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화 반대 선언 모음.
서울대 교수 국정화 반대 선언 http://timetree.zum.com/126456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우려하며 국민들께 드리는 말씀>
지난 10월 12일 정부는 학계·교육계가 줄지어 반대하고 국민적 우려가 커짐에도 불구하고 역사 교과서 국정화 결정을 공표했습니다. 우리는 학자이자 교육자의 본분을 지키려는 충정에서 정부·여당이 이 백해무익한 결정을 철회하고 분열과 대립이 아닌 대화와 통합의 길을 택할 것을 간곡한 마음으로 촉구합니다.
이미 지난 9월 2일 본교 역사전공 교수들은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에게 직접 전달한 의견서에서, 국정화는 헌법 정신에 위배되고 대한민국의 위상과 부합하지 않을뿐더러 학생들의 창의적인 사고력을 위축시켜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의 걸림돌이 될 것을 우려하면서 교과서 제작의 자율성을 허용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그 후 전공 분야를 막론하고 많은 학자와 교사, 학생, 시민들이 국정화를 반대하는 입장을 연이어 표명하고 있으며, 다수의 언론도 반대하는 입장의 논설을 게재했습니다.
201511. 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재학생·수료생·졸업생 국정화 반대 선언
10. 28 서울대 교수 국정화 반대 선언
10. 27 아주대 교수 국정화 반대 선언
10. 27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사학 관련 전공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24 해외대학 한국학 교수들의 국정화 반대 지지 성명
10. 23 부산·울산·경남 역사전공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23 광주·전남 역사학 전공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23 기독교사 국정화 반대 선언
10. 22 서울대 교수 집필 거부, 대안 교재 제작 선언
10. 21 서울시립대 국정화 반대 선언
10. 21 인하대 교수회 국정화 반대 선언
10. 21 사학계 원로 선언
10. 21 제주대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21 중앙대 사학과 졸업생 국정화 반대 선언
10. 21 전북지역 교수 국정화 반대·집필 거부 선언
10. 21 경상대·진주교대 국정화 반대·집필 거부 선언
10. 20 서울시립대 인문대 교수 국정화 반대 선언
10. 20 강릉원주대·강원대·춘천교대·연세대(원주)·한림대 국정화 반대·집필 거부 선언
10. 20 충남대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20 한국중세사학회 국정화 반대·집필 거부 선언
10. 19 대전대·목원대·선문대,·한남대 집필 거부
10. 19 중앙대 교수 국정화 반대 선언
10. 19 서울대 국사학과 대학원생·시간강사 국정화 반대 선언
10. 19 서강대 교수 국정화 반대·집필 거부 선언
10. 19 경북대·영남대·안동대·대구대·계명대·대가대·대구한의대·동국대(경주)·대구교대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9 가톨릭대·경인교대·대진대·아주대·인하대·한신대·대림대·오산대·한국산업기술대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9 전국역사교사모임, 집필 거부 선언
10. 18 국민대·덕성여대·동덕여대·명지대·상명대·서울과학기술대·서울여대·숙명여대·숭실대·성신여대·한국방송대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8 성신여대 교수, 국정화 반대 선언
10. 16 일본시민단체, 국정화 반대 성명
10. 16 충북대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6 한남대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5 동국대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5 단국대 역사 전공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5 한국역사연구회 집필 거부 선언
10. 15 서울시립대·성균관대·중앙대·한국외대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5 전남대 국정화 반대 및 집필거부 선언
10. 15 부산대 역사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5 이화여대 역사학 관련 교수 국정화 반대 및 집필 거부 선언
10. 14 한국근현대사학회 집필 거부 선언
10. 14 서울대 학생 국정화 반대 대자보
10. 14 고려대 학생 국정화 강행 규탄 기자회견
10. 14 고려대 역사계열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4 경희대 사학과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4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입장 발표
10. 14 연세대 사학과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2 역사학도 공동선언
10. 12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성명
10. 12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성명
10. 12 평등교육실현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성명
10. 12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강행 규탄 긴급 결의대회
10. 12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 청와대 규탄 기자회견
10. 11 청소년 선언
10. 11 경상대 교수 선언
10. 11 역사교육 관련 4개 학회 공동 성명
10. 11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자 협의회 성명
10. 10 충북대 교수 선언
10. 10 전국교육희망네트워크 성명
10. 7 전국동시 시민선언
10. 6 미주동포 선언
10. 6 춘천교대 교수협의회 선언
10. 6 한양대 교수 선언
10. 5 경희대 교수 선언
10. 5 목포대 교수 선언
10. 5 인하대 교수 선언
10. 2 재외동포 선언
10. 1 신라대 교수 선언
10. 1 예비 역사교사 공동선언
9. 24 대구·경북 역사학 전공 교사·교수 선언
9. 24 한국외대 교수 선언
9. 24 가톨릭대 교수 선언
9. 23 동국대 교수 선언
9. 23 2차 학부모 선언
9. 22 대전·충남 지역 교수 선언
9. 22 한국교원대 역사교육과 교수·학생 국정화 반대 및 집필 거부 공동선언
9. 21 연세대 교수 선언
9. 21 법학연구자 선언
9. 18 성균관대 교수·직원 선언
9. 17 교사 선언
9. 17 서원대 교수 선언
9. 16 고려대 교수 선언
9. 15 덕성여대 교수 선언
9. 15 부산대 역사교수 선언
9. 14 한국출판인회의 성명
9. 11 한국사 교과서 집필기준 연구진, 입장 발표
9. 9 충남·충북·대전·세종 교육감 성명
9. 9 역사·역사교육 연구자 선언
9. 8 광주·부산·경남·전남·전북·제주 교육감 성명
9. 8 서울·경기·인천·강원 교육감 성명
9. 7 1차 학부모 선언
9. 4 독립운동후손·단체 선언
9. 2 서울대 역사교수들, 의견서 제출
9. 2 현장 역사교사 선언
역사 국정교과서 반대·집필 거부 선언 물결 역사 국정교과서 반대·집필 거부 선언 물결
교육부는 12일 중·고교 역사교과서를 국정으로 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973년 박정희 정부 이후 42년 만에 역사교과서 발행 체제를 검정에서 국정으로 전환한 것입니다. 역사 국정교과서에 반대하고 집필을 거부하겠다는 목소리가 학계와 시민사회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재학생·수료생·졸업생 국정화 반대 선언 2015.11.02
우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재학생·수료생·졸업생 129인은 정부의 중·고등학교의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한다.
2015년 10월 12일, 교육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역사’ 교과서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발행체제 개선 방안”에 따라 역사교과서를 국정화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교육부는 “지속적인 이념논쟁과 편향성 논란”, “편향된 시각”과 “다양성의 퇴색”을 이유로 들어 “사실 오류와 편향성을 바로잡아 올바른 역사관을 확립하기 위한 교과서”를 만들겠다며 국정화의 논리를 내세웠다. 그러나 국정 교과서가 “올바른 역사교과서”가 될 것이라는 주장은 정부의 독선이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이유에서 정부가 추진하는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한다.
첫째, 국정 역사교과서는 정권의 성향에 치우쳐 오히려 객관적이고 공정한 역사적 해석이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 정부가 편찬하는 하나의 교과서만이 ‘올바른 역사’이며, 그것만으로 학생들에게 역사를 교육시켜야 한다는 것은 잘못된 편견이다. 정부만이 역사교과서를 쓴다는 것은 학문의 공공성을 해치는 것이며, 자유로운 사고를 억압할 우려가 있다. 역사는 다양한 해석과 시각이 공존할 때 그 가치가 보장된다. 정부에 의해 획일적으로 만들어진 역사교과서는 올바른 교과서가 될 수 없다.
둘째, 국정 교과서는 박물관 속 유산으로 계속 남겨두어야 한다. 2015년, UN은 베트남 정부에 “역사에 있어서 단 한 개의 객관적인 사실만이 존재한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며, “역사는 종교나 믿어야 할 하나의 진실이 아니라 논의되어야 할 것”이라고 권고하였다. 2013년 UN총회에서는 “단일한 역사교과서를 채택할 경우 정치적으로 이용될 위험이 크다”고 그 위험성을 말하기도 하였다. 이후, 베트남은 국정제를 검인정제로 바꿀 준비를 하고 있다. 이제 전쟁이나 경제위기, 독재정권 같은 처지인 극소수의 국가만 남았다.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시대에 뒤떨어진 시도이며, 국제 사회에서도 나쁜 본보기로 남을 것이다.
셋째, 오늘날 정부가 추진하는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민주적이지 못하며, 충분한 사회적 합의와 학문적 논의를 거치지 않고 졸속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사라진 논의와 일방적인 포고로 이루어진 일련의 과정은 많은 역사학자들의 집필 거부로 이어졌다. 역사학자들의 집필 거부는 정부가 학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게다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반대 여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국민 대다수의 바람을 거스르고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추진하는 것은 단언코 비민주적인 처사이다. 이처럼 문제 있는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정부가 추진하고 있다. 역사를 정쟁(政爭)의 도구로 삼는 것은 누구인가 되묻고 싶다. 단언컨대, 역사는 정치를 위한 무기가 아니다.
우리 한국학중앙연구원은 1978년 박정희 정권에 의하여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졌다. 과거 독재정권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했다는 비판을 받은 것이 사실이지만, 이제는 지난 과오를 바로잡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란 새이름으로 해외에 한국학의 저변을 확장하고, 각국 교과서에 실린 한국 관련 항목을 바르게 수정하는 일도 하고 있다. 또한 국내·외에서 활동할 한국학 연구자들을 양성하고 있으며, 다수의 연구자들이 다양한 시각을 공유하고 익히면서 연구하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의 구성원이자 현 사회의 구성원으로, 우리는 정부가 추진하는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를 반대한다.
2015년 11월 중·고등학교의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재학생·수료생·졸업생 129인
재학생·수료생
소준철 외 87인
졸업생
이종우 외 40인
강수지, 강연희, 김덕묵, 김동건, 김민수, 김수현, 김예진, 김정미, 김진한, 김향숙,
김혜숙, 김효진, 문혜경, 박상언, 박정애, 서민우, 서정민, 성영애, 소병문, 신선영,
양미경, 오가와 레이, 유기쁨, 유은지, 유지복, 유치석, 이강일, 이근영, 이대화, 이미선,
이태희, 정대일, 정원주, 정은균, 제송희, 조양원, 주은지, 최진아, 편나래, 허남진.
