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것 한방을 원하시면 !
'내 주식만 안올라'…대형주 20% 오를때 소형주 5% 찔끔
대형주, 상반기 코스피 19% 상승 일등공신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사상 최고가 행진을 하는 코스피에서 대형주와 소형주 간 상승률 격차가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기관이 주로 투자하는 대형주가 시세를 분출하며 코스피 상승을 이끈 반면 개인투자자들이 목을 매는 중·소형주는 빛을 보지 못했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시가총액 1∼100위 '대형주'의 올해 상승률은 14일 현재 19.86%로 코스피 상승률(19.16%)을 웃돌았다.
그러나 중형주(시총 101∼300위)의 상승률은 12.18%에 그쳤고, 소형주의 상승률은 그보다도 못한 5.23%에 불과했다.
코스피 대형주는 시총 상위 1∼100위 종목, 중형주는 101∼300위, 소형주는 301위 이하 종목으로 분류했다. 대우조선해양과 STX 등 거래가 정지된 종목은 제외했다.
대형주 중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삼성전기로 작년 말 5만800원에서 10만4천원으로 104.72%나 올랐다.
삼성바이오로직스(76.16%), LG이노텍(73.08%), 한국금융지주(72.32%), 삼성SDI(66.06%) 등 종목도 60% 넘는 성과를 냈다.
시총 1위 삼성전자는 올해 40.7% 올랐고, 2위 SK하이닉스의 상승률은 59.06%에 달했다.
대형주 100개 종목 중에 주가가 하락한 종목은 20개에 그쳤다. 포스코대우(-15.56%)의 낙폭이 가장 컸고, 한국항공우주(-14.03%), 금호석유(-10.73%) 등이 뒤를 이었다.
중형주 200개 종목 중에선 134개가 상승하고 66개가 하락했다.
상승률은 일진머티리얼즈(165.23%)가 가장 높았다. 하락한 종목 중에는 대한전선의 낙폭이 27.22%로 가장 컸다.
562개 소형주 중에선 282개가 올랐고 275개가 내렸다. 5개 종목은 보합이었다.
소형주 중에서는 SK증권우(207.01%), 신원우(201.02%)처럼 수익률이 200%를 훌쩍 넘어선 종목도 있지만, 반대로 성문전자(-79.07%), 우리들휴브레인(-78.72%), 한창(-73.90%) 등 주가가 5분의 1토막으로 쪼그라든 사례도 있다.
윤지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장은 "코스피가 최근 급등했지만, 실적보다 아직 많이 오르지 않았다"며 "주가수익비율(PER)이나 주가순자산비율(PBR) 등을 따져 보면 대형 종목들이 아직 덜 올라 외국인과 기관들이 대형 종목으로 쏠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개인투자자 중에는 한 달에 100% 이상 수익률을 노리다가 '쪽박'을 차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며 "실적이 좋은 우량주 한 종목을 장기 보유하는 것이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데 유리한 경우가 많다"고 조언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개인투자자 중에는 한 달에 100% 이상 수익률을 노리다가 '쪽박'을 차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포스코대우(-15.56%)의 낙폭이 가장 컸고,
간단합니다.
신문을 열심히 봐야하는 이유 각종 비리로 신문 도배합니다. 이런 주는 빨리 던져야 합니다.
반대로 가까운 장래에는 전기 자동차로 전부 대체됩니다.
이것은 불가항력 즉 대세이니 자동차 배터리 만드는 회사 한국 ,중국, 일본 있는데 한국은 삼성전기인지 전자인지 아마도 전기라고 생각됩니다.
여기는 전문용어로 자동빵입니다.
전 세계의 내연 기관차는 폐차로 가고 전기 자동차로 그렇다면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해 질 것은 자명한 일이고 물론 주가도 대박행진
공장 증축 한다는 기사를 못 봤으니 주가가 아니고 금값이 될 것이라는 소설 입니다.
대박치시고 나면 인 앤 아웃 햄버거 사시는 것 잊지 마시기바랍니다.
즉 개미(개인투자자)는 한방의 욕심을 버리고 대형 우량주 위주로
교과서적으로 투자하라는 말씀.이고 본인이 3년 동안 안 움직이고 관찰!
한 결과도 이하동문 입니다.
한방을 원하시면 라스베가스나, 로토를 구입하시는 것이 빠릅니다.
