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큰 일본이
지난 10월 30일,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강제징용 피해자 4명이 일본 신일철주금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 소송 재상고심에서 ”피해자들에게 각각 1억원을 배상하라”는 원심판결을 확정했다.
1월 3일, 고노 다로 외무상이 이에 대한 또 다른 입장을 밝혔다.
이날 '산케이신문'은 고노 다로 외무상이 가나가와현 지가사키시에서 열린 가두 연설에서 "1965년 국교를 정상화한 때 맺은 한일 청구권 협정을 바탕으로 징용노동자에 대한 보상은 한국정부가 담당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협정은) 한국 정부가 책임지고 한국 국민에게 보상이나 배상을 한다는 것에 대한 동의이다. 일본 정부는 개개인에게 보상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 정부에 그만큼의 돈을 경제 협력으로 전달했다"
고노 외무상은 또한 당시 한국에 건넨 경제 협력 기금에 대해 "당시 한국의 1년 국가 예산이 약 3억 달러라고 할 때, 일본은 5억 달러를 한국에 일괄적으로 전달했다"며 '그것이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일 간 약속의 가장 기본이 됐다'고 말했다.
https://www.huffingtonpost.kr
------------------------------------------------
그러나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독도 우리땅과 위반부 피해보상만 요구 할 뿐 '한국에 건넨 경제 협력기금'은 전혀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통큰 일본이 무조건 양보하길 바라지 않겠는가 말이다.
1월 3일, 고노 다로 외무상이 이에 대한 또 다른 입장을 밝혔다.
이날 '산케이신문'은 고노 다로 외무상이 가나가와현 지가사키시에서 열린 가두 연설에서 "1965년 국교를 정상화한 때 맺은 한일 청구권 협정을 바탕으로 징용노동자에 대한 보상은 한국정부가 담당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협정은) 한국 정부가 책임지고 한국 국민에게 보상이나 배상을 한다는 것에 대한 동의이다. 일본 정부는 개개인에게 보상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 정부에 그만큼의 돈을 경제 협력으로 전달했다"
고노 외무상은 또한 당시 한국에 건넨 경제 협력 기금에 대해 "당시 한국의 1년 국가 예산이 약 3억 달러라고 할 때, 일본은 5억 달러를 한국에 일괄적으로 전달했다"며 '그것이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일 간 약속의 가장 기본이 됐다'고 말했다.
https://www.huffingtonpost.kr
------------------------------------------------
그러나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독도 우리땅과 위반부 피해보상만 요구 할 뿐 '한국에 건넨 경제 협력기금'은 전혀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통큰 일본이 무조건 양보하길 바라지 않겠는가 말이다.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