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는 분명 무엇인가에 부딪혔다.
배가 식사전 쿵 소리와 함께 15도 잠깐 기울어졌다
다시 복원 됬다고 한다.
그 후 2시간여 만에 급격히 배는 침몰하였다.
여기서 집고 넘어 갈것은 바다는 물결이 없이 조용했다는 것이고
변침으로 짐이 쏟아질 정도의 상태는 아니였다는 것이다.
속단은 이르나 정부의 변침원인은 의혹이 너무 크다.
지금 침몰배에 바닥을 검증해야 한다.
사진에 항상 일정 사이드만 보여 주는게 너무 이상 했다.
분명 화면 반대 쪽도 분명히 볼 수 있었으나
의도적이였는지 본적이 없다.
[세월호 참사] 사고 시각은 8시 48분? 풀리지 않는 의문
2014-05-16 06:00CBS노컷뉴스 특별취재팀메일보내기
기사
댓글
크게보기작게보기인쇄
이기사 어땠어요?
최고
최고7
놀람
놀람1
황당
황당0
통쾌
통쾌3
슬픔
슬픔2
분노
분노6
페이스북9트위터16
침몰 한 달 넘도록 '확정된 진실'이 없다③
세월호가 침몰한 지도 벌써 한 달의 세월이 흘렀지만, 실체적 진실은 아직도 수면 위로 떠오르지 않고 있다. 추정과 잠정이 난무할 뿐, '확정된 진실'은 사실상 전무하다. 이러니 유족은 물론 국민들도 그 무엇보다 진상규명을 원하고 있는 현실이다. 여전히 풀리지 않는 의문과 규명해내야 할 과제들을 정리해봤다[편집자주].
<싣는 순서>
①남은 실종자 20명? 탑승자 대체 몇 명인가
②정부는 '변침'이라지만…침몰 원인도 '미궁'
③사고 시각은 8시 48분? 풀리지 않는 의문
④사고 지점 '병풍도 해상' 맞나
⑤선장과 1등 항해사의 '기묘한 행적'
⑥제주VTS '12번 채널' 어떤 교신 담겼나
세월호 자동식별장치(AIS) 기록 (해양수산부 제공)
세월호 참사를 둘러싼 여러 의문 가운데 '사고 시각'은 매우 중요한 포인트다. 침몰 원인과도 곧바로 맞닿아있기 때문이다. 사고 초반부터 최초 발생 시간을 놓고 여러 의혹들이 불거져온 것도 그래서다.
검경 합동수사본부는 15일 발표한 중간 수사 결과에서 "항적자료와 진술로 볼 때 8시 48분 이전에는 정상 운항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는 곧 1차 변침이 이뤄진 '오전 8시 48분'을 최초 사고 발생 시각으로 규정한다는 얘기다. 수사 당국은 그 근거로 '세월호 항적과 탑승자들의 진술'을 들었다.
그러나 많은 생존자와 목격자들의 진술은 이런 잠정 결론에 '물음표'를 던지고 있다. 세월호의 이상 징후는 최소한 사고 당일 오전 8시 이전부터 시작됐다는 것이다.
실제로 생존자 가운데 한 명인 서희근(53) 씨는 지난 9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사고 전날인 15일 밤 10~11시쯤 세월호가 변산반도와 군산 앞바다를 지나던 중 갑자기 15도가량 기울었다가 바로 섰다"고 증언했다.
해병대 출신인 서 씨는 "쾅하고 잠깐 기울었다 원위치로 왔기 때문에 감각을 못 느끼는 사람들은 그러려니 했을 것"이라며 "이상하다고 느껴 선상으로 나와보니 잔잔한 바다를 지나고 있어 예감이 안 좋았다"고도 했다.
기관실에 있던 승무원 전모(61) 씨도 "사고 당일 오전 7시 40분쯤 일지를 쓰는데, 둔탁한 소리가 들리고 갑자기 배가 기울었다"며 "창문이 박살나고 사람들이 한쪽으로 쏠릴 정도였다"고 증언했다.
또다른 승무원 송모(20) 씨 역시 "승객 배식이 한창 이뤄지고 있던 때부터 배가 기울기 시작했다"며 "그때가 오전 8시 조금 전이었다"는 증언을 내놨다.
현지 어민들의 사고 초반 목격담들도 수사당국의 잠정 결론과는 크게 어긋난다.
관련기사
[세월호 참사] 정부는 '변침'이라지만…침몰 원인도 '미궁'
[세월호 참사] 사고 지점 '병풍도 해상' 맞나
[세월호 참사] 선장과 1등 항해사의 '기묘한 행적'
[세월호 참사] 침몰 한 달 넘도록…'확정된 진실'이 없다
[세월호 참사] 제주VTS '12번 채널' 어떤 교신 담겼나
구조 작업에도 출동했던 한 어민은 사고 당시 일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바다로 미역을 따러 나가는 시간이 아침 6시 30분이니, 바다에서 그 배를 본 건 아마 7시~7시 30분쯤이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월호가 침몰 지점 인근에 1시간여가량 머물러 있었다는 근거가 되는 셈이지만, 당국의 수사 결과에는 이런 진술들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심지어는 범정부사고대책본부의 고명석 대변인 역시 지난달 22일 공식 브리핑에서 "오전 8시 전후에 사고가 났기 때문에 아침을 먹는 시간이어서, 식당에 가장 많은 사람이 몰려 있지 않을까 추정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같은 진술과 정황들로 볼 때 최초 사고 발생 시각은 여전히 베일에 쌓여있다. '8시 48분'이란 검경의 잠정 결론 역시 '사실의 일각'일 뿐 '확정된 진실'은 아니란 얘기다.
