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서방의 세상이야기(책 풀네음)
-
책에서 풀네음을 느껴보셨나요?
90년대 초 이민생활 5~6년이 지나 생활이 조금 안정되자 두고 온 서울의 하늘이 마냥 눈에 어른거리기 시작하더니 무시로 흘러간 시간에 묻히던 때가 있었다.
그 때의 나의 일상이란,
해가 뜨면 직장으로 해가 지면 둥지 찾는 새들 같이 집으로 달려와
그래서 아이들이 학교에는 잘 갔다 왔는지 보고 저녁 먹고 그리고 바로 집 사람 pick up 해 오는 게 주 된 일과였다.
그리곤 혼자서 다리 피고 쉬면서 당시는 한국 체널이 하나 뿐인 TV였지만 반갑게 서울 소식을 듣고 보다가는 잠자리에 들곤 하였었다. 어떤 땐 TV에 나오는 태극기를 보고 혼자서 눈시울을 찔끔 그리기도 하는 우스꽝스런 짓도 스스럼없이 하면서...
이런 늘 같은 하루하루가 거듭되자 서서히 가슴 한 쪽이 빈 것 같더니 나중엔 정말 일상에 식상하기 시작하였다. 우매한 중생이란 걱정을 만들어 걱정을 한다고 하더니...
아무 걱정이 없으니 새 걱정꺼리를 만드는 걱정을 하고 있으니..
뭐야 이게, 이렇게 살려고 미국에 왔나?
이렇게 살다 점점 나이가 들면 나중엔 나는 어떻게 된단 말인가, 이렇게 살다 가야 한단 말인가? 밑도 끝도 없는 별 생각이 다 들기 시작했었다.
그러다 하루는 일을 나가다가 우연히 L.A. Olympic과 Vermont 만나는 곳에 조그만 Mall 2층에 책대여 집이 있는 것을 보고는 그래 책이나 빌려다 보자하고는 시작한 게 약 2년여가 흘렀다.
그런데 어떤 땐 기분 좋게 책을 피고 몇 줄 읽다보면 이상하게 전에 어디선가 본 듯한 글체나 문장이라 다음 날 책 집에 가서 대여 장부를 확인 해보면 몇 달 전에 본 것이었다.
이렇게 읽은 책들이 그 집 한 쪽 벽 서가에 꽃인 문학 분야의 책은 다 읽게 되었는데 여기서 이상한 현상이 일어났다. 일반적으로 한 번 읽은 책은 별로 다시 읽고 싶지 않은 법인데 어떤 책은 전혀 그런 걸 느끼지 못 했다.
그건 어떤 스님의 책을 읽었는데 그 책에서 산사(山寺)의 풋풋한 풀네음을 느낄 수 있었다. 그러다 이 스님 저 스님의 책을 읽게 되었는데
예로, 석용산 스님의 “여보게, 저승 갈 때 뭘 가지고 가지?”와 “댓 그늘 한 줌 묻혀가렴.”의 1,2부는 정말 나의 지나온 삶을 진지하게 반추케 하는 책이었다.
그런데 바로 이 책, “텅 빈 충만”이란 법정 스님의 글은 너무 좋아 몇 번을 빌려 읽다가 나중엔 아예 새 책 한 권을 사서 옆에 두고 마음이 울적하면 읽고 또 읽게 되었는데 종내는 이 책이 나의 삶이 흔들릴 때마다 잡아주는 인생 지침서가 되었다.
이 책의 표지엔 한 스님 (법정)이 텅 빈 방에 앉아 명상에 들어간 듯 하는 사진이 실려있다. 그 방엔 스님이 깔고 앉은 방석 이왼 기물이라곤 아무것도 없는 그냥 빈방이었다.
관세음보살은 이 세상(世)의 소리(音)를 눈(법안)으로 본다(觀)는데
나는 이 책에서 “풀네음”을 코로 맡을 수는 없어도 마음으로 그렇게 느꼈었다.
이래서 난 이 책에서
“삿된 마음 줄이고 현실을 바르게 보고 바르게 최선을 다 하자!”는 귀한 가르침을 얻었다.
어찌하여 빈 방에서 명상을 하는데
“텅 빈 충만(充滿)” 이란 말이 나올까?
--
여러분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가 되시기 바랍니다.
