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한국TV 라디오서울
  • LANGUAGE
  • ENG
  • KOR
ktown1st
케이톡
  • 전체
  • 업소록
  • 케이톡
  • K블로그
  • 지식톡
  • 구인
  • 렌트
  • 부동산
  • 자동차
  • 사고팔기
    • 뉴스Ktown스토리
    • 케이톡케이톡
    • 업소록
    • K블로그
    • 지식톡
    • 부동산
    • 자동차
    • 구인
    • 렌트
    • 사고팔기
유저사진 dkp 열린마당톡 2013.03.13 신고
초등학생이 윤간? 허 내 八자도 다 못 읽었다만
허ㅡ 초등학생 3명에게 윤간당한 20대 여인이 자살했단 말을 듣고,

거 참 내 지금까지 아직 여덟팔자도 다 못 읽었다만 살다 보니 별 희한한 말을 다 듣는다.

어른에게 당했다면 루크루스가 능욕당한 후에 자살한거겠지만 생리적으로 초등학생이 여인을 능욕할 머슴애 물건이 없기 때문이다.

내 이 나이까지 묘한 애들, 뜻이 있는 남녀노소는 반드시 몽땅 으뜸가는 괴짜인생이라는 말은 읽은 적은 있지만.ㅡ중국적 프로이드: 한유(韓愈) 意必有 魁奇忠信材德之民生其間 p. 1768

오직 그 딱 한 가지 경우에만 초등학생 봉알이 성숙한 경우가 있다.

이상하게 남성홀몬이 많이 만들어지는 어린이들의 선천성 부신이상증식(덧콩팥)副腎異常增殖(CAH).-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congenitus; born with., G. genos, birth
이 경우를 한의학에서 강중(强中), 꺽어지지 않는 대막대기. 병증이다.

오히려 음ㆍ양이 허해서 파정(破精)할 이유가 없는 평상시에도 24시간 조금씩 유정(遺精)하여 보약을 먹어야 함.
₁. 거짓 양(허양)이 뜬 경우: 석자제니탕, 황령저두환
₂. 신장쇄약으로 허양이 뜬 경우: 녹용환, 육종용환
₃. 소갈증(당뇨병)으로 정혈(精血. 홀몬)이 모자란 경우: ☞ 소신
₄. 신장정기(精氣)가 미흡한 경우(消腎): 신력원(腎瀝圓), 백복령원, 육종용원, 녹용원

생리학에서는 부모 탓.
열성유전자 상(常)염색체(autosomal recessive inheritance) 원인.

₁. simple viralizing form [MIM* 201720, *201020] 단순 남근말초비대증
₂. sodium-losing form [MIM* 201820] 저(低) 소디움증
₃. hypertensive form [MIM* 201020] 고혈압증이 따라옴
₄. pseudohermaproditic type [MIM* 202110] (유사)남녀추니 어지자지. 난소, 고환을 다 가진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머큐리(Hermes)와 비너스(Aphrodite) 사이에 낳은 애, 헬마프로딧(Hermaprodite)

이 현상은 모태 안에서 남ㆍ녀로 구별되기 전까지 미숙아들은 공통적으로 크리토리스가 새끼손가락 마디만큼 불거져 나왔다가 여자애로 확정되면서 크기가 거의 축소됬다가 태어나 사춘기로 접여들면서 길이 1인치, 지름 1/5인치되게 성숙하며, 남성 귀두와 같이 두 겹으로 쌓인 스폰지 구조.

그 상(常)염색체 이상증세는 매우 강한 비너스 옹녀와 매우 강한 변강쇠 머큐리가 서로 양보를 안 한 것이라고 간주됨. ('변강쇠+옹녀'는 궁합이 안 좋음)

남자에게 젖이 있고, 여인에게도 남성적 털이 나지만, 남녀추니는 남성홀몬과 여성홀몬 견제기능이 중점에 있음.

