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의 취약점
◇ 쏠림현상, 활력 저하 방증…"수익, 가계 소득 확충으로 연결돼야"
특정 기업과 업종으로 수익성과 등이 쏠리는 것은 경제와 산업이 그만큼 활력을 잃어버렸다는 증거다.
국내 경제를 떠받치는 주요 기업이 적다는 것은 위기가 닥쳤을 때 헤쳐나가는 힘이 그만큼 약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뜻한다.
물론 내년에 삼성과 현대차의 부진을 예상하는 증권사들은 많지 않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 3곳 이상이 추정한 내년 삼성전자와 현대차의 평균 목표주가는 각각 183만4천615원, 31만3천346원이다.
이는 지난 13일 종가인 139만원(삼성전자), 23만1천500원(현대차)보다 각각 31.9%, 35.3% 증가한 수치다.
증권사들이 장밋빛 전망을 내놓고는 있지만 두 기업의 수익성이 내년에도 보장될지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인센티브, 광고비 등 여러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 제품이 잘 팔려도 수익이 따라갈 수 없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전기전자(IT)나 자동차는 경기에 민감한 업종이라 세계 경기 흐름에 수익성이 좌우되는 경향이 크다.
올해 내내 현대차를 괴롭힌 엔화 약세가 내년에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높아 결코 안심할 상황이 아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일본 업체와 경합도가 낮아 그나마 낫지만 국내 증시에서 시가총액 비중이 너무 높다는 점은 부담이다.
삼성전자 주가가 흔들리면 한국 증시도 동반 붕괴한다는 위험은 언제든 고개를 들 수 있다. 실제로 올해 6월 스마트폰 실적을 우려한 외국계 증권사 보고서 한방에 삼성전자의 주가가 급락하자 코스피도 들썩거렸다.
김 팀장은 "쏠림 현상의 부작용은 증시 정체를 가져온다는 것에 있다"며 "삼성전자와 현대차가 적어도 현상 유지를 하면서 다른 업종들도 좋아져야 우리 경제가 활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부 대기업과 재벌 총수 자산으로의 쏠림 현상을 극복하고 기업 수익이 가계 소득 확충으로 넘어가는 연결고리를 강하게 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투자전략팀 상무는 "위의 부가 밑단까지 흘러가려면 투자가 되고 자산가격도 올라가야 하는데 단계적으로 시간이 오래걸리는 일"이라며 "중산층이 무너지고 양극화가 심한 상황에서 당장 경제가 좋아지더라도 하위층까지 혜택이 돌아가려면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기웅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책팀 부장은 "재벌들이 적은 지분을 갖고 전체 계열사를 경영하는 과정에서 기업의 성과가 대주주만을 위해 쓰이는 것은 문제"라며 "순환출자금지 등 계류된 경제민주화 관련 법안이 조속히 통과돼야 한다"고 말했다.
indigo@yna.co.kr, kong79@yna.co.kr,
특정 기업과 업종으로 수익성과 등이 쏠리는 것은 경제와 산업이 그만큼 활력을 잃어버렸다는 증거다.
국내 경제를 떠받치는 주요 기업이 적다는 것은 위기가 닥쳤을 때 헤쳐나가는 힘이 그만큼 약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뜻한다.
물론 내년에 삼성과 현대차의 부진을 예상하는 증권사들은 많지 않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 3곳 이상이 추정한 내년 삼성전자와 현대차의 평균 목표주가는 각각 183만4천615원, 31만3천346원이다.
이는 지난 13일 종가인 139만원(삼성전자), 23만1천500원(현대차)보다 각각 31.9%, 35.3% 증가한 수치다.
증권사들이 장밋빛 전망을 내놓고는 있지만 두 기업의 수익성이 내년에도 보장될지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인센티브, 광고비 등 여러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 제품이 잘 팔려도 수익이 따라갈 수 없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전기전자(IT)나 자동차는 경기에 민감한 업종이라 세계 경기 흐름에 수익성이 좌우되는 경향이 크다.
올해 내내 현대차를 괴롭힌 엔화 약세가 내년에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높아 결코 안심할 상황이 아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일본 업체와 경합도가 낮아 그나마 낫지만 국내 증시에서 시가총액 비중이 너무 높다는 점은 부담이다.
삼성전자 주가가 흔들리면 한국 증시도 동반 붕괴한다는 위험은 언제든 고개를 들 수 있다. 실제로 올해 6월 스마트폰 실적을 우려한 외국계 증권사 보고서 한방에 삼성전자의 주가가 급락하자 코스피도 들썩거렸다.
김 팀장은 "쏠림 현상의 부작용은 증시 정체를 가져온다는 것에 있다"며 "삼성전자와 현대차가 적어도 현상 유지를 하면서 다른 업종들도 좋아져야 우리 경제가 활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부 대기업과 재벌 총수 자산으로의 쏠림 현상을 극복하고 기업 수익이 가계 소득 확충으로 넘어가는 연결고리를 강하게 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투자전략팀 상무는 "위의 부가 밑단까지 흘러가려면 투자가 되고 자산가격도 올라가야 하는데 단계적으로 시간이 오래걸리는 일"이라며 "중산층이 무너지고 양극화가 심한 상황에서 당장 경제가 좋아지더라도 하위층까지 혜택이 돌아가려면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기웅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책팀 부장은 "재벌들이 적은 지분을 갖고 전체 계열사를 경영하는 과정에서 기업의 성과가 대주주만을 위해 쓰이는 것은 문제"라며 "순환출자금지 등 계류된 경제민주화 관련 법안이 조속히 통과돼야 한다"고 말했다.
indigo@yna.co.kr, kong79@yna.co.kr,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