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총리 "김영철 방남, 美와 사전협의…
이총리 "김영철 방남, 美와 사전협의…평양보다 워싱턴 선행"
"긴장 완화 느껴지지만…평화 골든타임 길게 남지 않아""김영철, 천안함과 무관하단 것 아냐…보고서에 안나왔다는 것“
(서울=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는 28일 남북대화 등 외교안보 현안 해법과 관련해 "평양보다 워싱턴이 선행돼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긴급현안 대정부 질문에 출석해 민주평화당 박지원 의원이 "최근 대북특사 파견이나 남북정상회담 얘기가 나오지만, 이보다 먼저 대미특사·한미정상회담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하자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이같이 답했다.
이 총리는 "문재인 대통령께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을 통해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친서를 받았을 때 첫 반응이 '북미대화가 필요하다'고 한 것도 맥락이 상통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대미특사 파견을 통해 한미정상회담을 하도록 대통령께 건의할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대통령께 박 의원의 말씀을 그대로 전하겠다.
특사로 어떤 분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제가 판단하기는 부족하다"고 언급했다.
이 총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해 "대단히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감각과 전략을 가진 지도자"라며 "상황이 변할 때마다 미국에 사전 설명을 하고 의견을 물었다"고 설명했다.
이 총리는 "항구적이라고 말하기는 빠르지만, 2~3개월 전까지 상상하기 어려웠던 분위기다. 긴장이 완화되는 것으로 느껴지는 것은 사실"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저희에게 이른바 '평화의 골든타임'이 길게 남지 않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총리는 '한미군사훈련과 관련해 체면을 중시하는 김정은 위원장에게 길을 터줘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북한의 핵 무장화와 한미군사훈련을 등가에 놓고 비교하는 것은 옳지 않다. 한미군사훈련에 대해서는 한미 협의가 진행 중이니 제가 왈가왈부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며 구체적인 답변을 삼갔다.
특히 이 총리는 김 부위원장의 방남과 관련해 미국과 사전에 상의를 했다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바른미래당 이언주 의원 질의에 "미국과 협의했다"며 "미국이 반대했으면 그대로
가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유한국당 김도읍 의원이 "왜 이 정부는 천안함 폭침의 주범이 김영철이 아니라고 하느냐"고 질의하자 "천안함 폭침과 (김 부위원장이) 무관하다고 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며 "단지 2010년 이명박 정부 시절 민군합동조사단이 내놓은 최종 보고서에 김 부위원장이 지목돼 있지 않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리는 그러면서 "한국당을 비롯해 상당수 국민이 (김 부위원장을) 주범이라고 인식하는 것은 저도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총리는 민주당 송영길 의원이 "미국에서 김 부위원장을 제재하면서 천안함을 적시한 것이 있나"라고 묻자 "그것에 대해 아는 바는 없으나, 이번 북한의 군사도발과 핵무장에 관련해 미국 방문이 금지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송 의원이 "천안함은 (사유로) 특정 안 된 것 아니냐"는 거듭된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한국당 이은재 의원이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방남해 호텔 스위트룸에 온종일 머물러 얼마를 썼나. 국민 여론이 들끓고 있다"고 주장한 것에는 "그 비용은 모두 우리 땅에 떨어진 돈이다. 북한에 돌아간 것은 없다"고 반박했다.
이 총리는 "남북 간에 정부 대표가 상대 지역을 방문하면 안전이나 예우 등(에 신경을 쓰는) 관행이 있다. 그 관행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안질문 도중에는 한미 통상마찰과 관련한 질의도 나왔다.
한국당 김도읍 의원이 이와 관련한 의견을 묻자 이 총리는 "미국도 한국이 동맹이란 걸 충분히 인지하면서도 무역에 대해선 압력을 가하는 것"이라며 "경제는 경제대로 대응할 수 있다"고 답했다.<연합 뉴스>
"긴장 완화 느껴지지만…평화 골든타임 길게 남지 않아""김영철, 천안함과 무관하단 것 아냐…보고서에 안나왔다는 것“
(서울=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는 28일 남북대화 등 외교안보 현안 해법과 관련해 "평양보다 워싱턴이 선행돼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긴급현안 대정부 질문에 출석해 민주평화당 박지원 의원이 "최근 대북특사 파견이나 남북정상회담 얘기가 나오지만, 이보다 먼저 대미특사·한미정상회담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하자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이같이 답했다.
이 총리는 "문재인 대통령께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을 통해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친서를 받았을 때 첫 반응이 '북미대화가 필요하다'고 한 것도 맥락이 상통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대미특사 파견을 통해 한미정상회담을 하도록 대통령께 건의할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대통령께 박 의원의 말씀을 그대로 전하겠다.
특사로 어떤 분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제가 판단하기는 부족하다"고 언급했다.
이 총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해 "대단히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감각과 전략을 가진 지도자"라며 "상황이 변할 때마다 미국에 사전 설명을 하고 의견을 물었다"고 설명했다.
이 총리는 "항구적이라고 말하기는 빠르지만, 2~3개월 전까지 상상하기 어려웠던 분위기다. 긴장이 완화되는 것으로 느껴지는 것은 사실"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저희에게 이른바 '평화의 골든타임'이 길게 남지 않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총리는 '한미군사훈련과 관련해 체면을 중시하는 김정은 위원장에게 길을 터줘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북한의 핵 무장화와 한미군사훈련을 등가에 놓고 비교하는 것은 옳지 않다. 한미군사훈련에 대해서는 한미 협의가 진행 중이니 제가 왈가왈부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며 구체적인 답변을 삼갔다.
특히 이 총리는 김 부위원장의 방남과 관련해 미국과 사전에 상의를 했다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바른미래당 이언주 의원 질의에 "미국과 협의했다"며 "미국이 반대했으면 그대로
가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유한국당 김도읍 의원이 "왜 이 정부는 천안함 폭침의 주범이 김영철이 아니라고 하느냐"고 질의하자 "천안함 폭침과 (김 부위원장이) 무관하다고 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며 "단지 2010년 이명박 정부 시절 민군합동조사단이 내놓은 최종 보고서에 김 부위원장이 지목돼 있지 않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리는 그러면서 "한국당을 비롯해 상당수 국민이 (김 부위원장을) 주범이라고 인식하는 것은 저도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총리는 민주당 송영길 의원이 "미국에서 김 부위원장을 제재하면서 천안함을 적시한 것이 있나"라고 묻자 "그것에 대해 아는 바는 없으나, 이번 북한의 군사도발과 핵무장에 관련해 미국 방문이 금지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송 의원이 "천안함은 (사유로) 특정 안 된 것 아니냐"는 거듭된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한국당 이은재 의원이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방남해 호텔 스위트룸에 온종일 머물러 얼마를 썼나. 국민 여론이 들끓고 있다"고 주장한 것에는 "그 비용은 모두 우리 땅에 떨어진 돈이다. 북한에 돌아간 것은 없다"고 반박했다.
이 총리는 "남북 간에 정부 대표가 상대 지역을 방문하면 안전이나 예우 등(에 신경을 쓰는) 관행이 있다. 그 관행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안질문 도중에는 한미 통상마찰과 관련한 질의도 나왔다.
한국당 김도읍 의원이 이와 관련한 의견을 묻자 이 총리는 "미국도 한국이 동맹이란 걸 충분히 인지하면서도 무역에 대해선 압력을 가하는 것"이라며 "경제는 경제대로 대응할 수 있다"고 답했다.<연합 뉴스>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