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한국TV 라디오서울
  • LANGUAGE
  • ENG
  • KOR
ktown1st
케이톡
  • 전체
  • 업소록
  • 케이톡
  • K블로그
  • 지식톡
  • 구인
  • 렌트
  • 부동산
  • 자동차
  • 사고팔기
    • 뉴스Ktown스토리
    • 케이톡케이톡
    • 업소록
    • K블로그
    • 지식톡
    • 부동산
    • 자동차
    • 구인
    • 렌트
    • 사고팔기
유저사진 dkp 열린마당톡 2013.02.03 신고
주역의 음양 2분법과의 만남
이, 저 DKP가 ≪주역변의미정고周易辨疑未定稿≫를 이 열린마당에 올리려다 '선열반'(禪涅槃)이 한자(漢字) 발생의 상형(象形), 해성(諧聲), 회의(會意), 형(形), 상(象), 상(像), 노ㆍ장자 위(爲), 위(僞), 변(辯), 변(辨)의 차이를 이해 못하고 '辨'이 아니라 '辯'이라며, '변해(辯解)'라면 위키피디어/구글 표절이라는 등 마냥 비아냥대기에 제가 그 것을 6번 싣고는 그만 둔 적이 있는데 오늘 beu kim 학형이 2분법에 대해 말할 사람이 있느냐고 묻기에 이에 그 내용 중의 일부를 올리려 합니다.

많은 이가 주역을 비호[辯]하나 저는 주역을 점술(divination)에 이용함을 비판[辨]하는 것임.

그 1945년, 세계 제 2차대전에 패망한 일본제국의 과학자에게 노벨물리학상이 주어지고(1948), 강의는 안해도 좋으니 우리학교 프린스턴대, 컬럼비아대교수라고 이름만이라도 걸어 달라고 요청받은 학자가 유가와 히데끼(湯川秀樹).

※이 분이 주역 애독자라는 바,
주역(周易 I CHING). 주역은 주(周)나라 주역이란 뜻은 아닙니다.
까닭은 그 이전에 신농 연산역(連山易), 黃帝(왕 이름이 '황제') 귀장역(歸藏易)이 있었다 하기에.-지금까지 책이 전해내려오지 않으나 인정함이 옳음.

그리고 64괘는 문왕이 고안했다지만 이 각각에 6문장씩 붙여 놓은 그 6효(爻) 가운데 제 36번 명이(明夷 The Cry Peasant), 제 46번 승(升 Ascendance) 및 제 63번 기제(旣濟 Fulfillment)의 그 내용으로 보아 문왕이 죽은 후에 주공(周公)이 고안한 것이 분명함.

이 주역의 원리는 음양 2분법(dichotomy)에 있으며, 역(易)이란 낱말 뜻은 자연현상이란 간단하고[簡易 간이], 변하고[變易 변역] 그러나 쉽게 이해되는 게 아니다[不易 불이]라는 뜻이 있읍니다.

2분법 dichotomy[G. dichotomia, a cutting in two, fr. dicha, in two,+tome, a cutting].
이 2분법과 간이, 변이, 불역의 조합이 다음과 같은 5가지 음양학설 지식의 기본내용.
우리나라 태극기에 태극도(太極圖 Taijitu) 음양 및 4괘(卦)의 형상.

1. The opposition of yin and yang 음양의 대립
2. The interdependence of yin and yang 음양의 의존
3. The inter-consuming-supporting relationship of yin and yang 음양의 소장
4. The inter-transforming relationship of yin and yang 음양의 전화
5. The infinite divisibility of yin and yang 음양의 연화

차례로 설명하자면

1. 대자연의 모든 사물은 '열쇠와 자물통 구멍'(key and key hole theory)처럼 서로 주고 받으면서도 대립하며 존재하고 그들 사이에 서로 제약과 투쟁적인 면이 있다¹.

열은 추위를 물리칠 수 있고, 얼음은 고온을 식힐 수 있다면 열은 양, 한랭은 음.

