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다 다이슈가 김정일이에 준 것(펌)
<김대중(도요다 다이슈)때 북에 퍼준 거>
[쌀 지원]
1. 1995. 6. 25. : 15만 톤
2. 2000. 9. 28. : 60만 톤(3,120억원)
[비료지원]
1998. 4. : 20만 톤(900억원)
1999. 6. : 11만 톤(450억원)
1998. : 20만 톤(900억원)
2000. : 30만 톤(1,500억원)
2000. : 4만 톤(민간기업에 강제 할당: 130억)
2001. : 20만 톤(900억원)
계: 104만 톤(4,660억원 상당)
(민간기구가 보낸 것은 미포함)
2002.: 정세현 통일부장관은 1일
“북한이 간접적으로 요청해 온다면
인도적 차원에서
올해도 비료를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관광공사가 현대에 준 돈) 2001. : 900억
(금강산 사업 독점권) 9억4,200만 달러(1조2,500억)
1999-2004년까지 6년간 나누어 내기:
연간 1억5,700만 달러.
1999. 1. 1. --- 2002. 3월말까지: 5억 1,100만 달러 북에 제공
(관광 인두세: 1인1일 100달러)
연간 50만 기준으로 하여, 관광객 수에 관계없이
매월 고정적으로 1,200만 달러 북한에 지급.
1998.11.18일부터 2002. 3.18일까지
3년 4개월간 이미 4억8천만 달러 북에 제공.
금강산관광으로 인해 현재까지
북한에 간 돈: 9억9,100만 달러.
(정부가 사용한 남북 협력기금)
매년 5000억 원대 수준
2000년: 5,660억 원
2001년: 5,204억 원
1,300만 관광객 지원: 9조 원
(51조 원은 김정일에 주는 달러,
4조 원은 현대에 주는 돈)
(그 외에 다음과 같은 막대한 지원이 있었다.)
1. 러시아에서 받을 차관 14.7억 달러를
북한에 주기로 협상하고 있다.
2. 1999년 한해 동안 대기업들이 부담한 준조세는
업체 당 평균 745억 원이었다.
이는 기업들이 부담한
국세의 1.2배이며, 지방세의 20배 규모에
해당하는 엄청난 액수이다.
3. 99년 10월 6일 현대가
20인치 칼라 TV 3만대를
북송하도록 승인했다. 445만 달러 어치다.
4. 99년 8월 16일 대한제당이
연간 2만톤(60만 달러)씩
북한에 제공하도록 허가됐다.
5. 99년 11월 27일 삼성도
북한에 172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6. 2000년 1월 25일 현대아산은
190만 달러 상당의 기와공장 설비를 반출했다.
7. 2000년 2월 8,863평짜리 평양실내체육관
준공식이 거행됐다. 3,420만 달러란다.
8. 평화자동차 공장에 금강산 국제그룹 박보희 회장이
그 당시 3억 달러를 투입할 예정이란다.
9. 2000년 3월 7일 삼성전자가
평양체육관용 전광판 시스템에
400만 달러를 투입했다.
10. 2000년 3월 22일 삼성이
조선컴퓨터 소프트웨어 지원에
73만 달러를 부담키로 했다.
11. 2000년 3월6일 축협에서 보낸
계란 1천만 개가 인천항을 출발했다.
새마을운동에서 곡물 1,660톤을 보냈다.
12. 2000년 4.12일 평화의 숲에서
묘목 20만 그루를 보냈다.
인도적 차원에서 이뤄진 지원은
99년 한 해에 4,688만 달러였다.
2000년 1.4분기에 순수 민간 조직이 보낸
대북 지원액만 해도 56억 원이란다.
미국 소문대로 100억 달러가 갔던 것이다.
13. 1998년11월부터 지금까지
현대는 북한에 3억8천만 달러를 지불했다.
이는 6년3개월 동안 독점개발권을 갖는
대가 9억 4,200만 달러의 일부분이다.
지금까지의 관광객 52만 명에 대해 9,200만 달러
및 투자비 1억2,600만 달러를 합치면
5억 4,800만 달러가 간 셈이다.
이렇게 돈을 퍼다 주면서
민 여인을 비롯한 수많은 관광객들이
온갖 수모를 감수해야 했고,
북한의 억지에 대해
정부는 언제나 북한 편을 들었다.
한국일보 기자는
"한국"이라는 낱말 때문에
H일보라는 명찰을,
대한매일은 "대한"이라는 글자 때문에
D일보라는 명찰을 달아야 했다.
"한국"과 "대한"은
북한에서 용납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굴종을 받아들이는 정부가 과연
한국정부였던가, 북한의 앞잡이었던가?
국민은 죽지 않았다.
