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 & 미치다- 언어학적 분석
요 몇일 사이에 흐도 많은 미치광이들이 요기서 널뛰고 날뛰는 퉁에...
미치다의 어원을 살페봉께..놀라움. 다음은 요약혀서 퍼왔씅께...한국어 어원 잘알고 사용 흡시다...
신앙(信仰)과 관련된 말의 어원( 대표적으로 "神(검) 무당 믿음 미치다"4단어)
을 분석해 보는 것도 나름대로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되어 글을 씁니다
부담없이 읽어 주셨으면 합니다.
믿음(믿다) : 신앙(信仰)의 핵심인 믿음의 어원은 무엇일까?
한자 믿을 信자를 보면 말씀 言이 들어가 있다.
즉 믿음이란 말을 믿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혹자는 신을 믿는 것이 아니겠냐?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신은 근본적으로 언어적으로 인식가능한 것이기에 신 그 자체를 믿는 것보다는 신의 어떤 언어적 행위(현세의 행운, 행복과 내세의 구원의 약속 등등)를 믿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언어적 행위를 하지 않는 신은 앙코없는 찐빵으로서 이기적인 인간에게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다. 이는 바이블에 구약(舊約), 신약(新約)이라는 명칭이 붙은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사실 기독교인들도 신 그 자체를 믿는 것이 아니라 신의 말을 믿는 것임을
부인하지는 못할 것이다.
일본어에서 무당을 미꼬(みこ 巫女 神子)라고 하는 데 꼬(こ)는 여자,자식이란 의미이고 미는 조어형(祖語形)이 "믿"으로 믿다,묻다,무당,물다의 語根 믿(묻,물)과 같이 말(입)의 의미를 지니는 말인 것이다.
믿음이란 즉 말을 믿는 것이라 하겠다.
미치다(狂) : 미치다의 어근은 및으로서 밎, 믿으로 소급된다.
(ㅊ은 ㅈ에서 ㅈ은 ㄷ에서 변화한 음이다.)
미친 현상을 정신적으로 보면 "마음(心)"과 동원어(同源語)이고
언어적으로 보면 "말(믿다, 묻다, 물다, 무당)"과 동원어다.
하지만 어느 쪽으로 해석하든 어원은 같다. 즉 모두 말(言)이란 뜻이다.
마음의 원어는 마삼이다. 마삼의 어근 맛(맏)은 말(言 믿다, 묻다, 물다, 무당)과 동원어이다. 마음은 말로써 표현되는 것이다.
일본어에 kuruu(くるう 狂う 미치다)가 있으며 어근 kur은 가라다(曰) 가르치다 잠꼬대의 꼬대의 어근(갈 ,곧)과 같이 말이란 의미인 것이다.
한자어에 속일 광(言+狂), 속일 무(誣)자가 있다.
속일광자는 사람으로 하여금 미치도록(狂 지나치게) 믿게 만드는 말(言)로써 이는 사기이며 사람을 속이는 행위라는 뜻이다. 誣는 무당(巫)의 말(言)은 근본적으로 사람을 속이는 속성을 가지고 있기에 생긴 말이다.
정리하면 미친 행위는 언어적 행위며
신앙적으로 볼 때는 신과 그의 중개자인 무당(목사 신부)의 말을 너무 믿어 일어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행위를 조장하는 것을 바로 미신(迷信)이라고 한다.
미치는 것은 말(인간의 말 , 신의 말)을 너무 믿어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結論하면 神(감), 무당, 믿음 , 미치다의 어원은 모두 말(言)에 있으며 인간의
신에 대한 인식은 말로 시작해서 말로 끝맺음을 의미하고
말 자체가 신(神)이라는 고대인들의 생각을 보여주고 있다.
바이블도 불속을 통과하는 순간 신의 말과 더불어 영원히 사라질 것이며
인간 또한 죽는 순간 그 죽음과 더불어 말 또한 영원히 사라질 것이다.
죽은 자는 아무런 말이 없다.
사자(死者)는 말(神)의 고통과 협박 굴레 사슬 속박 예속 등 이 모든 인간을
억압하는 미신(迷信)과 환영(幻影)에서 완전히 벗어나 자유롭기 때문이리라...
이 세상을 신이 창조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이 세상과 신을 창조하였다는
사실을 빤히 알고 있는 나로서는
유대의 이데올로기를 담은 쓰레기말(바이블. 우리와 우리 사회 민족에게는 다만 오직 진실로 쓰레기에 불과하다 )에 아직도 자신의 한 평생과 가족 사회 민족을 좀먹고 있는 귀먹은 기독교인에게 가슴이 끝없이 메어 옴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미치다의 어원을 살페봉께..놀라움. 다음은 요약혀서 퍼왔씅께...한국어 어원 잘알고 사용 흡시다...