어떤 사물이든 자체 내에서 대립투쟁하는 인자(因子)가 있음으로 인하여 평형을 이루고 만약에 한 쪽이 지면 소수가 다수 모인 '하나의 형상'(Oneness)이라는 조화물로서의 정체성(整體性 Wholeness)을 잃고, 인간이라면 병에 걸리고, 물체라면 파괴된다.
남녀관계, 인간과 자연관계도 이와 같다.ㅡ黃帝內經 素問ㆍ陰陽應象大論 제 5章 82


2. 음양은 반드시 의존한다. 그 마찰면을 이탈하여 단독으로 존재할 수 없다. 음이 없으면 양도 없고 and vice versa, 윗 쪽은 양, 아래는 음, 위가 없으면 아래가 없고 and vice versa, 열이 없으면 추움도 없고 and vice versa, 즉, 뿌리를 같이 한다. 호근ㆍ동근(互根:同根).-前揭書

음은 안에 있고, 양은 이를 지키고, 양은 밖에 있어 음이 양을 부리고[使], 인체의 생리에서는 음은 물질, 양은 물질의 기기능(氣機能), 안에서 지키고[守], 밖에서 운동하며, 물질이 음에 있는 것.

이로써 유경도익ㆍ음양체상(類經圖翼ㆍ陰陽體象)에서 음이 없으면 양이 발생하지 않고, 양이 없으면 음은 성립되지 못한다라는 법칙이 생김.ㅡ張介賓 유경도익(AD 1624) 五運六氣學

3. 음양의 소장(消長).³ 음양은 정지상태에 놓여지지 않고 계속해서 감소하고 증가하며 운동하고 변화하는 가운데 놓여 있다.
예를 들면 인체의 각종 기능활동(動:陽)의 생산은 반드시 일정한 영양물질(陰)을 소모해야 하는데 이 것이 바로 '음소양장'(陰消陽長)의 과정이다.
반면에 각종 영양물질(陰)의 화생(化生. 理化作用)은 일정한 능량(能量 즉 陽)을 소모해야만 하는데 이는 곧 '양소음장'(陽消陰長)의 과정임.

정상적인 상황에서 이런 '음양의 소장'은 상대적인 평형의 상태 위에 놓여 있다.

만약 이러한 관계가 일정한 한도를 초월하게 되면 음양의 상대적인 평형을 유지할 수 없고, 음양의 편성편쇠(偏盛偏衰;한 쪽이 너무 커지고 다른 쪽이 너무 줄어듬)가 나타나며, 이 것이 바로 질병의 발생이 된다.

4. 음양의 전화(轉化).⁴ 사물(事物)의 음양, 이 두 면은 절대로 변하지 않은 것은 아님. 일정한 조건 아래에서 각자 상반되는 방향으로 전화(轉化)할 수 있다. 양은 음으로 전화할 수 있고, and vice versa.
만약'음양소장'이 양적변화(量的變化)의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사물의 운동변화는 음양전화(陰陽變化)로서 질적변화(質的變化)를 말한다.

전게서 소문ㆍ음양응상대론에서 "음이 중(重)하면 반드시 양(陽)이 되고, and vice versa. 한(寒)이 극(極)하면 열이 생기고, 열이 극하면 한(寒)이 생긴다"라고 기록한다.
한 면(面)은 음양의 상호전화(相互轉化)를 설명하고 다른 면(面)도 음양의 전화를 설명하지만 조건이 있다.
내부(內部)와 외부(外部)의 조건이 없으면 전화(轉化)할 수 없다.

예를 들면 급성열(熱)병은 열독(熱毒)이 지독함으로 인해 유기체의 정기(正氣)가 대량으로 소모되게 되며, 지속적인 고(高)열의 상황에서 갑자기 체온이 떨어지고, 면색창백(面色蒼白), 사지궐냉(四肢厥冷), 맥미욕절(脈微欲絶) 등의 음한위독상(陰寒危篤象) 급성폐렴이 나타난다.

이 때 만일 속히 구급조치를 알맞게 취한다면 사지(四肢)는 전온(轉溫)되고 맥상(脈狀)이 전화(轉和)되며, 양기(陽氣)가 회복되어 병정(病情)은 다시 호전(好轉)될 수 있다.
전자는 양이 음으로 전환된 경우고, 후자는 음이 양으로 전환된 경우다.

5. 음양의 연화(衍化). 음양의 2면은 또한 계속 무한히 변화한다.

┏아래 DKP의 조합분석(combinatorial analysis)은 계산을 다시 해야 함:
₂C₂=n!/(n-r)!r=2x1/(2-2)!ㆍ2ㆍ2=2/0=impossible imponderable 즉,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무한대 ∞)

[*so what 댓글을 받고 보니 '2'가 두 번 찍힌 오타.