다시 복원 됬다고 한다.
그 후 2시간여 만에 급격히 배는 침몰하였다.
여기서 집고 넘어 갈것은 바다는 물결이 없이 조용했다는 것이고
변침으로 짐이 쏟아질 정도의 상태는 아니였다는 것이다.
속단은 이르나 정부의 변침원인은 의혹이 너무 크다.
지금 침몰배에 바닥을 검증해야 한다.
사진에 항상 일정 사이드만 보여 주는게 너무 이상 했다.
분명 화면 반대 쪽도 분명히 볼 수 있었으나
의도적이였는지 본적이 없다.
[세월호 참사] 사고 시각은 8시 48분? 풀리지 않는 의문
2014-05-16 06:00CBS노컷뉴스 특별취재팀메일보내기
기사
댓글
크게보기작게보기인쇄
이기사 어땠어요?
최고
최고7
놀람
놀람1
황당
황당0
통쾌
통쾌3
슬픔
슬픔2
분노
분노6
페이스북9트위터16
침몰 한 달 넘도록 '확정된 진실'이 없다③
세월호가 침몰한 지도 벌써 한 달의 세월이 흘렀지만, 실체적 진실은 아직도 수면 위로 떠오르지 않고 있다. 추정과 잠정이 난무할 뿐, '확정된 진실'은 사실상 전무하다. 이러니 유족은 물론 국민들도 그 무엇보다 진상규명을 원하고 있는 현실이다. 여전히 풀리지 않는 의문과 규명해내야 할 과제들을 정리해봤다[편집자주].
<싣는 순서>
①남은 실종자 20명? 탑승자 대체 몇 명인가
②정부는 '변침'이라지만…침몰 원인도 '미궁'
③사고 시각은 8시 48분? 풀리지 않는 의문
④사고 지점 '병풍도 해상' 맞나
⑤선장과 1등 항해사의 '기묘한 행적'
⑥제주VTS '12번 채널' 어떤 교신 담겼나
세월호 자동식별장치(AIS) 기록 (해양수산부 제공)
세월호 참사를 둘러싼 여러 의문 가운데 '사고 시각'은 매우 중요한 포인트다. 침몰 원인과도 곧바로 맞닿아있기 때문이다. 사고 초반부터 최초 발생 시간을 놓고 여러 의혹들이 불거져온 것도 그래서다.
검경 합동수사본부는 15일 발표한 중간 수사 결과에서 "항적자료와 진술로 볼 때 8시 48분 이전에는 정상 운항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는 곧 1차 변침이 이뤄진 '오전 8시 48분'을 최초 사고 발생 시각으로 규정한다는 얘기다. 수사 당국은 그 근거로 '세월호 항적과 탑승자들의 진술'을 들었다.
그러나 많은 생존자와 목격자들의 진술은 이런 잠정 결론에 '물음표'를 던지고 있다. 세월호의 이상 징후는 최소한 사고 당일 오전 8시 이전부터 시작됐다는 것이다.
실제로 생존자 가운데 한 명인 서희근(53) 씨는 지난 9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사고 전날인 15일 밤 10~11시쯤 세월호가 변산반도와 군산 앞바다를 지나던 중 갑자기 15도가량 기울었다가 바로 섰다"고 증언했다.
해병대 출신인 서 씨는 "쾅하고 잠깐 기울었다 원위치로 왔기 때문에 감각을 못 느끼는 사람들은 그러려니 했을 것"이라며 "이상하다고 느껴 선상으로 나와보니 잔잔한 바다를 지나고 있어 예감이 안 좋았다"고도 했다.
기관실에 있던 승무원 전모(61) 씨도 "사고 당일 오전 7시 40분쯤 일지를 쓰는데, 둔탁한 소리가 들리고 갑자기 배가 기울었다"며 "창문이 박살나고 사람들이 한쪽으로 쏠릴 정도였다"고 증언했다.
또다른 승무원 송모(20) 씨 역시 "승객 배식이 한창 이뤄지고 있던 때부터 배가 기울기 시작했다"며 "그때가 오전 8시 조금 전이었다"는 증언을 내놨다.
현지 어민들의 사고 초반 목격담들도 수사당국의 잠정 결론과는 크게 어긋난다.
관련기사
[세월호 참사] 정부는 '변침'이라지만…침몰 원인도 '미궁'
[세월호 참사] 사고 지점 '병풍도 해상' 맞나
[세월호 참사] 선장과 1등 항해사의 '기묘한 행적'
[세월호 참사] 침몰 한 달 넘도록…'확정된 진실'이 없다
[세월호 참사] 제주VTS '12번 채널' 어떤 교신 담겼나
구조 작업에도 출동했던 한 어민은 사고 당시 일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바다로 미역을 따러 나가는 시간이 아침 6시 30분이니, 바다에서 그 배를 본 건 아마 7시~7시 30분쯤이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월호가 침몰 지점 인근에 1시간여가량 머물러 있었다는 근거가 되는 셈이지만, 당국의 수사 결과에는 이런 진술들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심지어는 범정부사고대책본부의 고명석 대변인 역시 지난달 22일 공식 브리핑에서 "오전 8시 전후에 사고가 났기 때문에 아침을 먹는 시간이어서, 식당에 가장 많은 사람이 몰려 있지 않을까 추정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같은 진술과 정황들로 볼 때 최초 사고 발생 시각은 여전히 베일에 쌓여있다. '8시 48분'이란 검경의 잠정 결론 역시 '사실의 일각'일 뿐 '확정된 진실'은 아니란 얘기다.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