od_hong적극 동참합니다. 이정권의 본색이 지애비를 신격화 시키겠다고 하는 발상과 반민족 친일 매국 행각을 덮으려는 술책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하며,전세계가 자율편찬으로 가는데 대한민국은 거구로 국정화라니? 지애비들이 잘못을 했다면 정중히 사과하여 다음세대에에는 이런 매국행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철저히 역사를 진솔하게 알려 미연에 방지를 해야 하거늘! 허니 세월호 사건에서 304명의 학생과 시민을 죽이고도 눈하나 깜빡치 않는 이 아몰랑 정권도 정권인지? 반민족 집단은 지들의 배만 채울려려 발악하는 썩어빠진 도태된 정권이라고 선언했군요! 탄핵 이외는 방법이 없군요! 00:54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우려하는 서울대학교 교수 일동'
강상진, 강성훈, 강우성, 강진호, 고원, 구명철, 구범진, 권오영, 김건태, 김경범, 김명호, 김명환, 김병준, 김보민, 김상환, 김성규, 김월회, 김인걸, 김장석, 김정희, 김종욱, 김종일, 김지현, 김창민, 김창섭, 김현, 김현균, 김현진, 김형종, 김희숙, 남동신, 남승호, 문숙영, 문중양, 민은경, 박수철, 박성창, 박진호, 박훈, 박흥식, 박희병, 방민호, 변현태, 봉준수, 서영채, 서철원, 손유경, 손영주, 신혜경, 안지현, 양승국, 여운경, 오수창, 오수형, 오순희, 유요한, 윤상인, 이강재, 이건우, 이동신, 이두갑, 이만기, 이상찬, 이석재, 이선복, 이성헌, 이승재, 이용원, 이은정, 이정환, 이정훈, 이종묵, 이주형, 이준정, 이창숙, 이현희, 임호준, 임홍배, 장원태, 전영애, 전형준, 정병설, 정용욱, 정원재, 정하경, 정항균, 조성우, 조은수, 조현설, 주경철, 최갑수, 최권행, 최종성, 한서린, 한성일, 한정숙, 허수, 홍기선, 홍진호, 황선엽, 데이빗 라이트(David K. Wright), 셈 베르메르스(Sem Vermeersch), 하민성(Milan Hejtmanek) (이상 인문대) 강명구, 강윤희, 구인회, 권숙인, 권현지, 김석호, 김영민, 김영식, 김용창, 김은미, 김의영, 김혜란, 김홍중, 박승관, 박원호, 박종희, 박주용, 배은경, 신혜란, 안두환, 오명석, 오성주, 윤영관, 이옥연, 이은주, 이재원, 이재현, 이준웅, 이준환, 이철희, 이현정, 장경섭, 정근식, 정진성, 조흥식, 주병기, 채수홍, 최병선, 최승주, 최진영, 하정화, 한신갑, 홍백의, 황익주, 올가 페도렌코(Olga Fedorenko) (이상 사회대) 강남규, 계승혁, 김상종, 김성연, 김영원, 김영훈, 김선기, 김웅태, 김재범, 김진수, 김판기, 김현아, 남성현, 노유선, 민홍기, 박상현, 박용선, 박철환, 박태성, 석차옥, 설재홍, 신동우, 신석민, 안광석, 오병권, 오희석, 우종학, 원중호, 윤성철, 이건수, 이동환, 이원재, 이일하, 이재용, 이준호, 이지영, 이철범, 이현숙, 이형목, 이훈희, 임명신, 임선희, 임종태, 장원철, 정연준, 정자아, 조철현, 조형택, 천정희, 최무영, 하승열, 허원기, 홍성욱, 홍성철 (이상 자연대) 김성재 (간호대) 강성춘, 안태식 (이상 경영대) 김승회, 김영오, 김장주, 김재관, 민기복, 박찬, 송준호, 신창수, 오승모, 윤제용, 이광근, 이관중, 전봉희, 전화숙, 최기영, 최해천, 한무영, 홍성필, 홍유석 (이상 공대) 류영렬, 문정훈, 박은우, 박일권, 배정한, 윤여창, 장진성, 조철훈, 최영찬, 하남출 (이상 농생대) 김민수, 김정희, 김춘수, 김형관, 민복기, 윤동천, 정영목, 정의철, 한정용 (이상 미대) 김도균, 박은정, 양현아, 윤진수, 이봉의, 이창희, 전상현, 전종익, 정긍식, 조국, 한인섭 (이상 법대) 강대중, 곽덕주, 김덕수, 김유겸, 김정용, 김종철, 김진하, 김태웅, 김희민, 나영일, 나일주, 류재명, 민병천, 박배균, 박성춘, 박재범, 박찬구, 박평식, 박현정, 서기원, 서의식, 소경희, 신문수, 신종호, 양호환, 우용제, 유성상, 유용태, 윤대석, 이경화, 이시내, 이준규, 임철일, 임충훈, 장승일, 정원규, 조영달, 조영환, 최승언, 한숭희, 이케 스스무(Ike Susumu) (이상 사범대) 여정성, 윤지현, 이유리, 이주영, 황금택 (이상 생활과학대) 우희종, 이항 (이상 수의대) 박정일, 서영배 (이상 약대) 김승근, 민은기, 서정은, 이석원 (이상 음대) 강영호, 강웅구, 고재성, 김성준, 김옥주, 김인규, 김재원, 김항래, 도영경, 류주석, 신애선, 이석호, 이진석, 임재준, 전주홍, 정진행, 조남혁, 최지은, 호원경, 홍윤철, 황상익 (이상 의대) 김범수, 서경호, 장대익 (이상 자유전공학부) 김성균, 김창엽, 김호, 김홍수, 백도명, 성주헌, 원성호, 윤충식, 이태진, 조성일, 최경호 (이상 보건대학원) 고길곤, 금현섭, 박상인, 엄석진, 우지숙, 홍준형 (이상 행정대학원) 김경민, 서예례, 성종상, 오능환, 윤순진, 이도원, 이동수, 이석정, 홍종호 (이상 환경대학원) 김태균, 박태균, 조영남, 한영혜 (이상 국제대학원) 김각균, 김홍기, 서병무, 우경미, 이삼선, 이성중, 이신재, 이장희, 최순철 (이상 치대) 서봉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권태억, 김용덕, 김정욱, 나종일, 이정전, 이준구, 이태진, 장회익, 정옥자, 한영우 (이상 명예교수) 총 서명인 382명.
http://omn.kr/fh9c
서울대교수 382명
서울대교수 382명 "국정교과서, 집권층 일부 무리수" - 오마이뉴스서울대 교수 382명이 28일 정부·여당에 "시대에 역행하는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취소하고, 교과서의 자율성을 보장할 것"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우려하며 국민께 드리는 말씀'이라는 제목의 성명에는 서울대 교수 372명 및 명예교수 10명 등 총 382명이 실명을 올렸다. 여기에는 이태진·정옥자 전 국사편찬위원장, 김용덕 동북아역사재단 초대 이사장도 참여했다. 교수들은 성명에서 "정부는 학계·교육계가 줄지어 반대하고 국민적 우려가 커짐에도 역사교과서 국정화 결정을 공표했다"며 "우리는 학자이자 교육자의 본분OMN.KR
od_hong적극 동참합니다. 이정권의 본색이 지애비를 신격화 시키겠다고 하는 발상과 반민족 친일 매국 행각을 덮으려는 술책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하며,전세계가 자율편찬으로 가는데 대한민국은 거구로 국정화라니? 지애비들이 잘못을 했다면 정중히 사과하여 다음세대에에는 이런 매국행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철저히 역사를 진솔하게 알려 미연에 방지를 해야 하거늘! 허니 세월호 사건에서 304명의 학생과 시민을 죽이고도 눈하나 깜빡치 않는 이 아몰랑 정권도 정권인지? 반민족 집단은 지들의 배만 채울려려 발악하는 썩어빠진 도태된 정권이라고 선언했군요! 탄핵 이외는 방법이 없군요! 00:54
아주대 교수 국정화 반대 선언 2015.10.27
성 명 서
박근혜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 작업이 한국 사회를 거센 갈등과 분열의 소용돌이 속으로 몰아넣고 있다. OECD 가입 국가의 절대 다수가 채택하고 있지 않은 교과서국정제에 골몰하는 것은 다른 부문에서 정부가 그토록 강조해마지 않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크게 어긋날 뿐 아니라 역사 서술과 교육에 개입해 후속 세대의 인식을 통제하려는 의지를 노골화함으로써 교육이라는 백년대계를 훼손할 따름이다.
사학과 교수를 비롯한 우리 아주대학교 교수들은 이런 사태를 심히 우려하면서 여러 단체와 교육자들이 개진한 바 있는 국정화 추진과 교과서 집필 참여에 대한 반대 의견을 존중하고 그 뜻을 함께 하고자 한다.
우리는 국민들의 경험과 기억에 대한 서술을 독점하고 특정한 방향의 획일성을 강화하려는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이 다양성을 인정하고 배려하는 민주주의 사회의 기본 가치와 양립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 더욱이 역사교육의 본령이 사실의 단순한 주입을 통해 자기 민족이나 국가의 위대성을 강조하는 것을 넘어 비판적 자기성찰의 능력을 지니도록 돕는 데 있음을 감안할 때, 국정화에 의한 교육의 획일화는 역사 인식의 왜곡에 기여할 뿐임을 엄중히 경고한다.
우리는 전문가들의 거듭된 반대에도 아랑곳없이 정부의 검인정 과정을 거쳐 교육 현장에서 자리 잡아온 교과서들을 불온시하는 자가당착적 태도와 정권의 취향에 맞는 교과서 하나만을 올바르다고 강요하는 독재적 발상을 강력히 규탄한다. ‘올바른’ 교과서를 자처하는 것은 ‘이것만이 진리’라는 식의 유치하고 참람하기 짝이 없는 태도라 아니할 수 없다. 국정 교과서만으로 공부하면 학생들이 실제 역사의 다양한 흐름에 우둔해질 수 있는 역설적인 결과를 낳고 역사 과목 자체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떨어뜨리는 불행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우리는 역사 속에서 시비와 포폄을 살피고 교훈과 규범을 찾아내 이를 현실을 비춰보는 거울로 삼으려는 동양의 역사 서술 전통을 상기하고자 한다. 또한 공정한 역사 기록을 방해하려는 권력자에 굴하지 않겠다는 춘추필법의 정신에 입각해 정부의 국정화 추진을 단호히 반대한다. 따라서 “김일성 주체사상을 우리 아이들이 배우고 있습니다,” “종북좌익편향 교과서로 우리 아이들이 배우고 있습니다” 등 사실의 맥락에서 동떨어진 자극적 문구의 플래카드를 내걸고 정쟁을 부추기는 집권 여당의 언동을 규탄한다.
이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1.정부는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하는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추진 방침을 즉각 철회하라!
2.정부와 여당은 한국사 교과서 문제의 정치 도구화와 책략적인 색깔론 공세를 즉각 중단하라!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을 반대하는 아주대학교 교수 148인 일동
od_hong적극 동참합니다. 이정권의 본색이 지애비를 신격화 시키겠다고 하는 발상과 반민족 친일 매국 행각을 덮으려는 술책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하며,전세계가 자율편찬으로 가는데 대한민국은 거구로 국정화라니? 지애비들이 잘못을 했다면 정중히 사과하여 다음세대에에는 이런 매국행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철저히 역사를 진솔하게 알려 미연에 방지를 해야 하거늘! 허니 세월호 사건에서 304명의 학생과 시민을 죽이고도 눈하나 깜빡치 않는 이 아몰랑 정권도 정권인지? 반민족 집단은 지들의 배만 채울려려 발악하는 썩어빠진 도태된 정권이라고 선언했군요! 탄핵 이외는 방법이 없군요! 00:53
2015.10.27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사학 관련 전공 교수 집필 거부 선언
정부는 시대착오적인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을 즉각 중단하라!
지난 10월 12일 정부는 대다수의 역사학자, 일선 역사교사들을 비롯한 각계각층의 거센 반대에도 불구하고 역사 교과서 국정화 행정예고에 들어갔다. 사소한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도 필수적으로 행하는 관계 전문가나 교육계의 여론 수렴 절차는 철저하게 무시되고 정치정략에 의해 추진되었음은 물론이다.
먼저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은 시대를 거스르려는 발상이라는 것을 지적해 둔다. 한국사 교과서의 발행 체제는 당대의 정치사회 현실을 반영하면서 변화를 거듭해왔다. 국가 권력의 역사교과서 독점은 일제 강점기에 시작된 것이며, 일제가 물러나면서 파기되었다가 유신 체제하에서 독재정치를 정당화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가 개입되면서 다시금 국정교과서 제도로 부활되었다. 한마디로 국정교과서는 폭압이 난무하는 20세기 역사의 산물로, 다양한 가치가 공존하고 화해와 협력을 추구하는 21세기를 사는 오늘날에는 박물관에서나 찾을 수 있는 구시대적 유물이다. 지금 다시 역사교과서를 국정화하겠다는 것은, 역사를 현실 정치 논리에 따라 마음대로 좌지우지하면서 권력을 유지하겠다는 선언이나 마찬가지이다. 이는 학문의 자유와 교육의 자치를 보장하는 우리의 헌법 정신과도 위배되는 것이다.
