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lDonaldTrump News
지난달 알래스카 서밋에서 푸틴통 '만약 트럼프 당신이 45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면 '우크라이나-러시아'전쟁 없을을것이라'하였다. 전쟁이후, 양측 약 20만여명이 사망한것으로 추정하고있다. ----------------------------
ALL TARIFFS ARE STILL IN EFFECT! Today a Highly Partisan Appeals Court incorrectly said that our Tariffs should be removed, but they know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ill win in the end. If these Tariffs ever went away, it would be a total disaster for the Country. It would make us financially weak, and we have to be strong. The U.S.A. will no longer tolerate enormous Trade Deficits and unfair Tariffs and Non Tariff Trade Barriers imposed by other Countries, friend or foe, that undermine our Manufacturers, Farmers, and everyone else. If allowed to stand, this Decision would literally destroy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t the start of this Labor Day weekend, we should all remember that TARIFFS are the best tool to help our Workers, and support Companies that produce great MADE IN AMERICA products. For many years, Tariffs were allowed to be used against us by our uncaring and unwise Politicians. Now, with the help of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we will use them to the benefit of our Nation, and Make America Rich, Strong, and Powerful Again! Thank you for your attention to this matter.
// 모든 관세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오늘, 매우 당파적인 항소 법원은 관세가 철폐되어야 한다고 잘못 판결했지만, 결국 미국이 승리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만약 이 관세가 폐지된다면, 이는 국가에 완전한 재앙이 될 것입니다. 우리를 재정적으로 약화시킬 것이며, 우리는 강해져야 합니다. 미국은 더 이상 다른 나라들이 우리의 제조업자, 농부, 그리고 그 외 모든 사람들을 약화시키는, 친구든 적대든, 엄청난 무역 적자와 불공정한 관세, 그리고 비관세 무역 장벽을 용납하지 않을 것입니다. 만약 이 결정이 유지된다면, 미국은 말 그대로 파괴될 것입니다. 노동절 주말을 맞이하여, 우리 모두는 관세가 우리 노동자들을 돕고 훌륭한 미국산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을 지원하는 최고의 도구라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오랫동안 우리의 무관심하고 현명하지 못한 정치인들은 관세를 우리에게 불리하게 사용해 왔습니다. 이제 미국 대법원의 도움을 받아, 우리는 이 법안들을 국가를 위해 사용하고, 미국을 다시 부유하고, 강하고, 강력하게 만들 것입니다! 이 문제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Aug 29, 2025, 6:10 PM
관련하여,
White House Press Secretary Caroline Levitt stated at a press conference, "In exchange for a 15% tariff on imports, including automobiles, South Korea has granted historic market access for key products like US automobiles and rice.“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레빗은 기자회견에서 "자동차를 포함한 수입품에 15% 관세를 부과하는 대가로 한국은 미국산 자동차와 쌀 등 핵심 제품에 대한 역사적인 시장 접근을 허용했다"고 밝힌바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