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가 어렵다.
글쓰기가 어렵다.
그렇다.
그러나 바르게는 쓰자는 것이 나의 주장이다.
.
글쓰기는 학습이 아니라 연습이라는 말이 있다.
얼마나 많은 글을 써 봤는가 하는 것이 답이다.
좋은 글은 연습에서 나올 뿐이다.
그런데 이렇게 되기 위해선 몇 가지 먼저 갖추어져야 할 게 있다고 본다.
.
올바른 언어습관을 기르라!
글이란 말을 문자로 옮겨 놓은 것이기 때문이다.
.
언어습관이 좋지 않은 사람은
자신의 말이 잘못 되었는지조차 모르는 것처럼,
글을 써 놓고도 뭐가 잘못되었는지를 모른다.
여기서 지방사투리가 심한 사람은 글에서도 애를 먹는 경우가 생긴다.
.
여긴, 논리적인 구조, 명확한 어휘, 올바른 조사 활용이
평소의 언어습관에 숨어들어 있어야 좋은 글로 그렇게 나온다.
.
문장보다는 사고력을 키워야 한다.
말은 생각을 언어로 바꾼 것이다.
.
글을 잘 쓰기 위해선 말을 잘 해야 하고
말을 잘 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생각을 잘 해야 한다.
여기서 잘 한다는 것은 바르고 편파성이 없고 조리가 있는 걸 말한다.
.
글을 쉽게 쓰려고 하자.
잘못하면 너도 나도 아는 것을
글을 써 놓고 보면 너도 나도 모르는 글이 될 수 있다.
글이 길면 주제가 흐려질 수 있다.
글제는 간략하면서 글의 주된 뜻이 함축된 표현이어야 한다.
특히나 한글 단어의 생명은 띄어쓰기에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내용에서 오자는 넘어갈 수 있지만
글의 제목에서 오자나 잘 못 쓰인 띄어쓰기는 금물이다.
.
결론적으로
글쓰기란 연습이 있을 뿐이고 별도의 학습이 필요치 않다.
그냥 있는 그대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진솔하게 옮기는 노력에서 온다.
.
자기 기만 없이 허세 없이 담백하고 명확하게
나의 목적을 전달할 수 있으면 아주 좋은 글이라고 본다.
.
그러나 자기도 잘 모르는 걸 아는 체 하다 보면
뭉뚱그려 넘어가는 글이 되어 읽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
특히 조심해야 할 게 한자 병용이 필요할 때는
적절한 용어의 활용 여부가 관건이 되기도 한다.
잘 못된 인용은 오히려 글 쓴 이를 갸우뚱케 하는 일이 생긴다.
.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법륜스님의 즉문즉설에 이런 대목이 나온다.
.
“스님은 어떻게 그렇게 명확하게 답을 주시고 합니까?”
라고 한 대중이 물었다.
.
스님은 답하길,
“간단하다. 나는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답을 한다.
모른다고 하는 사람 잡고 시비 할 사람은 없지 않는가?”
.
나 역시 뭘 알아서 쓴 글이 아니다.
그간의 느낌을 이렇게 일부분 올려 본 것이다.
그렇다.
그러나 바르게는 쓰자는 것이 나의 주장이다.
.
글쓰기는 학습이 아니라 연습이라는 말이 있다.
얼마나 많은 글을 써 봤는가 하는 것이 답이다.
좋은 글은 연습에서 나올 뿐이다.
그런데 이렇게 되기 위해선 몇 가지 먼저 갖추어져야 할 게 있다고 본다.
.
올바른 언어습관을 기르라!
글이란 말을 문자로 옮겨 놓은 것이기 때문이다.
.
언어습관이 좋지 않은 사람은
자신의 말이 잘못 되었는지조차 모르는 것처럼,
글을 써 놓고도 뭐가 잘못되었는지를 모른다.
여기서 지방사투리가 심한 사람은 글에서도 애를 먹는 경우가 생긴다.
.
여긴, 논리적인 구조, 명확한 어휘, 올바른 조사 활용이
평소의 언어습관에 숨어들어 있어야 좋은 글로 그렇게 나온다.
.
문장보다는 사고력을 키워야 한다.
말은 생각을 언어로 바꾼 것이다.
.
글을 잘 쓰기 위해선 말을 잘 해야 하고
말을 잘 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생각을 잘 해야 한다.
여기서 잘 한다는 것은 바르고 편파성이 없고 조리가 있는 걸 말한다.
.
글을 쉽게 쓰려고 하자.
잘못하면 너도 나도 아는 것을
글을 써 놓고 보면 너도 나도 모르는 글이 될 수 있다.
글이 길면 주제가 흐려질 수 있다.
글제는 간략하면서 글의 주된 뜻이 함축된 표현이어야 한다.
특히나 한글 단어의 생명은 띄어쓰기에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내용에서 오자는 넘어갈 수 있지만
글의 제목에서 오자나 잘 못 쓰인 띄어쓰기는 금물이다.
.
결론적으로
글쓰기란 연습이 있을 뿐이고 별도의 학습이 필요치 않다.
그냥 있는 그대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진솔하게 옮기는 노력에서 온다.
.
자기 기만 없이 허세 없이 담백하고 명확하게
나의 목적을 전달할 수 있으면 아주 좋은 글이라고 본다.
.
그러나 자기도 잘 모르는 걸 아는 체 하다 보면
뭉뚱그려 넘어가는 글이 되어 읽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
특히 조심해야 할 게 한자 병용이 필요할 때는
적절한 용어의 활용 여부가 관건이 되기도 한다.
잘 못된 인용은 오히려 글 쓴 이를 갸우뚱케 하는 일이 생긴다.
.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법륜스님의 즉문즉설에 이런 대목이 나온다.
.
“스님은 어떻게 그렇게 명확하게 답을 주시고 합니까?”
라고 한 대중이 물었다.
.
스님은 답하길,
“간단하다. 나는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답을 한다.
모른다고 하는 사람 잡고 시비 할 사람은 없지 않는가?”
.
나 역시 뭘 알아서 쓴 글이 아니다.
그간의 느낌을 이렇게 일부분 올려 본 것이다.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