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선언일 3ㆍ1절이 숨박꼭질하는게 아니지
우리나라가 일본에 강점된지 햇수로 36년만에 독립하기까지 그 수 많은 독립투사의 땀과 피로 얼룩진 역사가 엄연하고. 국권이 피탈한 후 9년 후에 광복[독립]선언을 하고 이로부터 26년 후 해방을 맞이.
우리 선조가 1919년에 독립선언했다고 그 강점국으로부터 독립된 역사가 아님.
그 미국의 독립기념일 역시 독립선언 후에도 8년간의 전투 후인 1783년 9월 3일에 가서야 파리조약으로써 영국과 프랑스로부터 미국의 독립을 인정받았지만 그 9월 3일보다 7월 4일(1776년)에 기념 꽃불놀이, 데코레이션 행진을 성대히 하고 있음.
그러므로 점령국이었던 일본 부품ㆍ완제품을 많이 애용한다하여 3ㆍ1절 기념일을 폐기해야 한다는 말은 언어도단, 관찰이 옳지 않다고 본다.
이 것은 독립기념일이 어디까지나 독립적이지 외제와 맞붙을 짝이 아님.
외국산을 선호하는 사치풍조를 경고하고, 국산을 장려하며 국가생산력을 증대시켜온 현 체제 그대로 유지해야지 별다른 뾰죽한 방법이 없다면야 일산, 미제 등 외제 사용을 국가생산력과 맞불을 놓아야지 3ㆍ1절을 적수[대우]로 생각하고 존폐론을 널뛰기시킬 수 없다 하겠다.
아니면 일제를 덜 사용하는 날까지 3ㆍ1절을 숨박꼭질시키자는 말인가?
^-^
우리 선조가 1919년에 독립선언했다고 그 강점국으로부터 독립된 역사가 아님.
그 미국의 독립기념일 역시 독립선언 후에도 8년간의 전투 후인 1783년 9월 3일에 가서야 파리조약으로써 영국과 프랑스로부터 미국의 독립을 인정받았지만 그 9월 3일보다 7월 4일(1776년)에 기념 꽃불놀이, 데코레이션 행진을 성대히 하고 있음.
그러므로 점령국이었던 일본 부품ㆍ완제품을 많이 애용한다하여 3ㆍ1절 기념일을 폐기해야 한다는 말은 언어도단, 관찰이 옳지 않다고 본다.
이 것은 독립기념일이 어디까지나 독립적이지 외제와 맞붙을 짝이 아님.
외국산을 선호하는 사치풍조를 경고하고, 국산을 장려하며 국가생산력을 증대시켜온 현 체제 그대로 유지해야지 별다른 뾰죽한 방법이 없다면야 일산, 미제 등 외제 사용을 국가생산력과 맞불을 놓아야지 3ㆍ1절을 적수[대우]로 생각하고 존폐론을 널뛰기시킬 수 없다 하겠다.
아니면 일제를 덜 사용하는 날까지 3ㆍ1절을 숨박꼭질시키자는 말인가?
^-^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