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코 데 메이요
씽코 디 메이요;
미국에 처음 와서 "마요네즈" 때문에 당황했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있다. 햄버거를 사려면 꼭 물어보는게 "Is the Mayo O.K." 혹은 "Do you want a Mayo"
도대체 뭔 말인가 하고 눈만 멀끔 멀끔 거리면서 당황하면서, 뒤에 서있는 금발의 미녀가 "저 멍청이는 영어도 지질이 못하는구나" 하고 흉보는 소리를 마음 속으로 다 듣는다.
그 때 햄버거 고기를 뒤집던 친철한 멕시코 아줌마가 옆에서 마요네즈 그릇을 가르키면서 한다는 소리가 "Mayo, Mayo,, 씽코 디 메이요"
그래서 그 남자는 열심히 씽코 디 메이요가 무엇인지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씽코 디 메이요를 이해하려면 유럽과 미 대륙에 관한 많은 역사적 사실들을 알아야 한다. 아주 간단히 요약해 드리겠다.
미국 남북전쟁 전 대통령 제임스 낙스 폴락은 멕시코와의 전쟁에서 이겨 텍사스와, 뉴 멕시코, 캘리포니아를 빼앗고 멕시코에 전쟁 보상금을 요구한다. 재정이 파탄난 멕시코의 대통령 베니토 후아레즈는 유럽 국가들에 대해 2년 동안 채무 불이행 선언을 하는데 영국과 스페인은 일단 이것을 받아들였지만 프랑스는 받아들이지 않는 척 하면서 멕시코를 침공한다. 물론 돈도 돈이겠지만 더 큰 이유는 루이지아나를 팔아먹은 것을 크게 후회하며 어떻게 하든 다시 아메리카 대륙안에 식민지를 확보하려는 나폴레온 3세의 야심에 있었다.
프랑스는 잘 훈련되고, 좋은 무기를 가진 군이 8,000 명을 보내 전쟁을 하는데 이에 대항해서 싸웠던 멕시코 군은 장비도 열악하고, 훈련도 잘 되지 않은 4,500 명...
프랑스의 멕시코 침공을 달갑게 여기지 않던 영국은 스파이를 보내서 프랑스군의 약점이 무엇인가를 알아내었다.
프랑스군의 힘을 유지시켜주는 것은 "마요네즈" 였다. 원래가 프랑스 남자들은 하루에 한 번 정도 섹스를 해야 하는 사람들인데, 이를 하지 않고도 견디는 비결은 마요네즈를 큰 수푼으로 두 번씩 퍼 먹는 것이었다.
영국은 이를 스페인에 알려줬고, 스페인 알마다 함대는 걸프만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프랑스에서 "마요네즈"를 싣고 들어오는 수송선을 격침시켰다.
이름하여 "씽크 더 마요네즈" ..그 결과 멕시코 4,500 병사는 온 몸이 굼실굼실하고 힘을 쓰지 못하는 프랑스 8,000 병사를 5월 5일 푸에블로에서 무찔러서 전투에서 이겼다.
일부에서는 5월 5일 전투에서 이겼기 때문에 "씽코 데 메이요"라 한다고 주장하지만 "Is the Mayo O.K"를 경험한 그 남자는 그게 아니라 "씽크 더 메이요"네이즈가 맞는다고 굳게 믿는다.
화가 난 나폴레온 3세는 군대를 증파해서 30,000 명의 프랑스 군은 결국 멕시코의 수도 멕시코시티를 점령하고 맥시밀리언 1세라는 친구를 황제로 앉힌다. 그러나 멕시코가 잔인 무도한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는 것을 절대로 용납할 수 없는 휴매니태리안적 미국은 베니토 후아레즈의 멕시코군을 도와 3년 만에 프랑스를 축출한다. 프랑스를 등에 업고 목에 힘을 주던 맥시밀리언 황제 및 그의 꼬붕들은 재건된 베니토 후아레즈의 멕시코 정부군에 의해 처형되었고...
그 이후 멕시코는 독립을 유지하며,,,최근에는 미국에 빼앗긴 땅 캘리포니아를 되 찾기 위해,,,150년 전 미국이 텍사스를 빼앗을 때 사용했던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방법은 그 나라 사람들을 무조건 원하는 땅에 보내 숫자를 늘리고,,,그 지역을 자국의 문화권에 편입시킨 다음 독립을 선언하게 하는 것이다..
"씽코 데 메이요"가 아주 좋은 예이다. 그 전에는 별로 안중에도 없던 날이었지만 멕시코 인구의 증가 및 문화적 확산으로 인해 이제는 아주 중요한 기념일이 되었다. 이 날이 미국 정부의 공식 휴일이 될 날도 얼마 남지 않은 것 같다.