국정교과서의 도입은 세계가 주목하는 발전된 한국 사회의 위상과 품격을 훼손하는 수치스런 조치이다. OECD 참여국의 다수는 이미 검·인정제로부터 자유발행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국정교과서는 북한과 같은 독재국가나 후진국에서나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2013년 10월 유엔인권이사회 문화적 권리 분야 특별조사관은 역사서술과 역사교육, 특히 역사교과서 편찬에서 국가와 정부의 개입을 경계하는 보고서를 채택한 바 있다. 한마디로 국정교과서는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 편찬과 관련한 국제적 규범을 역행하는 조치로, 그동안 동아시아 역사문제의 해결을 선도해 온 한국학계의 성과를 백지화할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가 일구어 온 국제적 위상과 품격을 송두리째 무너뜨릴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폐해는 심각하다.
더구나 국정화 추진 과정에서 자행된 정부, 여당 인사들의 자극적인 색깔론은 역사학자와 역사교육자가 쌓아 온 전문성을 무시, 폄하, 매도하고 국론분열과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이들은 제대로 된 근거도 제시하지 못한 채 자극적인 문구를 앵무새처럼 반복하면서 현행 검정 한국사 교과서가 좌편향되었다고 공격하고 있다. 역설적이게도 현행 교과서는 이명박 정부 하에서 만들어진 교육과정과 집필기준에 의해 집필되었고, 박근혜 정부의 검정·심의를 통과한 교과서이다. 이 사실은 한국의 미래세대에게 제공될 역사교과서에 대한 이들의 판단과 조치가 얼마나 주먹구구식으로 좌충우돌하고 있는지 스스로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더 이상 단편적이고 편협한 가치와 판단으로 역사교과서 논쟁을 부추기지 말고 역사 연구와 교육의 전문성을 인정하면서 전문가에 맡겨두기를 바란다.
권력이 역사책을 바꾸려 할지라도 역사는 결코 독점되거나 사유화될 수는 없다. 이는 지난 오랜 세월의 교훈이자 경험이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교과서 국정화 계획을 철회해야 할 것이다. 만약 많은 전문가, 시민들의 합리적 요구를 무시하고 기어코 한국사 교과서를 국정화한다면 우리는 국정 교과서 집필은 말할 것도 없고 제작과 관련한 연구, 개발, 심의 등 어떤 과정에도 참여하지 않을 것이다.
2015년 10월 27일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사학 관련 전공 교수
○ 한국사학 전공 : 신종원, 권오영, 구난희, 심재우, 오강원, 이강한 ○ 고문헌관리학 전공 : 전경목, 옥영정
http://omn.kr/fh6f
'정부 출연' 한국학연구원 교수들도 '집필 거부' - 오마이뉴스
'정부 출연' 한국학연구원 교수들도 '집필 거부' - 오마이뉴스정부 출연 공공기관인 한국학중앙연구원(아래 연구원) 소속 역사학 전공 교수 10명 가운데 8명이 국정교과서 집필 거부를 선언했다. 27일 오후 연구원의 한국사학과(6명), 고문헌 관리학과(2명) 소속 교수 8명은 실명을 내걸고 "권력이 역사책을 바꾸려 할지라도 역사는 결코 사유화될 수는 없다"면서 "국정교과서 집필은 말할 것도 없고 제작과 관련한 연구·개발·심의 등 어떤 과정에도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선언 교수들 "일부 교수가 국정화 찬성하지만, 다수는..."이 연구원에 소속된 교학사의 <한국사> 교과서 집OMN.KR
_hong적극 동참합니다. 이정권의 본색이 지애비를 신격화 시키겠다고 하는 발상과 반민족 친일 매국 행각을 덮으려는 술책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하며,전세계가 자율편찬으로 가는데 대한민국은 거구로 국정화라니? 지애비들이 잘못을 했다면 정중히 사과하여 다음세대에에는 이런 매국행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철저히 역사를 진솔하게 알려 미연에 방지를 해야 하거늘! 허니 세월호 사건에서 304명의 학생과 시민을 죽이고도 눈하나 깜빡치 않는 이 아몰랑 정권도 정권인지? 반민족 집단은 지들의 배만 채울려려 발악하는 썩어빠진 도태된 정권이라고 선언했군요! 탄핵 이외는 방법이 없군요! 00:53 2015.10.24
해외대학 한국학 교수들의 국정화 반대 지지 성명
한국 역사학자들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를 지지하는 성명서
우리는 대한민국(이하 한국)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계획을 우려하며 이 성명서를 발표합니다. 우리는 해외 대학에서 한국사 관련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는 교수들입니다. 우리는 민주주의 국가에서의 역사교과서는 다양한 의견과 분석을 존중하고, 자유로운 토론과 전문 역사학자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만들어져야 한다고 믿습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국정부의 국정화 계획은 지난 몇년 간 자유로운 발언의 기회와 학문공동체의 자유를 억압해 온 정부 정책들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봅니다. 과거는 결코 돌이킬 수 없습니다. 그러나 역사서술은 새로운 질문들이 제기되면서 계속 변화해 갑니다. 역사는 정밀한 과학과 다릅니다. 역사는 전문 역사학자들의 다양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역사에 단일한 해석을 적용해서 '올바른' 역사를 만들 수는 없습니다.
민주주의에 기반한 사회에서 역사는 특정 소수의 입장만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의 경험을 포괄해야만 합니다. 한국사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학생들에게 소개함으로써, 학생들은 과거의 역사가 결코 단순하지 않다는 것을 배울 수 있고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 궁극적으로 소신있는 한국의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한국의 역사적 정통성과 함께 세계 정치경제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한국의 위상이 한국인은 물론 해외에 있는 관찰자들에게도 자명하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정부의 국정교과서 계획은 민주국가로서 인정받은 한국의 국제적 명성에 악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또한 그것은 일본 정부의 역사 수정주의를 둘러싼 지역 내부의 분쟁에서 한국의 도덕적 기반을 약화시킬 것입니다.
해외 대학의 한국학 교수들인 우리 서명자들은 한국정부가 역사교과서의 내용을 전유하는 것을 그만 두고, 다양한 견해들을 포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 역사교육의 탈정치화에 힘써주기를 촉구합니다. 또한, 우리는 한국정부가 학문공동체의 자유를 존중하고 국내외의 한국학 교수들의 지식생산과 보급에 개입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한국 바깥에서 많은 사람들이 현재 국정교과서 논쟁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우리는 한국정부가 21세기 세계 속의 한국의 위상에 걸맞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를 간곡히 바랍니다.
서명자 명단(154명/성 알파벳 순)
Avram Agov (Langara College)
Ji-Hyun Ahn (University of Washington, Tacoma)
Juhn Ahn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Yonson Ahn (University of Frankfurt)
Jong Chol An (University of Tuebingen)
Jinsoo A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Don Bake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Jonathan W. Best (Wesleyan University)
Adam Bohnet (King's University College at Western University)
Gregg Brazinsky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Remco Breuker (Leiden University)
Soo-yong Byu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aul S. Cha (University of Hong Kong)
Vipan Chandra (Wheaton College)
Kornel Chang (Rutgers University, Newark)
Seung-Eun Chang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Erica Cho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Haewon Cho (University of Pennsylvania)
Hangtae Cho (University of Minnesota)
Heekyoung Cho (University of Washington)
Hichang Cho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Yonjoo Cho (Indiana University)
Ellie Choi (Cornell University)
Hyaeweol Choi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Jungbong Choi (New York University)
Yoonsun Choi (University of Chicago)
Hae Yeon Choo (University of Toronto)
Steven Chung (Princeton University)
Donald N. Clark (Trinity University)
Bruce Cumings (University of Chicago)
Koen De Ceuster (Leiden University)
John P. DiMoia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John B. Duncan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Stephen Epstein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Kevin Gray (University Sussex)
James H. Grayson (University of Sheffield)
Laam Hae (York University)
Ju Hui Judy Han (University of Toronto)
Kwangsoo Han (Community College of Baltimore County)
Martin Hart-Landsberg (Lewis and Clark College)
Todd A. Henry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Christine Hong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Mickey H. Hong (Los Angeles City College)
Theodore Hughes (Columbia University)
Nam-lin Hu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Dongyoun Hwang (Soka University of America)
Kyung Moon Hwang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Ryota Ishikawa (Ritsumeikan University)
Andrew David Jackson (University of Copenhagen)
Roger L. Janelli (Indiana University)
Areum Jeong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Kelly Y. Jeong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Ji-Yeon O. Jo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Ji-Young Jung (University of Pennsylvania)
Jiwook Jung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Kyungja Jung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Moon-Ho Jung (University of Washington)
Jennifer Jung-Kim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Hong Kal (York University)
George L. Kallander (Syracuse University)
Hugh Kang (University of Hawai'i)
Inkyu Kang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Jaeho Kang (SOAS, University of London)
Jiyeon Kang (University of Iowa)
Anders Karlsson (SOAS, University of London)
George Katsiaficas (Wentworth Institute of Technology)
Laurel Kendall (Columbia University)
Changhyun Kim (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Cheehyung Harrison Kim (University of Missouri)
Daeyeol Kim (INaLCO, Universit? Sorbonne Paris Cit?)
