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파이스#80
[김어준의 파파이스#80] 한일협상 그리고 여론조사장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대일강화조약, 對日講和條約)은 1951년 9월 8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48개국이 참가하여 1952년 4월 28일에 발효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발효에 앞서 52년 1월 18일 긴급히 이승만라인을 선포하였지요.
‘이승만 라인’을 선포하니 참가국 모두가 반대하였으며 “왜 이승만 라인을 선포하는냐?”하였죠. 그에 대한 답변으로“평화를 위하여!”하였다 합니다. 그래서 평화선으로도 불립니다. 만약 이승만 라인이 없었다면 한국동해 해역은 어느 나라 주권에도 속하지 않는 공해(公海)가 되는 것이고 독도는 물론이요 울릉도 그 이상 까지도 침범을 당 할 수 있는 지경이 되었습니다.
이 평화선이 독도와 오키섬의 중간 정도에 위치하고 있었던 관계로 이 라인이 오늘까지 지켜졌다면 일본은 독도가 자기네 땅이라고 주장할 근거가 없어지게 되는 겁니다. 그랬는데 절통하게도 1965년 6월 한일조약 체결로 평화선은 사실상 해체된 것입니다. 그 라인의 해체가 너무 아쉬워 김나현씨는 ‘유보(留保)’하게 되었다 하며, “제 2의 평화선 구축이 필요하다” 하는 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8Q_tdVXDLE
-----------------------
naesjic [ 2016-01-11 11:59:39 ]
국정 교사서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은
근현대사의 비극을 모르는 분들이 쾌 많더군요.
배운적이 없으니 당연한 결과지요.
역사 전쟁의 피해자 라고 해야 하나요??
백년전쟁이 좋은 교과서 같은 역활을 하더군요.
챙피한 한국 근대사를 보면
참 어디까지 인간이 파렴치 할지??
-------------------------------------
동해/일본해 병기 표기반대.
------------------------
이미 언급한바 있지만 미주 독도운동의 첫 주자인 김나현씨는 2012년 4월, 뉴욕 특정 언론사에 '동해/일본해' 병기표기 반대! "제2의 평화선"의 필요성을 분명히 주장하였습니다.
김나현씨는 2005년 3월 커다란 태극기와 독도 모티브를 넣은 독도 홍보물 스티커를 자비로 제작하여 배포하였고 이듬해 2006년에도 동포사회에서 유명한 'DOKDO OF KOREA'를 제작 배포하여 뉴욕의 운동이 미 전역으로 확산 되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이러한 운동으로 인하여 2010년 뉴저지 팰리사이드 팍에 위치한 위안부 추모비을 건립하게 되었으며 따라서 작금의 위안부 소녀상도 김나현씨의 독도 운동에서 파생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국회차원의 독도 관련 대응 전략회의도 2008년, 뉴욕 독도운동의 열기가 더욱 뜨거울당시 당시 슬그머니 결성한 것이 ‘독도수호전략회의’였습니다.
'동해/일본해' 병기표기 반대!
= 눈 먼 영웅심을 경계하여야한다.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대일강화조약, 對日講和條約)은 1951년 9월 8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48개국이 참가하여 1952년 4월 28일에 발효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발효에 앞서 52년 1월 18일 긴급히 이승만라인을 선포하였지요.
‘이승만 라인’을 선포하니 참가국 모두가 반대하였으며 “왜 이승만 라인을 선포하는냐?”하였죠. 그에 대한 답변으로“평화를 위하여!”하였다 합니다. 그래서 평화선으로도 불립니다. 만약 이승만 라인이 없었다면 한국동해 해역은 어느 나라 주권에도 속하지 않는 공해(公海)가 되는 것이고 독도는 물론이요 울릉도 그 이상 까지도 침범을 당 할 수 있는 지경이 되었습니다.
이 평화선이 독도와 오키섬의 중간 정도에 위치하고 있었던 관계로 이 라인이 오늘까지 지켜졌다면 일본은 독도가 자기네 땅이라고 주장할 근거가 없어지게 되는 겁니다. 그랬는데 절통하게도 1965년 6월 한일조약 체결로 평화선은 사실상 해체된 것입니다. 그 라인의 해체가 너무 아쉬워 김나현씨는 ‘유보(留保)’하게 되었다 하며, “제 2의 평화선 구축이 필요하다” 하는 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8Q_tdVXDLE
-----------------------
naesjic [ 2016-01-11 11:59:39 ]
국정 교사서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은
근현대사의 비극을 모르는 분들이 쾌 많더군요.
배운적이 없으니 당연한 결과지요.
역사 전쟁의 피해자 라고 해야 하나요??
백년전쟁이 좋은 교과서 같은 역활을 하더군요.
챙피한 한국 근대사를 보면
참 어디까지 인간이 파렴치 할지??
-------------------------------------
동해/일본해 병기 표기반대.
------------------------
이미 언급한바 있지만 미주 독도운동의 첫 주자인 김나현씨는 2012년 4월, 뉴욕 특정 언론사에 '동해/일본해' 병기표기 반대! "제2의 평화선"의 필요성을 분명히 주장하였습니다.
김나현씨는 2005년 3월 커다란 태극기와 독도 모티브를 넣은 독도 홍보물 스티커를 자비로 제작하여 배포하였고 이듬해 2006년에도 동포사회에서 유명한 'DOKDO OF KOREA'를 제작 배포하여 뉴욕의 운동이 미 전역으로 확산 되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이러한 운동으로 인하여 2010년 뉴저지 팰리사이드 팍에 위치한 위안부 추모비을 건립하게 되었으며 따라서 작금의 위안부 소녀상도 김나현씨의 독도 운동에서 파생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국회차원의 독도 관련 대응 전략회의도 2008년, 뉴욕 독도운동의 열기가 더욱 뜨거울당시 당시 슬그머니 결성한 것이 ‘독도수호전략회의’였습니다.
'동해/일본해' 병기표기 반대!
= 눈 먼 영웅심을 경계하여야한다. =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