2x1/(2-2)!r=2/0!ㆍ2=?라고 놓으면, ..어떻게 되나? 2/0!ㆍ2=2/1ㆍ2=4 ☜ so what 산수가 맞구나. 아니지 정답은 1(하나). ㅋ 허 고3실력이 다 날라갔군.

그런데 답이 life number ∞ 인데 그래도 1이 나오니 combination을 다시 전개해야겠구나. 조합에서 찾을게 아니라 y=axⁿ에서 찾으면 되겠군. so what! Thank you!]┛

즉, 음양 속에는 또 음양이 있다.
전게서 황제내경 6장 소문음양이합론(素問陰陽離合論 p.100)에서 '음양의 수(數)가 10일 수 있고, 이를 헤아리면 100일 수 있고 1,000일 수 있고, 이를 헤아리면 10,000일 수도 있다. 10,000은 크지만 음양의 요점(要点)은 하나인 것"임.
또는 음양의 정도(程度)가 다른 것에 따라서 음(陰)을 1음(一陰), 2음, 3음으로 나누고, 양(陽)을 1양(一陽), 2양, 3양으로 나눈다.

전게서 소문 66장 천원기대론(天元紀大論 p.556)에서는 "음양의 기(氣)는 각각 다소(多少)가 있다. 그래서 3음3양이라 구별한다"고 말하는데 이는 음양의 기(氣)의 차이를 지적한 것.

음이 많은 것을 태음(太陰), 적은 것을 소음(少陰), 양이 많은 것을 태양(太陽), 적은 것을 소양(少陽), 양(陽)이 극(極)하면 양명(陽明:2陽), 음(陰)이 진(盡:衰)하면 궐음(厥陰:3陰)이라 칭한다.

이 3음3양은 이미 음양의 세분(細分)을 표시할 뿐 아니라, 또한 음양의 소장변화(消長變化)를 설명하는 데 사용한다.

예를 들면 열성병(熱性病)의 발전(發展)은 태양, 양명, 소양, 태음, 소음, 궐음으로 그 증후(證候)의 유형(類型)과 전변(轉變)관계를 분석하는데 쓰인다.

※
Richard Wilhelm이 독일어로 번역(AD 1923)하여 유럽에 소개된 후에 영국의 Cay F. Baynes로 전해지고, 이 주역이 1913년까지의 프로이드 협력동료 Carl Jung(1875-1961)에 의해 정신분석학의 도구로 이용됨.

의학에서의 응용
yin-yang, underlying and controlling all nature, the aim of Chinese medicine being to produce proper balance between them.
Used in modern terms to characterized any dualistic, reciprocal control system in which one influence tends to promote things that the opposing influence tends to inhibit, and vice versa; e,g., the yin-yang hypothesis of biological control in which cyclic GMP and cyclic AMP are supposed to act in this dualistic, reciprocal way in controlling cellular functions.ㅡSteman's Medical Dictionary 26th Ed. p.1970 Williams & Wilkins 1995

주역은 경우의 수(數)를 따지는 데 좋기에 특히 이론물리학, 이론경제학, 심리학 분야에 응용하면 좋을 것이 증명됨.

이론 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은 낡은 편지봉투를 잘라서 실험도구로 삼았기에 경우의 수를 몰라 보어 앞에서 양자역학을 강력히 부정했지만, 유가와 히데끼는 주역을 참조한 것으로 전해진 meson, pion, k-capture에 대한 이론 물리학자로서 양자역학을 발전시키면서 노벨물리학상 수상자(1949).

프린스턴 Advanced Study 연구과정에 Chen Ning Yang, 컬럼비아대 Tsung Dao Lee가 "약한 상호작용, 특히 neutrino' 연구에 주역 제 53괘 Progress 漸을 응용하여 내어 놓은 dynamical law 가설이 Chien Shung Wu(女)에 의해 증명되자 Yang, Lee는 노벨물리학상을 받습니다(1957).

주역은 경우의 수(數), 논리현상학, 무작위추출, synchronicity, 불확실성이론, 심리학에서 self-understanding, decision-making에 응용한다고 알려짐.

연구하다가 생각이 않나 골치 아프면 주역을 떠들어 읽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이 DKP가 비판한 사안은 주역의 점술이용분야였음.

