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서방의 횡설수설(청산은 나를 보고..)
==
나의 장수에 대한 철학은,
오래 사는 것은 별로 바라지 않는다.
.
뭔가 내가 만들어 낸 나만의 삶의 목표에 끄달려 바삐 살다가
아무에게도 폐 끼치지 않고 건강하게 살다가 가고픈 마음이다.
하기야 대부분은 그러고 싶겠지...
.
살다보면 어느 것 하나 내 마음에 차는 것 없다.
이 땐 그저 그런 것이구나 하고
받아드리는 자세를 취하는 내가 되도록 나를 바꾸려고 애를 쓴다.
.
세상사 모든 괴로움은 오해가 남긴 것이고
오해는 이해가 되었으면 오해가 생기지 않고
오해가 생기지 않으면 괴로움도 생기지 않는다고 믿는다.
.
그러다 때가 되었다 싶으면 뭔가 확실은 결행을 해야 한다고 본다.
더러는 그러는 것은 옳지 않다고 할지 모르지만...
.
그러나 나의 명을 어떻게 하긴 아직은 이다.
이 아직이 언제까지일지 나도 모른다.
.
그러나 어쩌면 알아질 것도 같기도 하다.
그래서 마음을 비우면 그 때를 알 것 같이
마음을 비우려 애를 쓰면서 산다.
.
아래의 몇 분의 장수(長壽)에 대한 글들을 읽고 나니
갑자기 이 시가 생각이 나서 모시고 와 횡설수설 해본다.
.
== 나옹선사의 시 ==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창공은 나를 잡고 티 없이 살라하네.
사랑도 벗어놓고 미움도 벗어놓고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세월은 나를 보고 덧없다 하지 않고
우주는 나를 보고 곳 없다 하지 않네.
번뇌도 벗어놓고 욕심도 벗어놓고
강같이 구름같이 말없이 가라하네..."
==
==
산을 좋아하는 이들은 들었을 법한
이 시는 나옹 선사가 남긴 것으로 전하고 있지요.
고려 말 예주(지금 경북 영덕군 영해지방)부에서 출생하여 출생의 전설이 있습니다.
.
이 지방에 창수면 가산리에 까치소라는 개울이 있는데
까치소 앞에서 관헌에 끌려가다가 그의 어머니가 아이를 낳았고
낳은 아이를 개울가에 그대로 둔 채 예주 부 관청에 끌려갔다고 합니다.
.
부사가 옷자락에 묻은 피를 보고 이상하게 여겨서 연유를 물어보니
도중에 출산한 아이를 그대로 두고 왔다는 것을 알고는
.
빨리 돌려보내라는 사또의 엄명에 따라
그 자리에 돌아가니 아이는 죽지 않고
수 백 마리의 까치들이 애기를 보호하고 있었는데
그 아이가 자라서 나옹 대사라는 큰 인물이 되었다는 전설이지요.
.
그는 원나라 유학을 했고
인도의 지공스님의 제자로서 인도불교를 한국불교로 승화시킨 역사적 인물로서
경기도 양주군 회암사 절터가 있는데
경주의 황룡사 절터보다 규모가 큰 우리나라 최대의 사찰로 중창되었다.
.
무학대사(아래 용무늬가 있는 정교한 부도사진)는 그의 제자였고,
조선 태조 왕사로서 한양천도의 주요 인물이었지요.
비석은 조선왕조 유학사상의 지주였던 목은 이색이 찬한 비문이 남아있습니다.
==
나의 장수에 대한 철학은,
오래 사는 것은 별로 바라지 않는다.
.
뭔가 내가 만들어 낸 나만의 삶의 목표에 끄달려 바삐 살다가
아무에게도 폐 끼치지 않고 건강하게 살다가 가고픈 마음이다.
하기야 대부분은 그러고 싶겠지...
.
살다보면 어느 것 하나 내 마음에 차는 것 없다.
이 땐 그저 그런 것이구나 하고
받아드리는 자세를 취하는 내가 되도록 나를 바꾸려고 애를 쓴다.
.
세상사 모든 괴로움은 오해가 남긴 것이고
오해는 이해가 되었으면 오해가 생기지 않고
오해가 생기지 않으면 괴로움도 생기지 않는다고 믿는다.
.
그러다 때가 되었다 싶으면 뭔가 확실은 결행을 해야 한다고 본다.
더러는 그러는 것은 옳지 않다고 할지 모르지만...
.
그러나 나의 명을 어떻게 하긴 아직은 이다.
이 아직이 언제까지일지 나도 모른다.
.
그러나 어쩌면 알아질 것도 같기도 하다.
그래서 마음을 비우면 그 때를 알 것 같이
마음을 비우려 애를 쓰면서 산다.
.
아래의 몇 분의 장수(長壽)에 대한 글들을 읽고 나니
갑자기 이 시가 생각이 나서 모시고 와 횡설수설 해본다.
.
== 나옹선사의 시 ==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창공은 나를 잡고 티 없이 살라하네.
사랑도 벗어놓고 미움도 벗어놓고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세월은 나를 보고 덧없다 하지 않고
우주는 나를 보고 곳 없다 하지 않네.
번뇌도 벗어놓고 욕심도 벗어놓고
강같이 구름같이 말없이 가라하네..."
==
==
산을 좋아하는 이들은 들었을 법한
이 시는 나옹 선사가 남긴 것으로 전하고 있지요.
고려 말 예주(지금 경북 영덕군 영해지방)부에서 출생하여 출생의 전설이 있습니다.
.
이 지방에 창수면 가산리에 까치소라는 개울이 있는데
까치소 앞에서 관헌에 끌려가다가 그의 어머니가 아이를 낳았고
낳은 아이를 개울가에 그대로 둔 채 예주 부 관청에 끌려갔다고 합니다.
.
부사가 옷자락에 묻은 피를 보고 이상하게 여겨서 연유를 물어보니
도중에 출산한 아이를 그대로 두고 왔다는 것을 알고는
.
빨리 돌려보내라는 사또의 엄명에 따라
그 자리에 돌아가니 아이는 죽지 않고
수 백 마리의 까치들이 애기를 보호하고 있었는데
그 아이가 자라서 나옹 대사라는 큰 인물이 되었다는 전설이지요.
.
그는 원나라 유학을 했고
인도의 지공스님의 제자로서 인도불교를 한국불교로 승화시킨 역사적 인물로서
경기도 양주군 회암사 절터가 있는데
경주의 황룡사 절터보다 규모가 큰 우리나라 최대의 사찰로 중창되었다.
.
무학대사(아래 용무늬가 있는 정교한 부도사진)는 그의 제자였고,
조선 태조 왕사로서 한양천도의 주요 인물이었지요.
비석은 조선왕조 유학사상의 지주였던 목은 이색이 찬한 비문이 남아있습니다.
==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