이런 아희들의 사회적문제: 공격적, 동성애자, 여자가 되고 싶은 남자, 남자가 되고 싶은 여자, 여성홀몬을 투여해야 할 여자, 골치 아픔. 피하는 게 좋다.
^-^dkp vedok
John P. Dworetzky Introduction To Child Development p. 360-369 West Publishing Co. 1993
Sherwin B. Nuland The Wisdom of the Body p. 75, 87, 89, 93, 98, 177 Alfred A. Knoff, Inc 1997
좋아요
좋아요 0
태그
페이스북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열린마당톡 의 다른 글

veteransedu 열린마당톡 디지털 SAT 6월 직전대비 특강
디지털 SAT 6월 직전대비 특강
"그냥, 찍어버린 문제들이 많았어요..""긴장해서 그런지 모의고사보다 어려웠어요.." 지난 3, 5월 치러진 SAT 시험, 생각보다 높은 난이도에많은 학생들이 기대치보다 낮은 …더보기
0 0 16
veteransedu 열린마당톡 여름특강 SAT <토요일 집중대비반> 개강!
여름특강 SAT <토요일 집중대비반> 개강!
주 1회 SAT 수업, 도움이 될까?솔직히 말씀드리면, 주 1회 수업만으로 SAT 1500점 달성은 어렵습니다. 단순 암기가 아니라 '분석력, 추론력'을 요구하는 …더보기
0 0 38
iamthewinner 열린마당톡
두렵지만 마주쳐야할 불편한 진실
두렵지만 마주쳐야할 불편한 진실기독교는 단순히 육신적인 겉모습의 변화가 아닌 깊은 내면의 변화를추구하는 영적 가르침입니다.그 사실을 잘 못 이해한 성도에 대한 질책이 있습니다.아…더보기
0 0 17
sekorean sekorean 열린마당톡 갑골문자의 발굴과 해석, 동양사상의 근원, 거시사 Big History
갑골문자의 발굴과 해석, 동양사상의 근원, 거시사 Big History
심히 우려되고 지루한 5개월이 지나면서 이제 대한민국의 앞날에도 봄꽃이 활짝 피기를 바랍니다.새로운 안목을 주는 "거시사 Big History" 와,갑골문자로부터 형성된 동양의 …더보기
  • #BigHistory
  • #거시사
  • #은나라
  • #갑골문자
  • #주역
  • #니체
0 0 22
iamthewinner 열린마당톡
회개; 거듭남,구원, 영생에 이르게하는 확실한 안내자
기독교인이 아닐지라도 내심 영원한 삶에 대한 동경이 있습니다.영생에 이르도록 안내할 guide는 회개입니다.회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전반적인 개념을 알고 싶으시면아래 url을 …더보기
0 0 33
ajsna9504 열린마당톡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https://m.blog.naver.com/pkh1964214/223793088838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은 누가 이기고, 언제 끝나게 될까요?지금 바로 그 내용을 확인해 …더보기
1 0 25
열린마당톡 더보기

로그인

  • 회원가입
  •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글쓰기

댓글 많은 Ktalk

  • [라디오서울 좋은아침 좋은… new14
  • 라디오서울과 하이트진로가 … new11
  • 한국산 라면 new9
  • [중국 결혼 문화]굴욕이란… new8
  •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new3
  • 제주 KFC 개웃기넼ㅋㅋㅋ… new3

조회수 많은 Ktalk

  • 북클럽 안내 - 책과 함께… new0
  • 클립토(코인) 에 대한 정… new0
  • 장대한 창조와 종말의 광경… new0
  • 탐정 업무 new0
  • [SAT 무료수업] '이 … new0
  • 아틀란타/조지아 이사 오시… new0

사진으로 보는 Ktalk

  •  사기치는것이 정치인가? 사기치는것이 정치인가?

카테고리

미국에서 나와 비슷한 한인들과
이웃이 되는 공간!
  • 전체
  • 뉴스 제보 New
  • 오늘의 일상톡
  • 지역소식톡
  • 반려동물톡
  • 속풀이톡
  • 정치·이슈톡
  • 열린마당톡
  • 홍보톡
×

선택하기

카테고리를 선택해주세요.

  • 전체
  • 뉴스제보 New
  • 오늘의 일상톡
  • 지역소식톡
  • 반려동물톡
  • 속풀이톡
  • 정치·이슈톡
  • 열린마당톡
  • 홍보톡
중복선택 가능합니다.
선택저장
한국일보
사이트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교환/환불정책 광고운영
3731 Wilshire Blvd., 8th Floor, Los Angeles, CA, 90010, USA Tel.(323)450-2601
Ktown1번가 대표이메일 webinfo@koreatimes.com | 업소록 문의 yp@koreatimes.com
Powered by The Korea Times. Copyright ©The Korea 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