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가 성장하려면 여자가 많아야
인류에 여자만 그득하고 남자가 하나도 없으면 인간은 지구 상에서 멸종된다. 반대로 남자만 득실거리고 여자가 단 한명이라면 결국 그 인간의 번식은 고작 열명 혹은 그보다 더 증가할 수가 없다.
따라서 경제성장의 최고의 잣대는 인구증가률이다. 얼마인가에 따라 그 경제단위가 성장세에 있은가, 아니면 하락세에 들어가는 가를 가름할 수가 있다. 왜냐 하면 경제는 사람이 하는 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노동자의 숫자가 다른 어느 요인, 즉 자본, 기술, 조직 등등의 많고 좋고를 떠나서 제일 고려해야 할 사안이 되겠다.
한국의 경우는 적령기에 짝을 짓지 못하는 경향이 있고, 설혹 결혼을 했어도 경제여건 때문에 이혼을 한다고 한다. 그리고 아이를 낳지 않는 이유 역시 같은 사정에서 나타나는 저출산을 걱정하고 있다. 시간이 갈 수로 인구가 감소하면 결과적으로 다시 후진 경제국가로 전락함은 당연한 일이 되겠다.
한국이 처한 현 실정이 이처럼 암담해도 정치인들은 이 문제에 관하여 어떻게 하겠다는 어떤 선거공약이란 볼 수가 없다. 한 마디로 국가의 장래를 걱정하는 기본적 요구사항에 대하여 지금부터 준비하고 개선하려는 의지가 전혀 없다. 인구를 증가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하겠오?
우선 젊은이들이 직장을 가져서 가정을 꾸밀 여력을 제공해야 한다. 현실은 그렇지가 않지 않은가? 직장도 그렇고, 봉급도 시원치 않고, 주거지 마련도 힘들게 되어 있다. 왜 이런 기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보시오? 1960년초에서 지금까지 경제성장에만 중점을 두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대기업 중심으로 재벌을 키웠고, 그들로 하여금 하청업자를 줄줄이 이용하여 수출하면 만사가 OK로 발전돼 왔었다. 중국이 세계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하기까지는...... 그런데 어째서 지금은 어렵게 됐다는 건가?
한국이 중국이 세계시장으로 나가는 중간재 내기 유치한 기술로 용역을 제공할 수 있었으나, 이제는 중국이 한국과의 중계무역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당수의 수출품이 그들과 경쟁상대에 서게 돼서 채산이 맞지 않게 되었다.
지금이야 말로 한국의 경제구조가 재조정돼야 할 때다. 재벌이 아니라 중소기업들이 중국처럼 직접 세계를 상대로 각자 살길을 찾도록 국가가 적극 도와주어야 한다. 원래 고용의 창출은 이들 중 내지 소기업에서 만들어진다. 대기업의 재벌이 아니란 말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일자리를 찾이 못하고 촛불이나 켜들고 광화문 거리로 나서는 일이 없어질 것이다. 先成長(선성장)이 시대는 갔고, 後分配(후분배)의 세기가 와야 한다. 가진 넘들끼리 나누어 갖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동안의 구식의 경제체제에서 밀려나 있는 젊은 세대가 한국의 잘래를 짊어지도록 진짜 구조의 재조건의 혁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통일이 되던 않되던......앞으로의 한국은 설 자리가 없다.
禪涅槃
따라서 경제성장의 최고의 잣대는 인구증가률이다. 얼마인가에 따라 그 경제단위가 성장세에 있은가, 아니면 하락세에 들어가는 가를 가름할 수가 있다. 왜냐 하면 경제는 사람이 하는 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노동자의 숫자가 다른 어느 요인, 즉 자본, 기술, 조직 등등의 많고 좋고를 떠나서 제일 고려해야 할 사안이 되겠다.
한국의 경우는 적령기에 짝을 짓지 못하는 경향이 있고, 설혹 결혼을 했어도 경제여건 때문에 이혼을 한다고 한다. 그리고 아이를 낳지 않는 이유 역시 같은 사정에서 나타나는 저출산을 걱정하고 있다. 시간이 갈 수로 인구가 감소하면 결과적으로 다시 후진 경제국가로 전락함은 당연한 일이 되겠다.
한국이 처한 현 실정이 이처럼 암담해도 정치인들은 이 문제에 관하여 어떻게 하겠다는 어떤 선거공약이란 볼 수가 없다. 한 마디로 국가의 장래를 걱정하는 기본적 요구사항에 대하여 지금부터 준비하고 개선하려는 의지가 전혀 없다. 인구를 증가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하겠오?
우선 젊은이들이 직장을 가져서 가정을 꾸밀 여력을 제공해야 한다. 현실은 그렇지가 않지 않은가? 직장도 그렇고, 봉급도 시원치 않고, 주거지 마련도 힘들게 되어 있다. 왜 이런 기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보시오? 1960년초에서 지금까지 경제성장에만 중점을 두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대기업 중심으로 재벌을 키웠고, 그들로 하여금 하청업자를 줄줄이 이용하여 수출하면 만사가 OK로 발전돼 왔었다. 중국이 세계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하기까지는...... 그런데 어째서 지금은 어렵게 됐다는 건가?
한국이 중국이 세계시장으로 나가는 중간재 내기 유치한 기술로 용역을 제공할 수 있었으나, 이제는 중국이 한국과의 중계무역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당수의 수출품이 그들과 경쟁상대에 서게 돼서 채산이 맞지 않게 되었다.
지금이야 말로 한국의 경제구조가 재조정돼야 할 때다. 재벌이 아니라 중소기업들이 중국처럼 직접 세계를 상대로 각자 살길을 찾도록 국가가 적극 도와주어야 한다. 원래 고용의 창출은 이들 중 내지 소기업에서 만들어진다. 대기업의 재벌이 아니란 말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일자리를 찾이 못하고 촛불이나 켜들고 광화문 거리로 나서는 일이 없어질 것이다. 先成長(선성장)이 시대는 갔고, 後分配(후분배)의 세기가 와야 한다. 가진 넘들끼리 나누어 갖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동안의 구식의 경제체제에서 밀려나 있는 젊은 세대가 한국의 잘래를 짊어지도록 진짜 구조의 재조건의 혁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통일이 되던 않되던......앞으로의 한국은 설 자리가 없다.
禪涅槃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