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서방의 세상이야기(자리이타 (自利利他))
==
(자리이타 /自利利他)
==
아래 퍼 온 글에 설명이 있듯
어떠한 인간의 앎도 자리이타 한 앎이 되지 못하면 그것은 어쩌면 독이 될 수도 있다.
또한 그 안다고 하는 앎도 실제는 아주 미미한 보잘 것 없는 것에 불과하다.
.
그런걸 우린 배웠다, 안다, 하고 상대를 무시하거나 모욕적인 언행을 저지른다면
그건 어쩌면 시차적인 차이는 있을지언정 언젠가는 부메랑이 되어
본인에게 돌아온다는 걸 알았으면 더 좋지 않을까 싶다.
.
만일에 만일에 먼 훗날 우리가 현세의 삶을 떠나 저승이란 곳에 가게 되었는데
거기서 저승 판사가 묻길, “넨 거기서 뭣을하다 왔는가?” 하고 물으면
과연 난 뭐라고 답을 해야 할 까?
세상이 아무리 시끄러워도 그래도 나만이라도 입조심 몸조심 하면서
뭣이 바르게 살다 가는 길인지 한 번 쯤 깊은 생각을 해 보면 어쩔까 싶다.
== 이하 펌 글 ==
<화엄경>에 나온다는 '자리이타(自利利他)'는 '나를 이롭게 하는 일이 남에게도 이로운 일'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
달라이 라마는 자리이타를 이렇게 설명한다고 한다.
"자리이타는 자기를 희생하면서 다른 사람을 돕는다는 뜻이 아니다.
보살이나 지혜로운 사람들은 궁극적 깨달음을 성취하는 목표에 전적으로 집중한다.
그 목표를 이타적인 마음인 자비심을 키워 이룩한다.
자신의 목표를 성취하는 최상의 길이 이타적인 사람이고,
그 행동이 자기에게 가장 큰 축복으로 돌아온다."
.
이 설명을 읽다 보면 불교에서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 길이
결국은 이타적 마음을 키우는 것이고,
이 마음은 결국 해탈을 통해 자신을 승화시킨다고 이해된다.
따라서 자신을 위하는 것과
남을 위하는 것이 여기서는 선후의 관계라기 보다는
동시적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불교에서의 자비는 기독교의 사랑과 크게 다르지 않고,
해탈과 예수를 닮는 것 또한 같은 경지가 아닐까 싶다.
그 곳에 이르기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과 자기와의 싸움이 필요한 것 또한.
삶의 목표가 나 자신에 집중되어 있지 않고
나 자신을 넘어서 공동체를 향해 열려 있을 때,
그것이 결국은 나의 행복이 될 수 있다는 가르침이 마음에 와 닿는다.
.
작성자: Life in Translation
(자리이타 /自利利他)
==
아래 퍼 온 글에 설명이 있듯
어떠한 인간의 앎도 자리이타 한 앎이 되지 못하면 그것은 어쩌면 독이 될 수도 있다.
또한 그 안다고 하는 앎도 실제는 아주 미미한 보잘 것 없는 것에 불과하다.
.
그런걸 우린 배웠다, 안다, 하고 상대를 무시하거나 모욕적인 언행을 저지른다면
그건 어쩌면 시차적인 차이는 있을지언정 언젠가는 부메랑이 되어
본인에게 돌아온다는 걸 알았으면 더 좋지 않을까 싶다.
.
만일에 만일에 먼 훗날 우리가 현세의 삶을 떠나 저승이란 곳에 가게 되었는데
거기서 저승 판사가 묻길, “넨 거기서 뭣을하다 왔는가?” 하고 물으면
과연 난 뭐라고 답을 해야 할 까?
세상이 아무리 시끄러워도 그래도 나만이라도 입조심 몸조심 하면서
뭣이 바르게 살다 가는 길인지 한 번 쯤 깊은 생각을 해 보면 어쩔까 싶다.
== 이하 펌 글 ==
<화엄경>에 나온다는 '자리이타(自利利他)'는 '나를 이롭게 하는 일이 남에게도 이로운 일'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
달라이 라마는 자리이타를 이렇게 설명한다고 한다.
"자리이타는 자기를 희생하면서 다른 사람을 돕는다는 뜻이 아니다.
보살이나 지혜로운 사람들은 궁극적 깨달음을 성취하는 목표에 전적으로 집중한다.
그 목표를 이타적인 마음인 자비심을 키워 이룩한다.
자신의 목표를 성취하는 최상의 길이 이타적인 사람이고,
그 행동이 자기에게 가장 큰 축복으로 돌아온다."
.
이 설명을 읽다 보면 불교에서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 길이
결국은 이타적 마음을 키우는 것이고,
이 마음은 결국 해탈을 통해 자신을 승화시킨다고 이해된다.
따라서 자신을 위하는 것과
남을 위하는 것이 여기서는 선후의 관계라기 보다는
동시적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불교에서의 자비는 기독교의 사랑과 크게 다르지 않고,
해탈과 예수를 닮는 것 또한 같은 경지가 아닐까 싶다.
그 곳에 이르기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과 자기와의 싸움이 필요한 것 또한.
삶의 목표가 나 자신에 집중되어 있지 않고
나 자신을 넘어서 공동체를 향해 열려 있을 때,
그것이 결국은 나의 행복이 될 수 있다는 가르침이 마음에 와 닿는다.
.
작성자: Life in Translation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