--
책에서 풀네음을 느껴보셨나요?
90년대 초 이민생활 5~6년이 지나 생활이 조금 안정되자 두고 온 서울의 하늘이 마냥 눈에 어른거리기 시작하더니 무시로 흘러간 시간에 묻히던 때가 있었다.
그 때의 나의 일상이란,
해가 뜨면 직장으로 해가 지면 둥지 찾는 새들 같이 집으로 달려와
그래서 아이들이 학교에는 잘 갔다 왔는지 보고 저녁 먹고 그리고 바로 집 사람 pick up 해 오는 게 주 된 일과였다.
그리곤 혼자서 다리 피고 쉬면서 당시는 한국 체널이 하나 뿐인 TV였지만 반갑게 서울 소식을 듣고 보다가는 잠자리에 들곤 하였었다. 어떤 땐 TV에 나오는 태극기를 보고 혼자서 눈시울을 찔끔 그리기도 하는 우스꽝스런 짓도 스스럼없이 하면서...
이런 늘 같은 하루하루가 거듭되자 서서히 가슴 한 쪽이 빈 것 같더니 나중엔 정말 일상에 식상하기 시작하였다. 우매한 중생이란 걱정을 만들어 걱정을 한다고 하더니...
아무 걱정이 없으니 새 걱정꺼리를 만드는 걱정을 하고 있으니..
뭐야 이게, 이렇게 살려고 미국에 왔나?
이렇게 살다 점점 나이가 들면 나중엔 나는 어떻게 된단 말인가, 이렇게 살다 가야 한단 말인가? 밑도 끝도 없는 별 생각이 다 들기 시작했었다.
그러다 하루는 일을 나가다가 우연히 L.A. Olympic과 Vermont 만나는 곳에 조그만 Mall 2층에 책대여 집이 있는 것을 보고는 그래 책이나 빌려다 보자하고는 시작한 게 약 2년여가 흘렀다.
그런데 어떤 땐 기분 좋게 책을 피고 몇 줄 읽다보면 이상하게 전에 어디선가 본 듯한 글체나 문장이라 다음 날 책 집에 가서 대여 장부를 확인 해보면 몇 달 전에 본 것이었다.
이렇게 읽은 책들이 그 집 한 쪽 벽 서가에 꽃인 문학 분야의 책은 다 읽게 되었는데 여기서 이상한 현상이 일어났다. 일반적으로 한 번 읽은 책은 별로 다시 읽고 싶지 않은 법인데 어떤 책은 전혀 그런 걸 느끼지 못 했다.
그건 어떤 스님의 책을 읽었는데 그 책에서 산사(山寺)의 풋풋한 풀네음을 느낄 수 있었다. 그러다 이 스님 저 스님의 책을 읽게 되었는데
예로, 석용산 스님의 “여보게, 저승 갈 때 뭘 가지고 가지?”와 “댓 그늘 한 줌 묻혀가렴.”의 1,2부는 정말 나의 지나온 삶을 진지하게 반추케 하는 책이었다.
그런데 바로 이 책, “텅 빈 충만”이란 법정 스님의 글은 너무 좋아 몇 번을 빌려 읽다가 나중엔 아예 새 책 한 권을 사서 옆에 두고 마음이 울적하면 읽고 또 읽게 되었는데 종내는 이 책이 나의 삶이 흔들릴 때마다 잡아주는 인생 지침서가 되었다.
이 책의 표지엔 한 스님 (법정)이 텅 빈 방에 앉아 명상에 들어간 듯 하는 사진이 실려있다. 그 방엔 스님이 깔고 앉은 방석 이왼 기물이라곤 아무것도 없는 그냥 빈방이었다.
관세음보살은 이 세상(世)의 소리(音)를 눈(법안)으로 본다(觀)는데
나는 이 책에서 “풀네음”을 코로 맡을 수는 없어도 마음으로 그렇게 느꼈었다.
이래서 난 이 책에서
“삿된 마음 줄이고 현실을 바르게 보고 바르게 최선을 다 하자!”는 귀한 가르침을 얻었다.
어찌하여 빈 방에서 명상을 하는데
“텅 빈 충만(充滿)” 이란 말이 나올까?
--
여러분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가 되시기 바랍니다.
--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