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10∼30대 사망원인 1위는?
서울시 10∼30대 사망원인 1위 ‘자살’.. 씁쓸
강주희 기자 | balnews21@gmail.com
지난해 서울시민의 가장 큰 사망원인은 암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가 26일 통계포털 서울통계에 발표한 ‘서울시민 건강 및 사망원인’에 따르면 지난해 사망자는 4만2000명으로 31%(1만3028명)가 암으로 죽었다. 그 다음으로 뇌혈관질환(8.7%), 심장질환(7.9%), 자살(6.1%), 당뇨병(4%) 순으로 나타났다. 사망률(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도 375.6에서 420.1로 높아졌다
10~30대 젊은층의 사망원인 1위는 자살, 40대 이상부터는 암이 가장 많았다.
특히 20대 사망원인의 절반 이상인 51.6%가 자살이었다, 10대는 35.1%, 30대 39.7%를 차지했다. 40대 사망원인은 암(32.0%), 자살(19.7%), 간질환(7.2%) 순이었고, 50대는 암(40.8%), 자살(10.6%), 심장질환(6.5%), 60대는 암(48.8%), 뇌혈관질환(6.9%), 심장질환(6.5%) 등 나이가 많아질수록 질병에 의한 사망이 많았다.
서울시민의 기대수명은 2000년 78.8세에서 지난해 82.9세로 늘었다. 여성은 86세, 남성 79.7세다. 반면 자신의 건강이 양호하다고 생각하는 인구의 비율은 2008년 50.9%에서 지난해 44.5%로 줄었다.
19세 이상 성인의 월간 음주율(최근 1년동안 한달에 1회이상 음주)은 2008년 57.7%에서 지난해 60.7%로 증가했지만 건강에 해가 될 정도의 고위험 음주율은 같은 기간 20.3%에서 17.5%로 떨어졌다. 월간 음주율은 남성이 75.3%에서 77.1%로, 여성은 40.8%에서 45.1%로 증가폭이 더 높았다.
성인 흡연율은 2008년 24.2%에서 지난해 21.7%로 감소했다. 여성 흡연율이 3.7%로 변동이 없는 반면 남성은 45.6%에서 5년새 40.6%로 낮아졌다.
서울시민 비만율은 2008년 20.6%에서 지난해 23.2%로 늘었고, 남성 비만율이 30.6%로 서울 남성 열에 셋은 비만상태로 조사됐다. 지난해 여성 비만율은 16%로 낮았지만 자신을 비만이라고 생각하는 주관적 비만 인지율은 41%에 달했다.
강주희 기자 | balnews21@gmail.com
지난해 서울시민의 가장 큰 사망원인은 암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가 26일 통계포털 서울통계에 발표한 ‘서울시민 건강 및 사망원인’에 따르면 지난해 사망자는 4만2000명으로 31%(1만3028명)가 암으로 죽었다. 그 다음으로 뇌혈관질환(8.7%), 심장질환(7.9%), 자살(6.1%), 당뇨병(4%) 순으로 나타났다. 사망률(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도 375.6에서 420.1로 높아졌다
10~30대 젊은층의 사망원인 1위는 자살, 40대 이상부터는 암이 가장 많았다.
특히 20대 사망원인의 절반 이상인 51.6%가 자살이었다, 10대는 35.1%, 30대 39.7%를 차지했다. 40대 사망원인은 암(32.0%), 자살(19.7%), 간질환(7.2%) 순이었고, 50대는 암(40.8%), 자살(10.6%), 심장질환(6.5%), 60대는 암(48.8%), 뇌혈관질환(6.9%), 심장질환(6.5%) 등 나이가 많아질수록 질병에 의한 사망이 많았다.
서울시민의 기대수명은 2000년 78.8세에서 지난해 82.9세로 늘었다. 여성은 86세, 남성 79.7세다. 반면 자신의 건강이 양호하다고 생각하는 인구의 비율은 2008년 50.9%에서 지난해 44.5%로 줄었다.
19세 이상 성인의 월간 음주율(최근 1년동안 한달에 1회이상 음주)은 2008년 57.7%에서 지난해 60.7%로 증가했지만 건강에 해가 될 정도의 고위험 음주율은 같은 기간 20.3%에서 17.5%로 떨어졌다. 월간 음주율은 남성이 75.3%에서 77.1%로, 여성은 40.8%에서 45.1%로 증가폭이 더 높았다.
성인 흡연율은 2008년 24.2%에서 지난해 21.7%로 감소했다. 여성 흡연율이 3.7%로 변동이 없는 반면 남성은 45.6%에서 5년새 40.6%로 낮아졌다.
서울시민 비만율은 2008년 20.6%에서 지난해 23.2%로 늘었고, 남성 비만율이 30.6%로 서울 남성 열에 셋은 비만상태로 조사됐다. 지난해 여성 비만율은 16%로 낮았지만 자신을 비만이라고 생각하는 주관적 비만 인지율은 41%에 달했다.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