Heeyon Kim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Hongkyung Ki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Stony Brook)
Immanuel Kim (Binghamton University)
Jaeeun Kim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Janice C. H. Kim (York University)
Jina Kim (Smith College)
Jungwon Kim (Columbia University)
Kyu Hyun Kim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Kyung Hyun Kim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Minju Kim (Claremont McKenna College)
Minku Kim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Monica Kim (New York University)
Sangbok Kim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Seon Mi Kim (Ramapo College of New Jersey)
Sonja Kim (Binghamton University)
Soohee Kim (University of Washington)
Su Yun Kim (University of Hong Kong)
Sun-Chul Kim (Emory University)
Sun Joo Kim (Harvard University)
Suntae Kim (Boston College)
Suzy Kim (Rutgers University)
Thomas P. Kim (Scripps College)
Wooksoo Kim (University at Buffalo,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Jessie Kindig (Indiana University)
Ross King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Kijoo Ko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June Hee Kwon (New York University)
Nayoung Aimee Kwon (Duke University)
Kirk W. Larsen (Brigham Young University)
Cheol-Sung Lee (University of Chicago)
Hyangjin Lee (Rikkyo University)
Hyo Sang Lee (Indiana University)
Namhee Le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Sangjoon Lee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eung-joon Le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Yoonkyung Lee (Binghamton University)
James B. Lewis (Wolfson College, University of Oxford)
Ramsay Liem (Boston College)
Sungyun Lim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Roald H. Maliangka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Richard D. McBride II (Brigham Young University-Hawai'i)
Owen Miller (SOAS, University of London)
Yongsoon Min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Tessa Morris-Suzuki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Justyna Najbar-Miller (University of Warsaw)
Hwasook Nam (University of Washington)
Yunju Nam (University at Buffalo,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Bonnie Bongwan Cho Oh (Georgetown University)
Robert Oppenheim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Osamu Ota (Doshisha University)
Hyung Il Pai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Albert L. Park (Claremont McKenna College)
Eugene Y. Park (University of Pennsylvania)
Hyun Ok Park (York University)
Jin Y. Park (American University)
Junghee Park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Kyong Park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So Jeong Park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oon Won Park (American University)
Mark Peterson (Brigham Young University)
Michael J. Pettid (Binghamton University)
Jelena Prokopljevic (Autonoma University of Barcelona)
Robert C. Provine (University of Maryland)
Jooyeon Rhe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Michael Robinson (Indiana University)
Rebecca N. Ruhlen (Davidson College)
Andre Schmid (University of Toronto)
Michael D. Shin (University of Cambridge)
Edward J. Shultz (University of Hawai'i)
Codruta S?ntionean (Babes-Bolyai University)
Heejeong Sohn (Stony Brook University)
Clark W. Sorensen (University of Washington)
Serk-Bae Suh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Victor A. Ten (Moscow State Regional University)
Vladimir Tikhonov (University of Oslo)
John Treat (Yale University)
EunYoung Won (University of Washington)
Hyeyoung Woo (Portland State University)
Hwajin Yang (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Jaehoon Yeon (SOAS, University of London)
Kyung-Eun Yoon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County)
Seungjoo Yoon (Carleton College)
Jong-sung You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Ji-Yeon Yuh (Northwestern University)
od_hong적극 동참합니다. 이정권의 본색이 지애비를 신격화 시키겠다고 하는 발상과 반민족 친일 매국 행각을 덮으려는 술책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하며,전세계가 자율편찬으로 가는데 대한민국은 거구로 국정화라니? 지애비들이 잘못을 했다면 정중히 사과하여 다음세대에에는 이런 매국행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철저히 역사를 진솔하게 알려 미연에 방지를 해야 하거늘! 허니 세월호 사건에서 304명의 학생과 시민을 죽이고도 눈하나 깜빡치 않는 이 아몰랑 정권도 정권인지? 반민족 집단은 지들의 배만 채울려려 발악하는 썩어빠진 도태된 정권이라고 선언했군요! 탄핵 이외는 방법이 없군요! 00:50 2015.10.23
부산·울산·경남 지역 역사전공교수
<역사>·<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및 집필 거부 선언
우리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역사전공 교수들은 역사를 연구하는 학자,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육자, 시대의 과제를 함께 풀어가야 하는 지성인의 양심으로 박근혜 정부의 <역사>․<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단호히 반대한다. 또한 국정 교과서의 집필 및 수정․심의 작업과 이후 국정 교과서를 활용한 정책연구 및 출제 등의 제반 활동에 일체 참여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
국정교과서는 대한민국 헌법이 명시한 학문과 사상의 자유를 침해하고 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강조하는 헌법정신에도 정면으로 위배된다. 정치적 외압과 간섭을 받지 않고 교과서를 쓸 때에만 역사교육의 자주성․전문성․중립성이 보장될 수 있다면,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이러한 교과서 집필의 전제 조건을 부정하는 것이다. 우리 역사전공 교수들이 국정교과서의 집필과 관련한 모든 활동을 거부하는 주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하나의 역사해석, 하나의 역사교과서”를 강요하는 국정교과서는 과거 독재 권력의 산물로서 그 자체가 비역사적이며, 반교육적이다. 이것이 우리가 집필을 거부하는 또 하나의 이유이다. 무릇 역사연구와 역사교육의 본질은 엄정한 사실의 규명과 비판적 해석을 통해 교훈을 얻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재를 성찰하여 보다 나은 미래를 전망하는 데 있다. 과거의 번영과 영광은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여 밝은 미래를 준비하게 하고, 과거의 고난과 굴욕은 불행했던 과거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해주는 동력이 된다. 그러므로 과거의 밝은 면과 어두운 면 모두를 있는 그대로 기록하고 연구하고 가르침이 마땅하다. 다양하고 비판적인 해석을 제거해버린 역사는 이미 역사일 수 없으며, 그러한 역사교육은 특정한 주장의 주입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는 멀리는 2008년의 <한국근․현대사>교과서 사태 가까이는 2013년 교학사 <한국사>교과서 사태 이후로, 정부 여당과 교육부가 역사연구와 역사교육에 행한 반민주적․반역사적․반교육적 정책에 대한 무수한 전문가들의 고언과 나라와 교육의 앞날을 걱정하는 국민들의 목소리가 무참히 묵살되는 것을 참담한 심정으로 지켜보아 왔다. 자신의 학문 분야에서 충실히 연구해 온 역사학자들과, 우리 아이들을 위한 역사교육에 매진해 온 교사들을 일방적인 이념의 잣대로 ‘좌편향’ 되었다고 매도해버리는 천박한 정치적 편 가르기가 결국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로 귀결되었다고 우리는 판단한다.
작금의 사태는 역사교육을 권력의 도구로 삼으려는 국가주의적 역사교육 정책의 연장선에서 벌어지고 있으며, 이에 온 사회가 상식과 양심에 따라 강하게 맞서지 않을 경우, 우리의 미래는 참으로 암울하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현재 우리 사회를 둘로 쪼개어 극심한 대립을 초래하고 있는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본질은, 정부와 여당에서 주장하고 있는 이념의 문제가 아니다. 축적된 역사학의 성과를 기반으로 미래의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우리의 자녀들에게 다양하고 좋은 역사교재를 만들어 줄 수 있는 제도를 확립하는 문제, 우리의 후속 세대를 주체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민주시민으로 길러내는 교육 본연의 문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의 헌법정신에 입각하여 교육의 중립성과 전문성을 지키는 문제가 그 핵심이다. 다양한 교과서를 권장하는 유네스코의 권고나 국정교과서에 대한 1992년 헌법재판소의 판례를 새삼 거론하지 않더라도 이 점은 너무나 명확한 것이다.
우리는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철회하지 않을 경우 박근혜 정부가 더욱 심각한 국민적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임을 밝히며, 다음 사항을 실행에 옮길 것을 엄중히 요구한다.
1.<역사>․<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즉각 철회하라.
2.역사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교과서 발행제도를 새롭게 법제화하라.
3.역사교과서 문제를 정략적으로 이용하지 말라.
2015년 10월 23일
<선언 참여교수 소속 및 명단>
경남대학교 역사학과(유장근), 경상대학교 사학과(강길중, 김상환, 김제정, 신종훈, 윤경진, 정재훈, 조영재), 경상대학교 역사교육과(권오현, 김준형, 김해영, 박종현, 차영길), 경성대학교 인문문화학부 사학전공(강대민, 백윤목, 이경일), 동아대학교 사학과(김광철, 김학이, 이기영, 홍순권), 동의대학교 사학과(김인호, 김형열, 박순준, 최연주), 부경대학교 사학과(김문기, 이근우, 박원용, 박화진, 조세현), 부산대학교 고고학과(김두철, 배진성, 신경철, 양은경, 임상택), 부산대학교 사학과(곽차섭, 김동철, 서영건, 오상훈, 유재건, 윤 욱, 이수훈, 이종봉, 채상식, 최덕경, 최원규), 부산대학교 역사교육과(송문현, 양정현, 윤용출, 장동표, 조흥국, 차철욱, 홍성화), 부산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오인택, 전진성), 부산외국어대학교 역사관광학과(권덕영, 박 강, 변기찬, 최경숙), 부산외국어대학교 인도학부(이광수), 부산외국어대학교 러시아중앙아시아학부(우덕찬), 부산외국어대학교 스페인중남미학부(임상래), 신라대학교 역사교육과(김세윤, 김정식, 방지원, 임병철), 신라대학교 역사문화학과(김명환, 배경한, 이송희), 울산대학교 역사문화학과(김두현, 김호연, 서정훈, 양상현, 이성구, 이종서, 전호태, 허영란), 진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윤 정, 하경수), 창원대학교 사학과(구산우, 남재우, 도진순, 신동규, 이
윤상, 전형권), 한국해양대학교 동아시아학과(류교열, 하세봉), 한국해양대학교 유럽학과(정문수)
(학교 순/가나다 순)
이상 14개 학교, 22개 학과(학부/전공), 87명
http://omn.kr/fgky
부산·울산·경남 역사교수들 '국정화 교과서 집필 거부' - 오마이뉴스
부산·울산·경남 역사교수들 '국정화 교과서 집필 거부' - 오마이뉴스부산·울산·경남 지역 대학 역사전공 교수들이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 즉각 철회'를 촉구하며 '집필 거부'를 선언했다. 23일 경상대·경남대·창원대·진주교대·부산대·부산교대·울산대 등 14개 대학 22개 학과(학부·전공) 교수 88명은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집필 거부 선언문'을 발표했다.교수들은 선언문을 통해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즉각 철회할 것"과 "역사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교과서 발행제도를 새롭게 법제화할 것", "역사교과서 문제를 정략적으로 이용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대OMN.KR
od_hong적극 동참합니다. 이정권의 본색이 지애비를 신격화 시키겠다고 하는 발상과 반민족 친일 매국 행각을 덮으려는 술책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하며,전세계가 자율편찬으로 가는데 대한민국은 거구로 국정화라니? 지애비들이 잘못을 했다면 정중히 사과하여 다음세대에에는 이런 매국행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철저히 역사를 진솔하게 알려 미연에 방지를 해야 하거늘! 허니 세월호 사건에서 304명의 학생과 시민을 죽이고도 눈하나 깜빡치 않는 이 아몰랑 정권도 정권인지? 반민족 집단은 지들의 배만 채울려려 발악하는 썩어빠진 도태된 정권이라고 선언했군요! 탄핵 이외는 방법이 없군요! 00:51 2015.10.23
광주·전남 역사학 전공 교수 집필 거부 선언
우리는 ‘국정’의 역사 교과서를 거부한다
•광주 전남 역사학 전공 교수 국정 교과서 집필 거부 선언
우리 교육과 학문의 미래를 걱정하는 많은 교수, 교사, 그리고 각계 각층의 시민들은 정부의 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를 반대해 왔다. 그러나 교육부는 기어코 2015년 10월 12일 중학교 역사 교과서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검인정에서 국정으로 전환하겠다는 ‘중․고등학교 교과용도서 국․검 인정 구분(안)“을 행정예고했다.
이 조치는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학문의 자유와 교육의 자치를 침해하는 것이며, 정치적 목적에 의해 역사를 독점, 왜곡하려는 폭거이다. 교육부가 현행 검정 교과서의 문제점이라고 제시한 내용들이 실체적 근거 없이 왜곡, 과장되었다는 점은 이미 여러 차례 밝혀졌다. 국제적으로도 몇몇 특별한 사례를 제외하고는 국정 교과서를 거의 채택하고 있지 않다. 2013년의 유엔 보고서도 다양한 역사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 헌법재판소 또한 역사 교육에서 다양성을 존중하기에 국정이 부적절함을 지적한 바 있다. 교육계, 학계, 언론과 시민단체도 거의 일치하여 국정화 추진에 반대해 왔다.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역사 교과서 국정화 정책을 강행하는 것은 극히 반교육적이고, 반민주적이며, 역사교육을 특정한 집단의 이익에 이용하고자 하려는 정치적 행위라고 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정부의 행정 예고 이후에 전국 각지의 교수, 교사, 학생들이 국정교과서 반대와 참여 거부를 선언하고 있다. 역사학을 전공하는 광주 전남 지역의 교수들은 이미 여러 기회를 통해 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거니와, 이제 우리는 교육부가 10월 12일 예고한 교과용 도서 국․검정 인정 구분(안)을 철회할 것을 요구한다. 또 향후 국정 교과서의 기획, 집필, 자문 등 일체 집필 및 제작활동에 참가하지 않을 것을 선언한다. 교과서의 국정화가 중단되고 역사 교육이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자유와 자율성을 얻을 때, 그리하여 올바른 역사 교육이 가능할 때까지, 우리의 선언은 계속 유효하다.