죽이고 또 죽여도 가슴이 풀리지 않는 김대중을
부관참시, 능지처참하자.
[쌀 지원]
1. 1995. 6. 25. : 15만 톤
2. 2000. 9. 28. : 60만 톤(3,120억원)
[비료지원]
1998. 4. : 20만 톤(900억원)
1999. 6. : 11만 톤(450억원)
1998. : 20만 톤(900억원)
2000. : 30만 톤(1,500억원)
2000. : 4만 톤(민간기업에 강제 할당: 130억)
2001. : 20만 톤(900억원)
계: 104만 톤(4,660억원 상당)
(민간기구가 보낸 것은 미포함)
2002.: 정세현 통일부장관은 1일
“북한이 간접적으로 요청해 온다면
인도적 차원에서
올해도 비료를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관광공사가 현대에 준 돈) 2001. : 900억
(금강산 사업 독점권) 9억4,200만 달러(1조2,500억)
1999-2004년까지 6년간 나누어 내기:
연간 1억5,700만 달러.
1999. 1. 1. --- 2002. 3월말까지: 5억 1,100만 달러 북에 제공
(관광 인두세: 1인1일 100달러)
연간 50만 기준으로 하여, 관광객 수에 관계없이
매월 고정적으로 1,200만 달러 북한에 지급.
1998.11.18일부터 2002. 3.18일까지
3년 4개월간 이미 4억8천만 달러 북에 제공.
금강산관광으로 인해 현재까지
북한에 간 돈: 9억9,100만 달러.
(정부가 사용한 남북 협력기금)
매년 5000억 원대 수준
2000년: 5,660억 원
2001년: 5,204억 원
1,300만 관광객 지원: 9조 원
(51조 원은 김정일에 주는 달러,
4조 원은 현대에 주는 돈)
(그 외에 다음과 같은 막대한 지원이 있었다.)
1. 러시아에서 받을 차관 14.7억 달러를
북한에 주기로 협상하고 있다.
2. 1999년 한해 동안 대기업들이 부담한 준조세는
업체 당 평균 745억 원이었다.
이는 기업들이 부담한
국세의 1.2배이며, 지방세의 20배 규모에
해당하는 엄청난 액수이다.
3. 99년 10월 6일 현대가
20인치 칼라 TV 3만대를
북송하도록 승인했다. 445만 달러 어치다.
4. 99년 8월 16일 대한제당이
연간 2만톤(60만 달러)씩
북한에 제공하도록 허가됐다.
5. 99년 11월 27일 삼성도
북한에 172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6. 2000년 1월 25일 현대아산은
190만 달러 상당의 기와공장 설비를 반출했다.
7. 2000년 2월 8,863평짜리 평양실내체육관
준공식이 거행됐다. 3,420만 달러란다.
8. 평화자동차 공장에 금강산 국제그룹 박보희 회장이
그 당시 3억 달러를 투입할 예정이란다.
9. 2000년 3월 7일 삼성전자가
평양체육관용 전광판 시스템에
400만 달러를 투입했다.
10. 2000년 3월 22일 삼성이
조선컴퓨터 소프트웨어 지원에
73만 달러를 부담키로 했다.
11. 2000년 3월6일 축협에서 보낸
계란 1천만 개가 인천항을 출발했다.
새마을운동에서 곡물 1,660톤을 보냈다.
12. 2000년 4.12일 평화의 숲에서
묘목 20만 그루를 보냈다.
인도적 차원에서 이뤄진 지원은
99년 한 해에 4,688만 달러였다.
2000년 1.4분기에 순수 민간 조직이 보낸
대북 지원액만 해도 56억 원이란다.
미국 소문대로 100억 달러가 갔던 것이다.
13. 1998년11월부터 지금까지
현대는 북한에 3억8천만 달러를 지불했다.
이는 6년3개월 동안 독점개발권을 갖는
대가 9억 4,200만 달러의 일부분이다.
지금까지의 관광객 52만 명에 대해 9,200만 달러
및 투자비 1억2,600만 달러를 합치면
5억 4,800만 달러가 간 셈이다.
이렇게 돈을 퍼다 주면서
민 여인을 비롯한 수많은 관광객들이
온갖 수모를 감수해야 했고,
북한의 억지에 대해
정부는 언제나 북한 편을 들었다.
한국일보 기자는
"한국"이라는 낱말 때문에
H일보라는 명찰을,
대한매일은 "대한"이라는 글자 때문에
D일보라는 명찰을 달아야 했다.
"한국"과 "대한"은
북한에서 용납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굴종을 받아들이는 정부가 과연
한국정부였던가, 북한의 앞잡이었던가?
국민은 죽지 않았다.
죽이고 또 죽여도 가슴이 풀리지 않는 김대중을
부관참시, 능지처참하자.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