투기를(도박) 할것이냐 투자를 할것이냐 이것이 문제로다.
대형주, 상반기 코스피 19% 상승 일등공신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사상 최고가 행진을 하는 코스피에서 대형주와 소형주 간 상승률 격차가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기관이 주로 투자하는 대형주가 시세를 분출하며 코스피 상승을 이끈 반면 개인투자자들이 목을 매는 중·소형주는 빛을 보지 못했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시가총액 1∼100위 '대형주'의 올해 상승률은 14일 현재 19.86%로 코스피 상승률(19.16%)을 웃돌았다.
그러나 중형주(시총 101∼300위)의 상승률은 12.18%에 그쳤고, 소형주의 상승률은 그보다도 못한 5.23%에 불과했다.
코스피 대형주는 시총 상위 1∼100위 종목, 중형주는 101∼300위, 소형주는 301위 이하 종목으로 분류했다. 대우조선해양과 STX 등 거래가 정지된 종목은 제외했다.
대형주 중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삼성전기로 작년 말 5만800원에서 10만4천원으로 104.72%나 올랐다.
삼성바이오로직스(76.16%), LG이노텍(73.08%), 한국금융지주(72.32%), 삼성SDI(66.06%) 등 종목도 60% 넘는 성과를 냈다.
시총 1위 삼성전자는 올해 40.7% 올랐고, 2위 SK하이닉스의 상승률은 59.06%에 달했다.
대형주 100개 종목 중에 주가가 하락한 종목은 20개에 그쳤다. 포스코대우(-15.56%)의 낙폭이 가장 컸고, 한국항공우주(-14.03%), 금호석유(-10.73%) 등이 뒤를 이었다.
중형주 200개 종목 중에선 134개가 상승하고 66개가 하락했다.
상승률은 일진머티리얼즈(165.23%)가 가장 높았다. 하락한 종목 중에는 대한전선의 낙폭이 27.22%로 가장 컸다.
562개 소형주 중에선 282개가 올랐고 275개가 내렸다. 5개 종목은 보합이었다.
소형주 중에서는 SK증권우(207.01%), 신원우(201.02%)처럼 수익률이 200%를 훌쩍 넘어선 종목도 있지만, 반대로 성문전자(-79.07%), 우리들휴브레인(-78.72%), 한창(-73.90%) 등 주가가 5분의 1토막으로 쪼그라든 사례도 있다.
윤지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장은 "코스피가 최근 급등했지만, 실적보다 아직 많이 오르지 않았다"며 "주가수익비율(PER)이나 주가순자산비율(PBR) 등을 따져 보면 대형 종목들이 아직 덜 올라 외국인과 기관들이 대형 종목으로 쏠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개인투자자 중에는 한 달에 100% 이상 수익률을 노리다가 '쪽박'을 차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며 "실적이 좋은 우량주 한 종목을 장기 보유하는 것이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데 유리한 경우가 많다"고 조언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개인투자자 중에는 한 달에 100% 이상 수익률을 노리다가 '쪽박'을 차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포스코대우(-15.56%)의 낙폭이 가장 컸고,
간단합니다.
신문을 열심히 봐야하는 이유 각종 비리로 신문 도배합니다. 이런 주는 빨리 던져야 합니다.
반대로 가까운 장래에는 전기 자동차로 전부 대체됩니다.
이것은 불가항력 즉 대세이니 자동차 배터리 만드는 회사 한국 ,중국, 일본 있는데 한국은 삼성전기인지 전자인지 아마도 전기라고 생각됩니다.
여기는 전문용어로 자동빵입니다.
전 세계의 내연 기관차는 폐차로 가고 전기 자동차로 그렇다면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해 질 것은 자명한 일이고 물론 주가도 대박행진
공장 증축 한다는 기사를 못 봤으니 주가가 아니고 금값이 될 것이라는 소설 입니다.
대박치시고 나면 인 앤 아웃 햄버거 사시는 것 잊지 마시기바랍니다.
즉 개미(개인투자자)는 한방의 욕심을 버리고 대형 우량주 위주로
교과서적으로 투자하라는 말씀.이고 본인이 3년 동안 안 움직이고 관찰!
한 결과도 이하동문 입니다.
한방을 원하시면 라스베가스나, 로토를 구입하시는 것이 빠릅니다.
투기를(도박) 할것이냐 투자를 할것이냐 이것이 문제로다.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