1. 1.22
광주대학교(고영진, 이영석, 한규무) 광주교육대학교(김덕진, 류시현) 목포대학교(강봉룡, 김경옥, 김영목, 고석규, 박혁순, 신상용, 강봉룡, 이기훈, 최성환), 목포해양대(김성준), 순천대(강성호, 이욱, 차웅환, 최인선, 홍영기), 조선대(김경숙, 김병용, 김성한, 이기길, 이종범, 전지용, 최진규) (가나다 순) 2015.10.23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우려하며 국민들께 드리는 말씀>
지난 10월 12일 정부는 학계·교육계가 줄지어 반대하고 국민적 우려가 커짐에도 불구하고 역사 교과서 국정화 결정을 공표했습니다. 우리는 학자이자 교육자의 본분을 지키려는 충정에서 정부·여당이 이 백해무익한 결정을 철회하고 분열과 대립이 아닌 대화와 통합의 길을 택할 것을 간곡한 마음으로 촉구합니다.
이미 지난 9월 2일 본교 역사전공 교수들은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에게 직접 전달한 의견서에서, 국정화는 헌법 정신에 위배되고 대한민국의 위상과 부합하지 않을뿐더러 학생들의 창의적인 사고력을 위축시켜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의 걸림돌이 될 것을 우려하면서 교과서 제작의 자율성을 허용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그 후 전공 분야를 막론하고 많은 학자와 교사, 학생, 시민들이 국정화를 반대하는 입장을 연이어 표명하고 있으며, 다수의 언론도 반대하는 입장의 논설을 게재했습니다.
201511. 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재학생·수료생·졸업생 국정화 반대 선언
10. 28 서울대 교수 국정화 반대 선언
10. 27 아주대 교수 국정화 반대 선언
10. 27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사학 관련 전공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24 해외대학 한국학 교수들의 국정화 반대 지지 성명
10. 23 부산·울산·경남 역사전공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23 광주·전남 역사학 전공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23 기독교사 국정화 반대 선언
10. 22 서울대 교수 집필 거부, 대안 교재 제작 선언
10. 21 서울시립대 국정화 반대 선언
10. 21 인하대 교수회 국정화 반대 선언
10. 21 사학계 원로 선언
10. 21 제주대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21 중앙대 사학과 졸업생 국정화 반대 선언
10. 21 전북지역 교수 국정화 반대·집필 거부 선언
10. 21 경상대·진주교대 국정화 반대·집필 거부 선언
10. 20 서울시립대 인문대 교수 국정화 반대 선언
10. 20 강릉원주대·강원대·춘천교대·연세대(원주)·한림대 국정화 반대·집필 거부 선언
10. 20 충남대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20 한국중세사학회 국정화 반대·집필 거부 선언
10. 19 대전대·목원대·선문대,·한남대 집필 거부
10. 19 중앙대 교수 국정화 반대 선언
10. 19 서울대 국사학과 대학원생·시간강사 국정화 반대 선언
10. 19 서강대 교수 국정화 반대·집필 거부 선언
10. 19 경북대·영남대·안동대·대구대·계명대·대가대·대구한의대·동국대(경주)·대구교대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9 가톨릭대·경인교대·대진대·아주대·인하대·한신대·대림대·오산대·한국산업기술대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9 전국역사교사모임, 집필 거부 선언
10. 18 국민대·덕성여대·동덕여대·명지대·상명대·서울과학기술대·서울여대·숙명여대·숭실대·성신여대·한국방송대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8 성신여대 교수, 국정화 반대 선언
10. 16 일본시민단체, 국정화 반대 성명
10. 16 충북대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6 한남대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5 동국대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5 단국대 역사 전공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5 한국역사연구회 집필 거부 선언
10. 15 서울시립대·성균관대·중앙대·한국외대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5 전남대 국정화 반대 및 집필거부 선언
10. 15 부산대 역사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5 이화여대 역사학 관련 교수 국정화 반대 및 집필 거부 선언
10. 14 한국근현대사학회 집필 거부 선언
10. 14 서울대 학생 국정화 반대 대자보
10. 14 고려대 학생 국정화 강행 규탄 기자회견
10. 14 고려대 역사계열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4 경희대 사학과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4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입장 발표
10. 14 연세대 사학과 교수 집필 거부 선언
10. 12 역사학도 공동선언
10. 12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성명
10. 12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성명
10. 12 평등교육실현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성명
10. 12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강행 규탄 긴급 결의대회
10. 12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 청와대 규탄 기자회견
10. 11 청소년 선언
10. 11 경상대 교수 선언
10. 11 역사교육 관련 4개 학회 공동 성명
10. 11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자 협의회 성명
10. 10 충북대 교수 선언
10. 10 전국교육희망네트워크 성명
10. 7 전국동시 시민선언
10. 6 미주동포 선언
10. 6 춘천교대 교수협의회 선언
10. 6 한양대 교수 선언
10. 5 경희대 교수 선언
10. 5 목포대 교수 선언
10. 5 인하대 교수 선언
10. 2 재외동포 선언
10. 1 신라대 교수 선언
10. 1 예비 역사교사 공동선언
9. 24 대구·경북 역사학 전공 교사·교수 선언
9. 24 한국외대 교수 선언
9. 24 가톨릭대 교수 선언
9. 23 동국대 교수 선언
9. 23 2차 학부모 선언
9. 22 대전·충남 지역 교수 선언
9. 22 한국교원대 역사교육과 교수·학생 국정화 반대 및 집필 거부 공동선언
9. 21 연세대 교수 선언
9. 21 법학연구자 선언
9. 18 성균관대 교수·직원 선언
9. 17 교사 선언
9. 17 서원대 교수 선언
9. 16 고려대 교수 선언
9. 15 덕성여대 교수 선언
9. 15 부산대 역사교수 선언
9. 14 한국출판인회의 성명
9. 11 한국사 교과서 집필기준 연구진, 입장 발표
9. 9 충남·충북·대전·세종 교육감 성명
9. 9 역사·역사교육 연구자 선언
9. 8 광주·부산·경남·전남·전북·제주 교육감 성명
9. 8 서울·경기·인천·강원 교육감 성명
9. 7 1차 학부모 선언
9. 4 독립운동후손·단체 선언
9. 2 서울대 역사교수들, 의견서 제출
9. 2 현장 역사교사 선언
역사 국정교과서 반대·집필 거부 선언 물결 역사 국정교과서 반대·집필 거부 선언 물결
교육부는 12일 중·고교 역사교과서를 국정으로 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973년 박정희 정부 이후 42년 만에 역사교과서 발행 체제를 검정에서 국정으로 전환한 것입니다. 역사 국정교과서에 반대하고 집필을 거부하겠다는 목소리가 학계와 시민사회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재학생·수료생·졸업생 국정화 반대 선언 2015.11.02
우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재학생·수료생·졸업생 129인은 정부의 중·고등학교의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한다.
2015년 10월 12일, 교육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역사’ 교과서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발행체제 개선 방안”에 따라 역사교과서를 국정화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교육부는 “지속적인 이념논쟁과 편향성 논란”, “편향된 시각”과 “다양성의 퇴색”을 이유로 들어 “사실 오류와 편향성을 바로잡아 올바른 역사관을 확립하기 위한 교과서”를 만들겠다며 국정화의 논리를 내세웠다. 그러나 국정 교과서가 “올바른 역사교과서”가 될 것이라는 주장은 정부의 독선이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이유에서 정부가 추진하는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한다.
첫째, 국정 역사교과서는 정권의 성향에 치우쳐 오히려 객관적이고 공정한 역사적 해석이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 정부가 편찬하는 하나의 교과서만이 ‘올바른 역사’이며, 그것만으로 학생들에게 역사를 교육시켜야 한다는 것은 잘못된 편견이다. 정부만이 역사교과서를 쓴다는 것은 학문의 공공성을 해치는 것이며, 자유로운 사고를 억압할 우려가 있다. 역사는 다양한 해석과 시각이 공존할 때 그 가치가 보장된다. 정부에 의해 획일적으로 만들어진 역사교과서는 올바른 교과서가 될 수 없다.
둘째, 국정 교과서는 박물관 속 유산으로 계속 남겨두어야 한다. 2015년, UN은 베트남 정부에 “역사에 있어서 단 한 개의 객관적인 사실만이 존재한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며, “역사는 종교나 믿어야 할 하나의 진실이 아니라 논의되어야 할 것”이라고 권고하였다. 2013년 UN총회에서는 “단일한 역사교과서를 채택할 경우 정치적으로 이용될 위험이 크다”고 그 위험성을 말하기도 하였다. 이후, 베트남은 국정제를 검인정제로 바꿀 준비를 하고 있다. 이제 전쟁이나 경제위기, 독재정권 같은 처지인 극소수의 국가만 남았다.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시대에 뒤떨어진 시도이며, 국제 사회에서도 나쁜 본보기로 남을 것이다.
셋째, 오늘날 정부가 추진하는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민주적이지 못하며, 충분한 사회적 합의와 학문적 논의를 거치지 않고 졸속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사라진 논의와 일방적인 포고로 이루어진 일련의 과정은 많은 역사학자들의 집필 거부로 이어졌다. 역사학자들의 집필 거부는 정부가 학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게다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반대 여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국민 대다수의 바람을 거스르고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추진하는 것은 단언코 비민주적인 처사이다. 이처럼 문제 있는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정부가 추진하고 있다. 역사를 정쟁(政爭)의 도구로 삼는 것은 누구인가 되묻고 싶다. 단언컨대, 역사는 정치를 위한 무기가 아니다.
우리 한국학중앙연구원은 1978년 박정희 정권에 의하여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졌다. 과거 독재정권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했다는 비판을 받은 것이 사실이지만, 이제는 지난 과오를 바로잡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란 새이름으로 해외에 한국학의 저변을 확장하고, 각국 교과서에 실린 한국 관련 항목을 바르게 수정하는 일도 하고 있다. 또한 국내·외에서 활동할 한국학 연구자들을 양성하고 있으며, 다수의 연구자들이 다양한 시각을 공유하고 익히면서 연구하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의 구성원이자 현 사회의 구성원으로, 우리는 정부가 추진하는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를 반대한다.
2015년 11월 중·고등학교의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재학생·수료생·졸업생 129인
재학생·수료생
소준철 외 87인
졸업생
이종우 외 40인
강수지, 강연희, 김덕묵, 김동건, 김민수, 김수현, 김예진, 김정미, 김진한, 김향숙,
김혜숙, 김효진, 문혜경, 박상언, 박정애, 서민우, 서정민, 성영애, 소병문, 신선영,
양미경, 오가와 레이, 유기쁨, 유은지, 유지복, 유치석, 이강일, 이근영, 이대화, 이미선,
이태희, 정대일, 정원주, 정은균, 제송희, 조양원, 주은지, 최진아, 편나래, 허남진.