미국에 처음 와서 "마요네즈" 때문에 당황했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있다. 햄버거를 사려면 꼭 물어보는게 "Is the Mayo O.K." 혹은 "Do you want a Mayo"
도대체 뭔 말인가 하고 눈만 멀끔 멀끔 거리면서 당황하면서, 뒤에 서있는 금발의 미녀가 "저 멍청이는 영어도 지질이 못하는구나" 하고 흉보는 소리를 마음 속으로 다 듣는다.
그 때 햄버거 고기를 뒤집던 친철한 멕시코 아줌마가 옆에서 마요네즈 그릇을 가르키면서 한다는 소리가 "Mayo, Mayo,, 씽코 디 메이요"
그래서 그 남자는 열심히 씽코 디 메이요가 무엇인지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씽코 디 메이요를 이해하려면 유럽과 미 대륙에 관한 많은 역사적 사실들을 알아야 한다. 아주 간단히 요약해 드리겠다.
미국 남북전쟁 전 대통령 제임스 낙스 폴락은 멕시코와의 전쟁에서 이겨 텍사스와, 뉴 멕시코, 캘리포니아를 빼앗고 멕시코에 전쟁 보상금을 요구한다. 재정이 파탄난 멕시코의 대통령 베니토 후아레즈는 유럽 국가들에 대해 2년 동안 채무 불이행 선언을 하는데 영국과 스페인은 일단 이것을 받아들였지만 프랑스는 받아들이지 않는 척 하면서 멕시코를 침공한다. 물론 돈도 돈이겠지만 더 큰 이유는 루이지아나를 팔아먹은 것을 크게 후회하며 어떻게 하든 다시 아메리카 대륙안에 식민지를 확보하려는 나폴레온 3세의 야심에 있었다.
프랑스는 잘 훈련되고, 좋은 무기를 가진 군이 8,000 명을 보내 전쟁을 하는데 이에 대항해서 싸웠던 멕시코 군은 장비도 열악하고, 훈련도 잘 되지 않은 4,500 명...
프랑스의 멕시코 침공을 달갑게 여기지 않던 영국은 스파이를 보내서 프랑스군의 약점이 무엇인가를 알아내었다.
프랑스군의 힘을 유지시켜주는 것은 "마요네즈" 였다. 원래가 프랑스 남자들은 하루에 한 번 정도 섹스를 해야 하는 사람들인데, 이를 하지 않고도 견디는 비결은 마요네즈를 큰 수푼으로 두 번씩 퍼 먹는 것이었다.
영국은 이를 스페인에 알려줬고, 스페인 알마다 함대는 걸프만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프랑스에서 "마요네즈"를 싣고 들어오는 수송선을 격침시켰다.
이름하여 "씽크 더 마요네즈" ..그 결과 멕시코 4,500 병사는 온 몸이 굼실굼실하고 힘을 쓰지 못하는 프랑스 8,000 병사를 5월 5일 푸에블로에서 무찔러서 전투에서 이겼다.
일부에서는 5월 5일 전투에서 이겼기 때문에 "씽코 데 메이요"라 한다고 주장하지만 "Is the Mayo O.K"를 경험한 그 남자는 그게 아니라 "씽크 더 메이요"네이즈가 맞는다고 굳게 믿는다.
화가 난 나폴레온 3세는 군대를 증파해서 30,000 명의 프랑스 군은 결국 멕시코의 수도 멕시코시티를 점령하고 맥시밀리언 1세라는 친구를 황제로 앉힌다. 그러나 멕시코가 잔인 무도한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는 것을 절대로 용납할 수 없는 휴매니태리안적 미국은 베니토 후아레즈의 멕시코군을 도와 3년 만에 프랑스를 축출한다. 프랑스를 등에 업고 목에 힘을 주던 맥시밀리언 황제 및 그의 꼬붕들은 재건된 베니토 후아레즈의 멕시코 정부군에 의해 처형되었고...
그 이후 멕시코는 독립을 유지하며,,,최근에는 미국에 빼앗긴 땅 캘리포니아를 되 찾기 위해,,,150년 전 미국이 텍사스를 빼앗을 때 사용했던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방법은 그 나라 사람들을 무조건 원하는 땅에 보내 숫자를 늘리고,,,그 지역을 자국의 문화권에 편입시킨 다음 독립을 선언하게 하는 것이다..
"씽코 데 메이요"가 아주 좋은 예이다. 그 전에는 별로 안중에도 없던 날이었지만 멕시코 인구의 증가 및 문화적 확산으로 인해 이제는 아주 중요한 기념일이 되었다. 이 날이 미국 정부의 공식 휴일이 될 날도 얼마 남지 않은 것 같다.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