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장점을 살리면 성공
자신의 장점을 살리면 성공... 조정래
“Focus on what you do best, and success will follow.”
위의 말은, “자신이 잘 하는 일에 초점을 맞추면 성공이 따른다.”는 말이다.
하나님이 세상을 만드실 때 누구에게나 잘 하는 것을 한 가지씩은 주시지 않았나 생각한다. 참새는 하늘을 잘 날 수 있고, 다람쥐는 나무를 잘 타고, 물고기는 헤엄을 잘 친다.
우리도 자신만의 장점을 발견하여, “다른 것은 몰라도 이것 하나는 자신있다.”고 하는 자신감을 갖고 살아야 할 것이다.
김연아 선수는 타고난 재능과 수년간의 훈련으로 “피겨 스케이팅은 나도 자신 있다.”하고 올림픽에 나가서 금메달을 획득 했고, 장미란 선수는 타고난 튼튼한 몸과 정신력으로, “힘쓰는 일이라면 나도 자신 있다.”하고 올림픽 역도 경기에 나가 금메달을 조국에 선사해 주었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환경과 주변의 도움도 중요하겠으나, 자신을 믿는 자신감은 더 중요하다고 본다. 신지애 선수는 골프 협회 회장의 딸이나, 골프장 사장의 딸로 태어나서 세계적인 골프 선수가 된 것이 아니고, 가난한 시골 목사의 딸로 태어났으나, 자신의 재능을 발견하고 노력하여 세계적인 선수가 된 것이다.
에머슨은, “성공의 첫째 비결은 자신감”이라고 했다. (Self trust is the first secret of success.) 자신감이 있었기 때문에 성공했는지, 성공했기 때문에 자신감이 생긴 것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성공과 자신감은 서로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어 보인다.
Harvard 대학의 교육학 교수이던 Howard Gardner에 의하면, 사람의 재능은 언어, 수학 능력 뿐만 아니라, 음악, 운동, 철학, 건축, 문학, 심리, 경영등의 다양한 분야의 재능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느 한 분야에 재능이 없다고 실망하지 말고, 자신의 취향과 적성이 어느 분야에 있는지를 발견하여 자신감을 갖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경상도에서 내가 자랄 때, 어떤 사람은 “공부 머리”가 있고, 어떤 사람은 “일 머리”가 있다는 말을 들어 본 적이 있다. 학교 공부를 못하는 사람도 일을 영리하게 잘 하고, 사업 수완이 있어 성공하는 사람들도 있다는 것이다.
정신과 의사 Harold Bloomfield는, “사람들은 누구나 위대한 사람이 될 수 있는 씨가 잠재되어 있다.”고 했다. (We have the seed in us of greatness.)
자신감이 떨어지고 절망감이 몰려 올 때는, 종이에다 자신의 장점을 적어 보며 자신감을 회복해야 할 것이다. (List your assets when you’re feeling hopeless and inadequate.)
마크 트웨인은, “다른 사람이 당신을 칭찬해 주지 않으면, 당신이 당신 자신을 칭찬해 주라.”고 했다. (When you cannot get a compliment in any other way, pay yourself one. –Mark Twain)
“Focus on what you do best, and success will follow.”
위의 말은, “자신이 잘 하는 일에 초점을 맞추면 성공이 따른다.”는 말이다.
하나님이 세상을 만드실 때 누구에게나 잘 하는 것을 한 가지씩은 주시지 않았나 생각한다. 참새는 하늘을 잘 날 수 있고, 다람쥐는 나무를 잘 타고, 물고기는 헤엄을 잘 친다.
우리도 자신만의 장점을 발견하여, “다른 것은 몰라도 이것 하나는 자신있다.”고 하는 자신감을 갖고 살아야 할 것이다.
김연아 선수는 타고난 재능과 수년간의 훈련으로 “피겨 스케이팅은 나도 자신 있다.”하고 올림픽에 나가서 금메달을 획득 했고, 장미란 선수는 타고난 튼튼한 몸과 정신력으로, “힘쓰는 일이라면 나도 자신 있다.”하고 올림픽 역도 경기에 나가 금메달을 조국에 선사해 주었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환경과 주변의 도움도 중요하겠으나, 자신을 믿는 자신감은 더 중요하다고 본다. 신지애 선수는 골프 협회 회장의 딸이나, 골프장 사장의 딸로 태어나서 세계적인 골프 선수가 된 것이 아니고, 가난한 시골 목사의 딸로 태어났으나, 자신의 재능을 발견하고 노력하여 세계적인 선수가 된 것이다.
에머슨은, “성공의 첫째 비결은 자신감”이라고 했다. (Self trust is the first secret of success.) 자신감이 있었기 때문에 성공했는지, 성공했기 때문에 자신감이 생긴 것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성공과 자신감은 서로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어 보인다.
Harvard 대학의 교육학 교수이던 Howard Gardner에 의하면, 사람의 재능은 언어, 수학 능력 뿐만 아니라, 음악, 운동, 철학, 건축, 문학, 심리, 경영등의 다양한 분야의 재능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느 한 분야에 재능이 없다고 실망하지 말고, 자신의 취향과 적성이 어느 분야에 있는지를 발견하여 자신감을 갖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경상도에서 내가 자랄 때, 어떤 사람은 “공부 머리”가 있고, 어떤 사람은 “일 머리”가 있다는 말을 들어 본 적이 있다. 학교 공부를 못하는 사람도 일을 영리하게 잘 하고, 사업 수완이 있어 성공하는 사람들도 있다는 것이다.
정신과 의사 Harold Bloomfield는, “사람들은 누구나 위대한 사람이 될 수 있는 씨가 잠재되어 있다.”고 했다. (We have the seed in us of greatness.)
자신감이 떨어지고 절망감이 몰려 올 때는, 종이에다 자신의 장점을 적어 보며 자신감을 회복해야 할 것이다. (List your assets when you’re feeling hopeless and inadequate.)
마크 트웨인은, “다른 사람이 당신을 칭찬해 주지 않으면, 당신이 당신 자신을 칭찬해 주라.”고 했다. (When you cannot get a compliment in any other way, pay yourself one. –Mark Twain)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Ktown스토리
케이톡




![[겨울 특강] SAT Reading 최고 전문가, Jason 대표 강사 소개 [겨울 특강] SAT Reading 최고 전문가, Jason 대표 강사 소개](https://www.ktown1st.com/uploads/images/froalaeditor/2025/11/18/88fba3c091d33ee4feefd81af16c7826.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