od_hong적극 동참합니다. 이정권의 본색이 지애비를 신격화 시키겠다고 하는 발상과 반민족 친일 매국 행각을 덮으려는 술책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하며,전세계가 자율편찬으로 가는데 대한민국은 거구로 국정화라니? 지애비들이 잘못을 했다면 정중히 사과하여 다음세대에에는 이런 매국행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철저히 역사를 진솔하게 알려 미연에 방지를 해야 하거늘! 허니 세월호 사건에서 304명의 학생과 시민을 죽이고도 눈하나 깜빡치 않는 이 아몰랑 정권도 정권인지? 반민족 집단은 지들의 배만 채울려려 발악하는 썩어빠진 도태된 정권이라고 선언했군요! 탄핵 이외는 방법이 없군요! 00:54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우려하는 서울대학교 교수 일동'
강상진, 강성훈, 강우성, 강진호, 고원, 구명철, 구범진, 권오영, 김건태, 김경범, 김명호, 김명환, 김병준, 김보민, 김상환, 김성규, 김월회, 김인걸, 김장석, 김정희, 김종욱, 김종일, 김지현, 김창민, 김창섭, 김현, 김현균, 김현진, 김형종, 김희숙, 남동신, 남승호, 문숙영, 문중양, 민은경, 박수철, 박성창, 박진호, 박훈, 박흥식, 박희병, 방민호, 변현태, 봉준수, 서영채, 서철원, 손유경, 손영주, 신혜경, 안지현, 양승국, 여운경, 오수창, 오수형, 오순희, 유요한, 윤상인, 이강재, 이건우, 이동신, 이두갑, 이만기, 이상찬, 이석재, 이선복, 이성헌, 이승재, 이용원, 이은정, 이정환, 이정훈, 이종묵, 이주형, 이준정, 이창숙, 이현희, 임호준, 임홍배, 장원태, 전영애, 전형준, 정병설, 정용욱, 정원재, 정하경, 정항균, 조성우, 조은수, 조현설, 주경철, 최갑수, 최권행, 최종성, 한서린, 한성일, 한정숙, 허수, 홍기선, 홍진호, 황선엽, 데이빗 라이트(David K. Wright), 셈 베르메르스(Sem Vermeersch), 하민성(Milan Hejtmanek) (이상 인문대) 강명구, 강윤희, 구인회, 권숙인, 권현지, 김석호, 김영민, 김영식, 김용창, 김은미, 김의영, 김혜란, 김홍중, 박승관, 박원호, 박종희, 박주용, 배은경, 신혜란, 안두환, 오명석, 오성주, 윤영관, 이옥연, 이은주, 이재원, 이재현, 이준웅, 이준환, 이철희, 이현정, 장경섭, 정근식, 정진성, 조흥식, 주병기, 채수홍, 최병선, 최승주, 최진영, 하정화, 한신갑, 홍백의, 황익주, 올가 페도렌코(Olga Fedorenko) (이상 사회대) 강남규, 계승혁, 김상종, 김성연, 김영원, 김영훈, 김선기, 김웅태, 김재범, 김진수, 김판기, 김현아, 남성현, 노유선, 민홍기, 박상현, 박용선, 박철환, 박태성, 석차옥, 설재홍, 신동우, 신석민, 안광석, 오병권, 오희석, 우종학, 원중호, 윤성철, 이건수, 이동환, 이원재, 이일하, 이재용, 이준호, 이지영, 이철범, 이현숙, 이형목, 이훈희, 임명신, 임선희, 임종태, 장원철, 정연준, 정자아, 조철현, 조형택, 천정희, 최무영, 하승열, 허원기, 홍성욱, 홍성철 (이상 자연대) 김성재 (간호대) 강성춘, 안태식 (이상 경영대) 김승회, 김영오, 김장주, 김재관, 민기복, 박찬, 송준호, 신창수, 오승모, 윤제용, 이광근, 이관중, 전봉희, 전화숙, 최기영, 최해천, 한무영, 홍성필, 홍유석 (이상 공대) 류영렬, 문정훈, 박은우, 박일권, 배정한, 윤여창, 장진성, 조철훈, 최영찬, 하남출 (이상 농생대) 김민수, 김정희, 김춘수, 김형관, 민복기, 윤동천, 정영목, 정의철, 한정용 (이상 미대) 김도균, 박은정, 양현아, 윤진수, 이봉의, 이창희, 전상현, 전종익, 정긍식, 조국, 한인섭 (이상 법대) 강대중, 곽덕주, 김덕수, 김유겸, 김정용, 김종철, 김진하, 김태웅, 김희민, 나영일, 나일주, 류재명, 민병천, 박배균, 박성춘, 박재범, 박찬구, 박평식, 박현정, 서기원, 서의식, 소경희, 신문수, 신종호, 양호환, 우용제, 유성상, 유용태, 윤대석, 이경화, 이시내, 이준규, 임철일, 임충훈, 장승일, 정원규, 조영달, 조영환, 최승언, 한숭희, 이케 스스무(Ike Susumu) (이상 사범대) 여정성, 윤지현, 이유리, 이주영, 황금택 (이상 생활과학대) 우희종, 이항 (이상 수의대) 박정일, 서영배 (이상 약대) 김승근, 민은기, 서정은, 이석원 (이상 음대) 강영호, 강웅구, 고재성, 김성준, 김옥주, 김인규, 김재원, 김항래, 도영경, 류주석, 신애선, 이석호, 이진석, 임재준, 전주홍, 정진행, 조남혁, 최지은, 호원경, 홍윤철, 황상익 (이상 의대) 김범수, 서경호, 장대익 (이상 자유전공학부) 김성균, 김창엽, 김호, 김홍수, 백도명, 성주헌, 원성호, 윤충식, 이태진, 조성일, 최경호 (이상 보건대학원) 고길곤, 금현섭, 박상인, 엄석진, 우지숙, 홍준형 (이상 행정대학원) 김경민, 서예례, 성종상, 오능환, 윤순진, 이도원, 이동수, 이석정, 홍종호 (이상 환경대학원) 김태균, 박태균, 조영남, 한영혜 (이상 국제대학원) 김각균, 김홍기, 서병무, 우경미, 이삼선, 이성중, 이신재, 이장희, 최순철 (이상 치대) 서봉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권태억, 김용덕, 김정욱, 나종일, 이정전, 이준구, 이태진, 장회익, 정옥자, 한영우 (이상 명예교수) 총 서명인 382명.
http://omn.kr/fh9c
서울대교수 382명
서울대교수 382명 "국정교과서, 집권층 일부 무리수" - 오마이뉴스서울대 교수 382명이 28일 정부·여당에 "시대에 역행하는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취소하고, 교과서의 자율성을 보장할 것"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우려하며 국민께 드리는 말씀'이라는 제목의 성명에는 서울대 교수 372명 및 명예교수 10명 등 총 382명이 실명을 올렸다. 여기에는 이태진·정옥자 전 국사편찬위원장, 김용덕 동북아역사재단 초대 이사장도 참여했다. 교수들은 성명에서 "정부는 학계·교육계가 줄지어 반대하고 국민적 우려가 커짐에도 역사교과서 국정화 결정을 공표했다"며 "우리는 학자이자 교육자의 본분OMN.KR
od_hong적극 동참합니다. 이정권의 본색이 지애비를 신격화 시키겠다고 하는 발상과 반민족 친일 매국 행각을 덮으려는 술책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하며,전세계가 자율편찬으로 가는데 대한민국은 거구로 국정화라니? 지애비들이 잘못을 했다면 정중히 사과하여 다음세대에에는 이런 매국행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철저히 역사를 진솔하게 알려 미연에 방지를 해야 하거늘! 허니 세월호 사건에서 304명의 학생과 시민을 죽이고도 눈하나 깜빡치 않는 이 아몰랑 정권도 정권인지? 반민족 집단은 지들의 배만 채울려려 발악하는 썩어빠진 도태된 정권이라고 선언했군요! 탄핵 이외는 방법이 없군요! 00:54
아주대 교수 국정화 반대 선언 2015.10.27
성 명 서
박근혜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 작업이 한국 사회를 거센 갈등과 분열의 소용돌이 속으로 몰아넣고 있다. OECD 가입 국가의 절대 다수가 채택하고 있지 않은 교과서국정제에 골몰하는 것은 다른 부문에서 정부가 그토록 강조해마지 않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크게 어긋날 뿐 아니라 역사 서술과 교육에 개입해 후속 세대의 인식을 통제하려는 의지를 노골화함으로써 교육이라는 백년대계를 훼손할 따름이다.
사학과 교수를 비롯한 우리 아주대학교 교수들은 이런 사태를 심히 우려하면서 여러 단체와 교육자들이 개진한 바 있는 국정화 추진과 교과서 집필 참여에 대한 반대 의견을 존중하고 그 뜻을 함께 하고자 한다.
우리는 국민들의 경험과 기억에 대한 서술을 독점하고 특정한 방향의 획일성을 강화하려는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이 다양성을 인정하고 배려하는 민주주의 사회의 기본 가치와 양립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 더욱이 역사교육의 본령이 사실의 단순한 주입을 통해 자기 민족이나 국가의 위대성을 강조하는 것을 넘어 비판적 자기성찰의 능력을 지니도록 돕는 데 있음을 감안할 때, 국정화에 의한 교육의 획일화는 역사 인식의 왜곡에 기여할 뿐임을 엄중히 경고한다.
우리는 전문가들의 거듭된 반대에도 아랑곳없이 정부의 검인정 과정을 거쳐 교육 현장에서 자리 잡아온 교과서들을 불온시하는 자가당착적 태도와 정권의 취향에 맞는 교과서 하나만을 올바르다고 강요하는 독재적 발상을 강력히 규탄한다. ‘올바른’ 교과서를 자처하는 것은 ‘이것만이 진리’라는 식의 유치하고 참람하기 짝이 없는 태도라 아니할 수 없다. 국정 교과서만으로 공부하면 학생들이 실제 역사의 다양한 흐름에 우둔해질 수 있는 역설적인 결과를 낳고 역사 과목 자체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떨어뜨리는 불행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우리는 역사 속에서 시비와 포폄을 살피고 교훈과 규범을 찾아내 이를 현실을 비춰보는 거울로 삼으려는 동양의 역사 서술 전통을 상기하고자 한다. 또한 공정한 역사 기록을 방해하려는 권력자에 굴하지 않겠다는 춘추필법의 정신에 입각해 정부의 국정화 추진을 단호히 반대한다. 따라서 “김일성 주체사상을 우리 아이들이 배우고 있습니다,” “종북좌익편향 교과서로 우리 아이들이 배우고 있습니다” 등 사실의 맥락에서 동떨어진 자극적 문구의 플래카드를 내걸고 정쟁을 부추기는 집권 여당의 언동을 규탄한다.
이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1.정부는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하는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추진 방침을 즉각 철회하라!
2.정부와 여당은 한국사 교과서 문제의 정치 도구화와 책략적인 색깔론 공세를 즉각 중단하라!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을 반대하는 아주대학교 교수 148인 일동
od_hong적극 동참합니다. 이정권의 본색이 지애비를 신격화 시키겠다고 하는 발상과 반민족 친일 매국 행각을 덮으려는 술책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하며,전세계가 자율편찬으로 가는데 대한민국은 거구로 국정화라니? 지애비들이 잘못을 했다면 정중히 사과하여 다음세대에에는 이런 매국행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철저히 역사를 진솔하게 알려 미연에 방지를 해야 하거늘! 허니 세월호 사건에서 304명의 학생과 시민을 죽이고도 눈하나 깜빡치 않는 이 아몰랑 정권도 정권인지? 반민족 집단은 지들의 배만 채울려려 발악하는 썩어빠진 도태된 정권이라고 선언했군요! 탄핵 이외는 방법이 없군요! 00:53
2015.10.27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사학 관련 전공 교수 집필 거부 선언
정부는 시대착오적인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을 즉각 중단하라!
지난 10월 12일 정부는 대다수의 역사학자, 일선 역사교사들을 비롯한 각계각층의 거센 반대에도 불구하고 역사 교과서 국정화 행정예고에 들어갔다. 사소한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도 필수적으로 행하는 관계 전문가나 교육계의 여론 수렴 절차는 철저하게 무시되고 정치정략에 의해 추진되었음은 물론이다.
먼저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은 시대를 거스르려는 발상이라는 것을 지적해 둔다. 한국사 교과서의 발행 체제는 당대의 정치사회 현실을 반영하면서 변화를 거듭해왔다. 국가 권력의 역사교과서 독점은 일제 강점기에 시작된 것이며, 일제가 물러나면서 파기되었다가 유신 체제하에서 독재정치를 정당화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가 개입되면서 다시금 국정교과서 제도로 부활되었다. 한마디로 국정교과서는 폭압이 난무하는 20세기 역사의 산물로, 다양한 가치가 공존하고 화해와 협력을 추구하는 21세기를 사는 오늘날에는 박물관에서나 찾을 수 있는 구시대적 유물이다. 지금 다시 역사교과서를 국정화하겠다는 것은, 역사를 현실 정치 논리에 따라 마음대로 좌지우지하면서 권력을 유지하겠다는 선언이나 마찬가지이다. 이는 학문의 자유와 교육의 자치를 보장하는 우리의 헌법 정신과도 위배되는 것이다.