¹. The opposition of yin and yang.
The theory of yin-yang holds that everything in nature has two opposite aspects, namely yin and yang.
The opposition of yin and yang is mainly reflected in their ability to struggle with, and thus control each other.
For instance, warmth and heat(yang) may dispel cold, while coolness and cold (yin) may lower a high temperature. The yin or yang aspect within any phenomenon will restrict the other through opposition. Under normal conditions in the human body, therefore, a relative physiological balance of the body will be destroyed, and disease will arise. Examples are excess of yin leading to deficiency of yang, or hyperactivity of yang leading to deficiency of yin.
When yin predominates, yang will be diseased; when yang predominates, yin will be disease.

². The interdependence of yin and yang.
Yin and yang oppose each other and yet, at the same time. also have a mutually dependent relationship. Neither can exist in isolation: without yin there can be no yang, without yang no yin. Without upward movement(yang) there can be no downward movement(yin). Without cold(yin) there would be no heat(yang). Both yin and yang are the condition for the other's existence, and this relationship is known as the interdependence of yin and yang.
"Yin remains inside to act as a guard for yang, and yang stays outside to act as a servant for yin."
When this is applied to the physiology of the human body, yin corresponds to nutrient substances, and yang to functional activities.
The nutrient substances remain in the interior, therefore "yin remains inside", while the functional activities manifest on the exterior, so :yang remains outside."
The yang on the exterior is the manifestation of the substantial movement in the interior, so it is known as :the servant of yin."
The yin in the interior is the material base for functional activities and is therefore called the "guard of yang."
Without yang there would be no production of yin; without yin there would be no production of yang.


³. The inter-consuming-supporting relationship of yin and yang
The two aspects of yin and yang within any phenomenon are not fixed, but in a state of continuous mutual consumption and support. For instance, the various functional activities (yang) of the body will necessarily consume a certain amount of nutrient substance (yin).
This is the process of "consumption of yin leading to gaining of yang."
On the other hand, the production of various nutrient substances (yin) will necessarily consume a certain amount of energy (yang).
This is the process of "consumption of yang leading to the gaining of yin."
Under normal conditions, the inter-consuming-supporting relation of yin and yang is in a state of relative balance.
If this relationship goes beyond normal physiological limits, however, the relative balance of yin and yang will not be maintained, resulting in excess or deficiency of either yin or yang and the occurrence of disease.


⁴. The inter-transforming relationship of yin and yang
The two aspects of yin and yang within any phenomenon are not absolutely static. In certain circumstances, either of two may transform into its opposite, i.e. yang may transform into yin, and yin into yang.
If the inter-consuming-supporting relationship is a process of quantitative change, then the inter-transformation of yin and yang is a process of qualitative change.
:Extreme yin will necessarily produce yang, and extreme yang will necessarily produce yin...Severe cold will give birth to heat, and severe heat will give birth to cold."
On the pone hand, this illustrates the inter-transformation of yin and yang, and on the other hand, the circumstances needed for their transformation.
Without the combination of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 transformation will not occur.
Acute febrile disease is an example. Extreme heat severely consumes and damages the anti-pathogenic qi of the organism. After persistent high fever, severe cold manifestations may appear, such as a sudden drop in body temperature, pallor, cold limbs and a fading pulse.
If proper emergency treatment is given in time, the yang qi will be resuscitated and there will be an improvement in the pathological condition, with the limbs becoming warm and the complexion and pulse returning to normal.
The former is yang transforming into yin, and the latter yin transforming into yang.


5. The infinite divisibility of yin and yang
As already mentioned, yin and yang are in a state of constant change. This means that there are relative degrees of both yin and yang. It is stated "Yin and yang could amount to ten in number, they could be extended to one hundred, one thousand, ten thousand or infinity; but although infinitely divisible, yin and yang are based upon only one important principle."

According to circumstances, yin and yang can be amplified into three subdivisions respectively.
"The qi of yin and yang may be lesser or greater. That is why there are three yin and three yang."
This quotation explains that the qi of yin and yang may be greater or lesser in degree and that there are three sub-divisions of yin and three yang.
Greater Yin is called Taiyin (the third yin), Lesser Yin is called Shaoyin (the second yin), Greater Yang is called Taiyang (the third yang), Scanty Yangb is called Shaoyang (the first yang), Extreme Yang is called Yangming (the second yang) and Declining Yin is called Jueyin (the first yin).
The three yin and the three yang are a further amplification of yin and yang, and also reflect the consuming-supporting relationship of yin and yang.
The differentiation of syndromes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febrile disease is analys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Taiyang, Yangming, Shaoyang, Taiyin, Shaoyin and Jueyin categories.

