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불황때문에 교회가 어렵다고?
잘나가던 한국 교회, 대위기 닥쳤다.
신마저 못피해간 불황의 그림자
시주·헌금 크게 줄고 종교시설 경매 늘어
서울 경제 | 우현석선임기자 | 입력 2013.02.22 18:05 |
---------------------------------------------------------
"한국 불황이 미국 불황보다 더 심각합니다.
미국에서 목회를 하다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신도 수가 급감해
한국으로 왔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도 목사 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학원에서 2년 동안 영어를
가르쳤습니다.
오히려 미국의 형편이 더 나은 것 같아 미국으로 돌아가기로 결정했어요."
미국의 내로라는 명문대를 졸업하고 샌프란시스코의 백인 교회에서
목회를 하던 A목사는 한숨을 내쉬었다.
귀국 후 2년간 국내에 머물며 학원과 대학에서 영어를 가르치던 그는
"미국은 불황이라도 능력이 있으면 목회자 자리를 구할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도저히 목회자 자리를 찾을 수 없어 미국으로 돌아가기로
했다"며 말꼬리를 흐렸다.
=================================================
산업계와 서민경제를 뒤덮고 있는 경기침체가 종교계마저 엄습하고 있다.
교회의 헌금, 사찰의 시주금과 신도 수가 정체되면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교계에 정통한 한 목사는 "최근 들어 개척교회를 일구던 목사들이
교회를 처분하고 대형 교회의 부목사 자리를 찾는 사례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며 "사정은 딱하지만 교단과 신도들의 눈이 있어 그 같은
청을 쉽사리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나마 해마다 교세가 조금씩 확장되고 있는 천주교는 형편이 나은 편이다.
이영식 천주교주교회의 홍보팀장은 "천주교는 최근 몇 년간 해마다
신도 수가 2%안팎씩 늘었다"며 "해마다 3월쯤 전년 통계가 집계되는데
지난해도 비슷한 비율로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종교계의 한 관계자는 "천주교는 해마다 '한국천주교회
통계'를 발간하고 있지만 불교와 개신교는 정부가 10년마다 조사하는
센서스 외에는
이렇다 할 통계자료가 없어 정확한 수치를 파악할 수 없다"고 말했다.
우현석선임기자 hnskwoo@sed.co.kr
------------------
누가 보면 경제가 불황이고 사람들이 먹고살기 위해서 허리띠를
더욱 졸라메다보니 교회에 낼 돈이 없어서 교회가 재정위기에
닥쳤다고 생각하겠지만, 내가 볼때 이는 경제불황과는 상관이 없는듯 하다.
교회가 망하고 있다는 증거다.
일반인들이 교회를 외면하고 있고, 먹사는 일년에 한사람도
새신자를 끌어드리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다.
경제가 나빠져서 먹고살기 힘들면 교회는 원래 더 부흥하는법이다.
부자나라에서는 야소교가 사양길인데, 먹고살기 힘든 가난한 나라에서는
야소교가 번창하고 있는것이 증거다.
신마저 못피해간 불황의 그림자
시주·헌금 크게 줄고 종교시설 경매 늘어
서울 경제 | 우현석선임기자 | 입력 2013.02.22 18:05 |
---------------------------------------------------------
"한국 불황이 미국 불황보다 더 심각합니다.
미국에서 목회를 하다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신도 수가 급감해
한국으로 왔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도 목사 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학원에서 2년 동안 영어를
가르쳤습니다.
오히려 미국의 형편이 더 나은 것 같아 미국으로 돌아가기로 결정했어요."
미국의 내로라는 명문대를 졸업하고 샌프란시스코의 백인 교회에서
목회를 하던 A목사는 한숨을 내쉬었다.
귀국 후 2년간 국내에 머물며 학원과 대학에서 영어를 가르치던 그는
"미국은 불황이라도 능력이 있으면 목회자 자리를 구할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도저히 목회자 자리를 찾을 수 없어 미국으로 돌아가기로
했다"며 말꼬리를 흐렸다.
=================================================
산업계와 서민경제를 뒤덮고 있는 경기침체가 종교계마저 엄습하고 있다.
교회의 헌금, 사찰의 시주금과 신도 수가 정체되면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교계에 정통한 한 목사는 "최근 들어 개척교회를 일구던 목사들이
교회를 처분하고 대형 교회의 부목사 자리를 찾는 사례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며 "사정은 딱하지만 교단과 신도들의 눈이 있어 그 같은
청을 쉽사리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나마 해마다 교세가 조금씩 확장되고 있는 천주교는 형편이 나은 편이다.
이영식 천주교주교회의 홍보팀장은 "천주교는 최근 몇 년간 해마다
신도 수가 2%안팎씩 늘었다"며 "해마다 3월쯤 전년 통계가 집계되는데
지난해도 비슷한 비율로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종교계의 한 관계자는 "천주교는 해마다 '한국천주교회
통계'를 발간하고 있지만 불교와 개신교는 정부가 10년마다 조사하는
센서스 외에는
이렇다 할 통계자료가 없어 정확한 수치를 파악할 수 없다"고 말했다.
우현석선임기자 hnskwoo@sed.co.kr
------------------
누가 보면 경제가 불황이고 사람들이 먹고살기 위해서 허리띠를
더욱 졸라메다보니 교회에 낼 돈이 없어서 교회가 재정위기에
닥쳤다고 생각하겠지만, 내가 볼때 이는 경제불황과는 상관이 없는듯 하다.
교회가 망하고 있다는 증거다.
일반인들이 교회를 외면하고 있고, 먹사는 일년에 한사람도
새신자를 끌어드리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다.
경제가 나빠져서 먹고살기 힘들면 교회는 원래 더 부흥하는법이다.
부자나라에서는 야소교가 사양길인데, 먹고살기 힘든 가난한 나라에서는
야소교가 번창하고 있는것이 증거다.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