국정교과서의 도입은 세계가 주목하는 발전된 한국 사회의 위상과 품격을 훼손하는 수치스런 조치이다. OECD 참여국의 다수는 이미 검·인정제로부터 자유발행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국정교과서는 북한과 같은 독재국가나 후진국에서나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2013년 10월 유엔인권이사회 문화적 권리 분야 특별조사관은 역사서술과 역사교육, 특히 역사교과서 편찬에서 국가와 정부의 개입을 경계하는 보고서를 채택한 바 있다. 한마디로 국정교과서는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 편찬과 관련한 국제적 규범을 역행하는 조치로, 그동안 동아시아 역사문제의 해결을 선도해 온 한국학계의 성과를 백지화할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가 일구어 온 국제적 위상과 품격을 송두리째 무너뜨릴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폐해는 심각하다.
더구나 국정화 추진 과정에서 자행된 정부, 여당 인사들의 자극적인 색깔론은 역사학자와 역사교육자가 쌓아 온 전문성을 무시, 폄하, 매도하고 국론분열과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이들은 제대로 된 근거도 제시하지 못한 채 자극적인 문구를 앵무새처럼 반복하면서 현행 검정 한국사 교과서가 좌편향되었다고 공격하고 있다. 역설적이게도 현행 교과서는 이명박 정부 하에서 만들어진 교육과정과 집필기준에 의해 집필되었고, 박근혜 정부의 검정·심의를 통과한 교과서이다. 이 사실은 한국의 미래세대에게 제공될 역사교과서에 대한 이들의 판단과 조치가 얼마나 주먹구구식으로 좌충우돌하고 있는지 스스로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더 이상 단편적이고 편협한 가치와 판단으로 역사교과서 논쟁을 부추기지 말고 역사 연구와 교육의 전문성을 인정하면서 전문가에 맡겨두기를 바란다.
권력이 역사책을 바꾸려 할지라도 역사는 결코 독점되거나 사유화될 수는 없다. 이는 지난 오랜 세월의 교훈이자 경험이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교과서 국정화 계획을 철회해야 할 것이다. 만약 많은 전문가, 시민들의 합리적 요구를 무시하고 기어코 한국사 교과서를 국정화한다면 우리는 국정 교과서 집필은 말할 것도 없고 제작과 관련한 연구, 개발, 심의 등 어떤 과정에도 참여하지 않을 것이다.
2015년 10월 27일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사학 관련 전공 교수
○ 한국사학 전공 : 신종원, 권오영, 구난희, 심재우, 오강원, 이강한 ○ 고문헌관리학 전공 : 전경목, 옥영정
http://omn.kr/fh6f
'정부 출연' 한국학연구원 교수들도 '집필 거부' - 오마이뉴스
'정부 출연' 한국학연구원 교수들도 '집필 거부' - 오마이뉴스정부 출연 공공기관인 한국학중앙연구원(아래 연구원) 소속 역사학 전공 교수 10명 가운데 8명이 국정교과서 집필 거부를 선언했다. 27일 오후 연구원의 한국사학과(6명), 고문헌 관리학과(2명) 소속 교수 8명은 실명을 내걸고 "권력이 역사책을 바꾸려 할지라도 역사는 결코 사유화될 수는 없다"면서 "국정교과서 집필은 말할 것도 없고 제작과 관련한 연구·개발·심의 등 어떤 과정에도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선언 교수들 "일부 교수가 국정화 찬성하지만, 다수는..."이 연구원에 소속된 교학사의 <한국사> 교과서 집OMN.KR
_hong적극 동참합니다. 이정권의 본색이 지애비를 신격화 시키겠다고 하는 발상과 반민족 친일 매국 행각을 덮으려는 술책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하며,전세계가 자율편찬으로 가는데 대한민국은 거구로 국정화라니? 지애비들이 잘못을 했다면 정중히 사과하여 다음세대에에는 이런 매국행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철저히 역사를 진솔하게 알려 미연에 방지를 해야 하거늘! 허니 세월호 사건에서 304명의 학생과 시민을 죽이고도 눈하나 깜빡치 않는 이 아몰랑 정권도 정권인지? 반민족 집단은 지들의 배만 채울려려 발악하는 썩어빠진 도태된 정권이라고 선언했군요! 탄핵 이외는 방법이 없군요! 00:53 2015.10.24
해외대학 한국학 교수들의 국정화 반대 지지 성명
한국 역사학자들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를 지지하는 성명서
우리는 대한민국(이하 한국)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계획을 우려하며 이 성명서를 발표합니다. 우리는 해외 대학에서 한국사 관련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는 교수들입니다. 우리는 민주주의 국가에서의 역사교과서는 다양한 의견과 분석을 존중하고, 자유로운 토론과 전문 역사학자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만들어져야 한다고 믿습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국정부의 국정화 계획은 지난 몇년 간 자유로운 발언의 기회와 학문공동체의 자유를 억압해 온 정부 정책들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봅니다. 과거는 결코 돌이킬 수 없습니다. 그러나 역사서술은 새로운 질문들이 제기되면서 계속 변화해 갑니다. 역사는 정밀한 과학과 다릅니다. 역사는 전문 역사학자들의 다양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역사에 단일한 해석을 적용해서 '올바른' 역사를 만들 수는 없습니다.
민주주의에 기반한 사회에서 역사는 특정 소수의 입장만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의 경험을 포괄해야만 합니다. 한국사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학생들에게 소개함으로써, 학생들은 과거의 역사가 결코 단순하지 않다는 것을 배울 수 있고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 궁극적으로 소신있는 한국의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한국의 역사적 정통성과 함께 세계 정치경제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한국의 위상이 한국인은 물론 해외에 있는 관찰자들에게도 자명하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정부의 국정교과서 계획은 민주국가로서 인정받은 한국의 국제적 명성에 악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또한 그것은 일본 정부의 역사 수정주의를 둘러싼 지역 내부의 분쟁에서 한국의 도덕적 기반을 약화시킬 것입니다.
해외 대학의 한국학 교수들인 우리 서명자들은 한국정부가 역사교과서의 내용을 전유하는 것을 그만 두고, 다양한 견해들을 포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 역사교육의 탈정치화에 힘써주기를 촉구합니다. 또한, 우리는 한국정부가 학문공동체의 자유를 존중하고 국내외의 한국학 교수들의 지식생산과 보급에 개입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한국 바깥에서 많은 사람들이 현재 국정교과서 논쟁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우리는 한국정부가 21세기 세계 속의 한국의 위상에 걸맞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를 간곡히 바랍니다.
서명자 명단(154명/성 알파벳 순)
Avram Agov (Langara College)
Ji-Hyun Ahn (University of Washington, Tacoma)
Juhn Ahn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Yonson Ahn (University of Frankfurt)
Jong Chol An (University of Tuebingen)
Jinsoo A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Don Bake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Jonathan W. Best (Wesleyan University)
Adam Bohnet (King's University College at Western University)
Gregg Brazinsky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Remco Breuker (Leiden University)
Soo-yong Byu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aul S. Cha (University of Hong Kong)
Vipan Chandra (Wheaton College)
Kornel Chang (Rutgers University, Newark)
Seung-Eun Chang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Erica Cho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Haewon Cho (University of Pennsylvania)
Hangtae Cho (University of Minnesota)
Heekyoung Cho (University of Washington)
Hichang Cho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Yonjoo Cho (Indiana University)
Ellie Choi (Cornell University)
Hyaeweol Choi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Jungbong Choi (New York University)
Yoonsun Choi (University of Chicago)
Hae Yeon Choo (University of Toronto)
Steven Chung (Princeton University)
Donald N. Clark (Trinity University)
Bruce Cumings (University of Chicago)
Koen De Ceuster (Leiden University)
John P. DiMoia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John B. Duncan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Stephen Epstein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Kevin Gray (University Sussex)
James H. Grayson (University of Sheffield)
Laam Hae (York University)
Ju Hui Judy Han (University of Toronto)
Kwangsoo Han (Community College of Baltimore County)
Martin Hart-Landsberg (Lewis and Clark College)
Todd A. Henry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Christine Hong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Mickey H. Hong (Los Angeles City College)
Theodore Hughes (Columbia University)
Nam-lin Hu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Dongyoun Hwang (Soka University of America)
Kyung Moon Hwang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Ryota Ishikawa (Ritsumeikan University)
Andrew David Jackson (University of Copenhagen)
Roger L. Janelli (Indiana University)
Areum Jeong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Kelly Y. Jeong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Ji-Yeon O. Jo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Ji-Young Jung (University of Pennsylvania)
Jiwook Jung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Kyungja Jung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Moon-Ho Jung (University of Washington)
Jennifer Jung-Kim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Hong Kal (York University)
George L. Kallander (Syracuse University)
Hugh Kang (University of Hawai'i)
Inkyu Kang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Jaeho Kang (SOAS, University of London)
Jiyeon Kang (University of Iowa)
Anders Karlsson (SOAS, University of London)
George Katsiaficas (Wentworth Institute of Technology)
Laurel Kendall (Columbia University)
Changhyun Kim (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Cheehyung Harrison Kim (University of Missouri)
Daeyeol Kim (INaLCO, Universit? Sorbonne Paris Cit?)