신앙(信仰)과 관련된 말의 어원( 대표적으로 "神(검) 무당 믿음 미치다"4단어)
을 분석해 보는 것도 나름대로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되어 글을 씁니다
부담없이 읽어 주셨으면 합니다.
믿음(믿다) : 신앙(信仰)의 핵심인 믿음의 어원은 무엇일까?
한자 믿을 信자를 보면 말씀 言이 들어가 있다.
즉 믿음이란 말을 믿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혹자는 신을 믿는 것이 아니겠냐?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신은 근본적으로 언어적으로 인식가능한 것이기에 신 그 자체를 믿는 것보다는 신의 어떤 언어적 행위(현세의 행운, 행복과 내세의 구원의 약속 등등)를 믿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언어적 행위를 하지 않는 신은 앙코없는 찐빵으로서 이기적인 인간에게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다. 이는 바이블에 구약(舊約), 신약(新約)이라는 명칭이 붙은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사실 기독교인들도 신 그 자체를 믿는 것이 아니라 신의 말을 믿는 것임을
부인하지는 못할 것이다.
일본어에서 무당을 미꼬(みこ 巫女 神子)라고 하는 데 꼬(こ)는 여자,자식이란 의미이고 미는 조어형(祖語形)이 "믿"으로 믿다,묻다,무당,물다의 語根 믿(묻,물)과 같이 말(입)의 의미를 지니는 말인 것이다.
믿음이란 즉 말을 믿는 것이라 하겠다.
미치다(狂) : 미치다의 어근은 및으로서 밎, 믿으로 소급된다.
(ㅊ은 ㅈ에서 ㅈ은 ㄷ에서 변화한 음이다.)
미친 현상을 정신적으로 보면 "마음(心)"과 동원어(同源語)이고
언어적으로 보면 "말(믿다, 묻다, 물다, 무당)"과 동원어다.
하지만 어느 쪽으로 해석하든 어원은 같다. 즉 모두 말(言)이란 뜻이다.
마음의 원어는 마삼이다. 마삼의 어근 맛(맏)은 말(言 믿다, 묻다, 물다, 무당)과 동원어이다. 마음은 말로써 표현되는 것이다.
일본어에 kuruu(くるう 狂う 미치다)가 있으며 어근 kur은 가라다(曰) 가르치다 잠꼬대의 꼬대의 어근(갈 ,곧)과 같이 말이란 의미인 것이다.
한자어에 속일 광(言+狂), 속일 무(誣)자가 있다.
속일광자는 사람으로 하여금 미치도록(狂 지나치게) 믿게 만드는 말(言)로써 이는 사기이며 사람을 속이는 행위라는 뜻이다. 誣는 무당(巫)의 말(言)은 근본적으로 사람을 속이는 속성을 가지고 있기에 생긴 말이다.
정리하면 미친 행위는 언어적 행위며
신앙적으로 볼 때는 신과 그의 중개자인 무당(목사 신부)의 말을 너무 믿어 일어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행위를 조장하는 것을 바로 미신(迷信)이라고 한다.
미치는 것은 말(인간의 말 , 신의 말)을 너무 믿어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結論하면 神(감), 무당, 믿음 , 미치다의 어원은 모두 말(言)에 있으며 인간의
신에 대한 인식은 말로 시작해서 말로 끝맺음을 의미하고
말 자체가 신(神)이라는 고대인들의 생각을 보여주고 있다.
바이블도 불속을 통과하는 순간 신의 말과 더불어 영원히 사라질 것이며
인간 또한 죽는 순간 그 죽음과 더불어 말 또한 영원히 사라질 것이다.
죽은 자는 아무런 말이 없다.
사자(死者)는 말(神)의 고통과 협박 굴레 사슬 속박 예속 등 이 모든 인간을
억압하는 미신(迷信)과 환영(幻影)에서 완전히 벗어나 자유롭기 때문이리라...
이 세상을 신이 창조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이 세상과 신을 창조하였다는
사실을 빤히 알고 있는 나로서는
유대의 이데올로기를 담은 쓰레기말(바이블. 우리와 우리 사회 민족에게는 다만 오직 진실로 쓰레기에 불과하다 )에 아직도 자신의 한 평생과 가족 사회 민족을 좀먹고 있는 귀먹은 기독교인에게 가슴이 끝없이 메어 옴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