부합한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다음은 검찰 1기 특별수사본부와 '박영수 특검'에 의해 정리된 박 전 대통령의 13가지 혐의 목록이다.
(각 혐의 뒤에 언급된 인물은 박 전 대통령과 '공범' 관계인 것으로 지목됐다.)
① 삼성, 현대차, SK 등 대기업들이 미르(486억원)·K스포츠재단(288억원)에 774억원의 기금을 출연하는 과정에 관여한 혐의 (직권남용, 강요) - 최순실,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② 삼성이 두 재단에 204억원을 내고 최순실씨에게 433억원을 지급했거나 지급을 약속하는 데 개입한 혐의 (뇌물, 제3자 뇌물) - 최순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③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성을 지시하고 관여한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
④ '블랙리스트' 작성 지시를 이행하길 거부한 문화체육관광부 공무원(1급) 3명의 사직을 압박한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 조윤선, 김상률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등 차은택 전 창조경제추진단장
⑤ 청와대의 뜻과 다른 감사 보고서를 낸 노태강 전 문체부 국장에게 사직을 압박한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⑥ 최순실씨 측근 이상화 전 KEB하나은행 본부장의 승진을 위해 외압을 행사한 혐의 (직권남용) - 최순실, 안종범
⑦ 최순실씨의 청탁을 받고 최순실씨의 지인(정유라 초등학교 동창 학부모)이 대표로 있는 KDI코퍼레이션이 현대차와 약 11억원의 납품계약을 맺을 수 있도록 하고, 최순실씨가 실소유주인 광고회사 플레이그라운드가 KT로부터 광고를 수주할 수 있도록 관여한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 최순실, 안종범, 차은택 전 창조경제추진단장
⑧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과 독대하면서 K스포츠재단에 70억원 추가 출연을 강요한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 최순실, 안종범
⑨ 포스코그룹이 펜싱팀을 만들어 최순실씨가 세운 '더블루케이'에게 매니지먼트 업무를 맡기도록 압박한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 최순실, 안종범
⑩ KT가 최순실씨 지인인 이동수씨를 채용하도록 하고, 플레이그라운드와 68억원 상당의 광고 계약을 하도록 지시한 혐의 -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 최순실, 차은택
⑪ 그랜드코리아레저(GKL) 펜싱팀 창단에 개입한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 최순실, 안종범, 김종 전 문체부 2차관
⑫ CJ그룹 이미경 부회장의 사퇴를 압박한 혐의 (강요미수) - 조원동 전 청와대 경제수석
⑬ 최순실씨에게 기밀 문건을 유출할 것을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에게 지시한 혐의 (공무상 비밀누설) -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Ktown스토리
케이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