아이구¿ ^-^DKP






^-^
좋아요
좋아요 0
태그
페이스북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열린마당톡 의 다른 글

veteransedu 열린마당톡 디지털 SAT 6월 직전대비 특강
디지털 SAT 6월 직전대비 특강
"그냥, 찍어버린 문제들이 많았어요..""긴장해서 그런지 모의고사보다 어려웠어요.." 지난 3, 5월 치러진 SAT 시험, 생각보다 높은 난이도에많은 학생들이 기대치보다 낮은 …더보기
0 0 21
veteransedu 열린마당톡 여름특강 SAT <토요일 집중대비반> 개강!
여름특강 SAT <토요일 집중대비반> 개강!
주 1회 SAT 수업, 도움이 될까?솔직히 말씀드리면, 주 1회 수업만으로 SAT 1500점 달성은 어렵습니다. 단순 암기가 아니라 '분석력, 추론력'을 요구하는 …더보기
0 0 40
iamthewinner 열린마당톡
두렵지만 마주쳐야할 불편한 진실
두렵지만 마주쳐야할 불편한 진실기독교는 단순히 육신적인 겉모습의 변화가 아닌 깊은 내면의 변화를추구하는 영적 가르침입니다.그 사실을 잘 못 이해한 성도에 대한 질책이 있습니다.아…더보기
0 0 20
sekorean sekorean 열린마당톡 갑골문자의 발굴과 해석, 동양사상의 근원, 거시사 Big History
갑골문자의 발굴과 해석, 동양사상의 근원, 거시사 Big History
심히 우려되고 지루한 5개월이 지나면서 이제 대한민국의 앞날에도 봄꽃이 활짝 피기를 바랍니다.새로운 안목을 주는 "거시사 Big History" 와,갑골문자로부터 형성된 동양의 …더보기
  • #BigHistory
  • #거시사
  • #은나라
  • #갑골문자
  • #주역
  • #니체
0 0 30
iamthewinner 열린마당톡
회개; 거듭남,구원, 영생에 이르게하는 확실한 안내자
기독교인이 아닐지라도 내심 영원한 삶에 대한 동경이 있습니다.영생에 이르도록 안내할 guide는 회개입니다.회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전반적인 개념을 알고 싶으시면아래 url을 …더보기
0 0 38
ajsna9504 열린마당톡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https://m.blog.naver.com/pkh1964214/223793088838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은 누가 이기고, 언제 끝나게 될까요?지금 바로 그 내용을 확인해 …더보기
1 0 33
열린마당톡 더보기

로그인

  • 회원가입
  •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글쓰기

댓글 많은 Ktalk

  • [라디오서울 좋은아침 좋은… new14
  • 라디오서울과 하이트진로가 … new11
  • 한국산 라면 new9
  • [중국 결혼 문화]굴욕이란… new8
  •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new3
  • 제주 KFC 개웃기넼ㅋㅋㅋ… new3

조회수 많은 Ktalk

  • 북클럽 안내 - 책과 함께… new0
  • 클립토(코인) 에 대한 정… new0
  • 장대한 창조와 종말의 광경… new0
  • 탐정 업무 new0
  • [SAT 무료수업] '이 … new0
  • 아틀란타/조지아 이사 오시… new0

사진으로 보는 Ktalk

  •  사기치는것이 정치인가? 사기치는것이 정치인가?

카테고리

미국에서 나와 비슷한 한인들과
이웃이 되는 공간!
  • 전체
  • 뉴스 제보 New
  • 오늘의 일상톡
  • 지역소식톡
  • 반려동물톡
  • 속풀이톡
  • 정치·이슈톡
  • 열린마당톡
  • 홍보톡
×

선택하기

카테고리를 선택해주세요.

  • 전체
  • 뉴스제보 New
  • 오늘의 일상톡
  • 지역소식톡
  • 반려동물톡
  • 속풀이톡
  • 정치·이슈톡
  • 열린마당톡
  • 홍보톡
중복선택 가능합니다.
선택저장
한국일보
사이트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교환/환불정책 광고운영
3731 Wilshire Blvd., 8th Floor, Los Angeles, CA, 90010, USA Tel.(323)450-2601
Ktown1번가 대표이메일 webinfo@koreatimes.com | 업소록 문의 yp@koreatimes.com
Powered by The Korea Times. Copyright ©The Korea 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