Heeyon Kim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Hongkyung Ki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Stony Brook)
Immanuel Kim (Binghamton University)
Jaeeun Kim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Janice C. H. Kim (York University)
Jina Kim (Smith College)
Jungwon Kim (Columbia University)
Kyu Hyun Kim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Kyung Hyun Kim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Minju Kim (Claremont McKenna College)
Minku Kim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Monica Kim (New York University)
Sangbok Kim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Seon Mi Kim (Ramapo College of New Jersey)
Sonja Kim (Binghamton University)
Soohee Kim (University of Washington)
Su Yun Kim (University of Hong Kong)
Sun-Chul Kim (Emory University)
Sun Joo Kim (Harvard University)
Suntae Kim (Boston College)
Suzy Kim (Rutgers University)
Thomas P. Kim (Scripps College)
Wooksoo Kim (University at Buffalo,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Jessie Kindig (Indiana University)
Ross King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Kijoo Ko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June Hee Kwon (New York University)
Nayoung Aimee Kwon (Duke University)
Kirk W. Larsen (Brigham Young University)
Cheol-Sung Lee (University of Chicago)
Hyangjin Lee (Rikkyo University)
Hyo Sang Lee (Indiana University)
Namhee Le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Sangjoon Lee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eung-joon Le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Yoonkyung Lee (Binghamton University)
James B. Lewis (Wolfson College, University of Oxford)
Ramsay Liem (Boston College)
Sungyun Lim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Roald H. Maliangka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Richard D. McBride II (Brigham Young University-Hawai'i)
Owen Miller (SOAS, University of London)
Yongsoon Min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Tessa Morris-Suzuki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Justyna Najbar-Miller (University of Warsaw)
Hwasook Nam (University of Washington)
Yunju Nam (University at Buffalo,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Bonnie Bongwan Cho Oh (Georgetown University)
Robert Oppenheim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Osamu Ota (Doshisha University)
Hyung Il Pai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Albert L. Park (Claremont McKenna College)
Eugene Y. Park (University of Pennsylvania)
Hyun Ok Park (York University)
Jin Y. Park (American University)
Junghee Park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Kyong Park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So Jeong Park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oon Won Park (American University)
Mark Peterson (Brigham Young University)
Michael J. Pettid (Binghamton University)
Jelena Prokopljevic (Autonoma University of Barcelona)
Robert C. Provine (University of Maryland)
Jooyeon Rhe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Michael Robinson (Indiana University)
Rebecca N. Ruhlen (Davidson College)
Andre Schmid (University of Toronto)
Michael D. Shin (University of Cambridge)
Edward J. Shultz (University of Hawai'i)
Codruta S?ntionean (Babes-Bolyai University)
Heejeong Sohn (Stony Brook University)
Clark W. Sorensen (University of Washington)
Serk-Bae Suh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Victor A. Ten (Moscow State Regional University)
Vladimir Tikhonov (University of Oslo)
John Treat (Yale University)
EunYoung Won (University of Washington)
Hyeyoung Woo (Portland State University)
Hwajin Yang (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Jaehoon Yeon (SOAS, University of London)
Kyung-Eun Yoon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County)
Seungjoo Yoon (Carleton College)
Jong-sung You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Ji-Yeon Yuh (Northwestern University)
od_hong적극 동참합니다. 이정권의 본색이 지애비를 신격화 시키겠다고 하는 발상과 반민족 친일 매국 행각을 덮으려는 술책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하며,전세계가 자율편찬으로 가는데 대한민국은 거구로 국정화라니? 지애비들이 잘못을 했다면 정중히 사과하여 다음세대에에는 이런 매국행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철저히 역사를 진솔하게 알려 미연에 방지를 해야 하거늘! 허니 세월호 사건에서 304명의 학생과 시민을 죽이고도 눈하나 깜빡치 않는 이 아몰랑 정권도 정권인지? 반민족 집단은 지들의 배만 채울려려 발악하는 썩어빠진 도태된 정권이라고 선언했군요! 탄핵 이외는 방법이 없군요! 00:50 2015.10.23
부산·울산·경남 지역 역사전공교수
<역사>·<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및 집필 거부 선언
우리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역사전공 교수들은 역사를 연구하는 학자,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육자, 시대의 과제를 함께 풀어가야 하는 지성인의 양심으로 박근혜 정부의 <역사>․<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단호히 반대한다. 또한 국정 교과서의 집필 및 수정․심의 작업과 이후 국정 교과서를 활용한 정책연구 및 출제 등의 제반 활동에 일체 참여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
국정교과서는 대한민국 헌법이 명시한 학문과 사상의 자유를 침해하고 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강조하는 헌법정신에도 정면으로 위배된다. 정치적 외압과 간섭을 받지 않고 교과서를 쓸 때에만 역사교육의 자주성․전문성․중립성이 보장될 수 있다면,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이러한 교과서 집필의 전제 조건을 부정하는 것이다. 우리 역사전공 교수들이 국정교과서의 집필과 관련한 모든 활동을 거부하는 주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하나의 역사해석, 하나의 역사교과서”를 강요하는 국정교과서는 과거 독재 권력의 산물로서 그 자체가 비역사적이며, 반교육적이다. 이것이 우리가 집필을 거부하는 또 하나의 이유이다. 무릇 역사연구와 역사교육의 본질은 엄정한 사실의 규명과 비판적 해석을 통해 교훈을 얻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재를 성찰하여 보다 나은 미래를 전망하는 데 있다. 과거의 번영과 영광은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여 밝은 미래를 준비하게 하고, 과거의 고난과 굴욕은 불행했던 과거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해주는 동력이 된다. 그러므로 과거의 밝은 면과 어두운 면 모두를 있는 그대로 기록하고 연구하고 가르침이 마땅하다. 다양하고 비판적인 해석을 제거해버린 역사는 이미 역사일 수 없으며, 그러한 역사교육은 특정한 주장의 주입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는 멀리는 2008년의 <한국근․현대사>교과서 사태 가까이는 2013년 교학사 <한국사>교과서 사태 이후로, 정부 여당과 교육부가 역사연구와 역사교육에 행한 반민주적․반역사적․반교육적 정책에 대한 무수한 전문가들의 고언과 나라와 교육의 앞날을 걱정하는 국민들의 목소리가 무참히 묵살되는 것을 참담한 심정으로 지켜보아 왔다. 자신의 학문 분야에서 충실히 연구해 온 역사학자들과, 우리 아이들을 위한 역사교육에 매진해 온 교사들을 일방적인 이념의 잣대로 ‘좌편향’ 되었다고 매도해버리는 천박한 정치적 편 가르기가 결국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로 귀결되었다고 우리는 판단한다.
작금의 사태는 역사교육을 권력의 도구로 삼으려는 국가주의적 역사교육 정책의 연장선에서 벌어지고 있으며, 이에 온 사회가 상식과 양심에 따라 강하게 맞서지 않을 경우, 우리의 미래는 참으로 암울하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현재 우리 사회를 둘로 쪼개어 극심한 대립을 초래하고 있는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본질은, 정부와 여당에서 주장하고 있는 이념의 문제가 아니다. 축적된 역사학의 성과를 기반으로 미래의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우리의 자녀들에게 다양하고 좋은 역사교재를 만들어 줄 수 있는 제도를 확립하는 문제, 우리의 후속 세대를 주체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민주시민으로 길러내는 교육 본연의 문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의 헌법정신에 입각하여 교육의 중립성과 전문성을 지키는 문제가 그 핵심이다. 다양한 교과서를 권장하는 유네스코의 권고나 국정교과서에 대한 1992년 헌법재판소의 판례를 새삼 거론하지 않더라도 이 점은 너무나 명확한 것이다.
우리는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철회하지 않을 경우 박근혜 정부가 더욱 심각한 국민적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임을 밝히며, 다음 사항을 실행에 옮길 것을 엄중히 요구한다.
1.<역사>․<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즉각 철회하라.
2.역사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교과서 발행제도를 새롭게 법제화하라.
3.역사교과서 문제를 정략적으로 이용하지 말라.
2015년 10월 23일
<선언 참여교수 소속 및 명단>
경남대학교 역사학과(유장근), 경상대학교 사학과(강길중, 김상환, 김제정, 신종훈, 윤경진, 정재훈, 조영재), 경상대학교 역사교육과(권오현, 김준형, 김해영, 박종현, 차영길), 경성대학교 인문문화학부 사학전공(강대민, 백윤목, 이경일), 동아대학교 사학과(김광철, 김학이, 이기영, 홍순권), 동의대학교 사학과(김인호, 김형열, 박순준, 최연주), 부경대학교 사학과(김문기, 이근우, 박원용, 박화진, 조세현), 부산대학교 고고학과(김두철, 배진성, 신경철, 양은경, 임상택), 부산대학교 사학과(곽차섭, 김동철, 서영건, 오상훈, 유재건, 윤 욱, 이수훈, 이종봉, 채상식, 최덕경, 최원규), 부산대학교 역사교육과(송문현, 양정현, 윤용출, 장동표, 조흥국, 차철욱, 홍성화), 부산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오인택, 전진성), 부산외국어대학교 역사관광학과(권덕영, 박 강, 변기찬, 최경숙), 부산외국어대학교 인도학부(이광수), 부산외국어대학교 러시아중앙아시아학부(우덕찬), 부산외국어대학교 스페인중남미학부(임상래), 신라대학교 역사교육과(김세윤, 김정식, 방지원, 임병철), 신라대학교 역사문화학과(김명환, 배경한, 이송희), 울산대학교 역사문화학과(김두현, 김호연, 서정훈, 양상현, 이성구, 이종서, 전호태, 허영란), 진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윤 정, 하경수), 창원대학교 사학과(구산우, 남재우, 도진순, 신동규, 이
윤상, 전형권), 한국해양대학교 동아시아학과(류교열, 하세봉), 한국해양대학교 유럽학과(정문수)
(학교 순/가나다 순)
이상 14개 학교, 22개 학과(학부/전공), 87명
http://omn.kr/fgky
부산·울산·경남 역사교수들 '국정화 교과서 집필 거부' - 오마이뉴스
부산·울산·경남 역사교수들 '국정화 교과서 집필 거부' - 오마이뉴스부산·울산·경남 지역 대학 역사전공 교수들이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 즉각 철회'를 촉구하며 '집필 거부'를 선언했다. 23일 경상대·경남대·창원대·진주교대·부산대·부산교대·울산대 등 14개 대학 22개 학과(학부·전공) 교수 88명은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집필 거부 선언문'을 발표했다.교수들은 선언문을 통해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즉각 철회할 것"과 "역사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교과서 발행제도를 새롭게 법제화할 것", "역사교과서 문제를 정략적으로 이용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대OMN.KR
od_hong적극 동참합니다. 이정권의 본색이 지애비를 신격화 시키겠다고 하는 발상과 반민족 친일 매국 행각을 덮으려는 술책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하며,전세계가 자율편찬으로 가는데 대한민국은 거구로 국정화라니? 지애비들이 잘못을 했다면 정중히 사과하여 다음세대에에는 이런 매국행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철저히 역사를 진솔하게 알려 미연에 방지를 해야 하거늘! 허니 세월호 사건에서 304명의 학생과 시민을 죽이고도 눈하나 깜빡치 않는 이 아몰랑 정권도 정권인지? 반민족 집단은 지들의 배만 채울려려 발악하는 썩어빠진 도태된 정권이라고 선언했군요! 탄핵 이외는 방법이 없군요! 00:51 2015.10.23
광주·전남 역사학 전공 교수 집필 거부 선언
우리는 ‘국정’의 역사 교과서를 거부한다
•광주 전남 역사학 전공 교수 국정 교과서 집필 거부 선언
우리 교육과 학문의 미래를 걱정하는 많은 교수, 교사, 그리고 각계 각층의 시민들은 정부의 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를 반대해 왔다. 그러나 교육부는 기어코 2015년 10월 12일 중학교 역사 교과서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검인정에서 국정으로 전환하겠다는 ‘중․고등학교 교과용도서 국․검 인정 구분(안)“을 행정예고했다.
이 조치는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학문의 자유와 교육의 자치를 침해하는 것이며, 정치적 목적에 의해 역사를 독점, 왜곡하려는 폭거이다. 교육부가 현행 검정 교과서의 문제점이라고 제시한 내용들이 실체적 근거 없이 왜곡, 과장되었다는 점은 이미 여러 차례 밝혀졌다. 국제적으로도 몇몇 특별한 사례를 제외하고는 국정 교과서를 거의 채택하고 있지 않다. 2013년의 유엔 보고서도 다양한 역사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 헌법재판소 또한 역사 교육에서 다양성을 존중하기에 국정이 부적절함을 지적한 바 있다. 교육계, 학계, 언론과 시민단체도 거의 일치하여 국정화 추진에 반대해 왔다.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역사 교과서 국정화 정책을 강행하는 것은 극히 반교육적이고, 반민주적이며, 역사교육을 특정한 집단의 이익에 이용하고자 하려는 정치적 행위라고 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정부의 행정 예고 이후에 전국 각지의 교수, 교사, 학생들이 국정교과서 반대와 참여 거부를 선언하고 있다. 역사학을 전공하는 광주 전남 지역의 교수들은 이미 여러 기회를 통해 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거니와, 이제 우리는 교육부가 10월 12일 예고한 교과용 도서 국․검정 인정 구분(안)을 철회할 것을 요구한다. 또 향후 국정 교과서의 기획, 집필, 자문 등 일체 집필 및 제작활동에 참가하지 않을 것을 선언한다. 교과서의 국정화가 중단되고 역사 교육이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자유와 자율성을 얻을 때, 그리하여 올바른 역사 교육이 가능할 때까지, 우리의 선언은 계속 유효하다.
1. 1.22
광주대학교(고영진, 이영석, 한규무) 광주교육대학교(김덕진, 류시현) 목포대학교(강봉룡, 김경옥, 김영목, 고석규, 박혁순, 신상용, 강봉룡, 이기훈, 최성환), 목포해양대(김성준), 순천대(강성호, 이욱, 차웅환, 최인선, 홍영기), 조선대(김경숙, 김병용, 김성한, 이기길, 이종범, 전지용, 최진규) (가나다 순) 2015.10.23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