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돈 쓴다는 건 금기 중 금기"
"국정원 돈 쓴다는 건 금기 중 금기"
펄쩍 뛴 DJ·盧 사람들김대중 정부 때인 2001년 9월부터 다음해 1월까지 청와대에 있었던 유선호 전 정무수석은 “과거 YS(김영삼 전 대통령) 정부 시절에는 그런 관행이 있었는데 DJ(김대중 전 대통령)가 집권한 뒤로는 첫 일성으로 선언한 게 ‘국정원 돈 안 받겠다’는 것이었다”며 “DJ는 자기 목표를 위해 주변을 희생하는 분이어서 당시 청와대에는 돈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유 전 수석은 “정무수석으로 있는 동안 정식 청와대 예산에서 활동비가 지원됐지만 정확히 기억하기도 힘들 만큼 소액이었다”며 “국회의원이나 언론인 등에게 식사 대접할 일이 있었지만 술 한 잔 제대로 사기 어려웠다”고 했다.
정무수석은 대통령을 보좌해 대(對)국회 및 정당과의 소통ㆍ협력, 여론 수렴 등을 맡는다.
김대중 정부 집권 후 국정원뿐만 아니라 코바코(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언론재단에서 돈을 가져왔지만 김대중 전 대통령은 ‘어떤 경우에도 일체 돈 받지 마라’고 했다”라고 말했다.
노무현 정부 청와대 근무 인사들은 노무현 정부도 국정원 자금이 유입됐을 수 있다는 한국당의 주장을 일축했다.
노무현 정부 집권 초인 2003년 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청와대에 있었던 유인태 전 정무수석은 통화에서 “일각에서 황당한 주장이 제기돼 당시 청와대 돈을 관리했던 총무 파트에도 알아봤는데 일절 없었다고 한다”고 전했다.
유인태 전 수석은 정무수석 재직 당시 국정원 예산이 아니라 청와대 예산에 정식 편제된 특수활동비로 매월 500만원 정도 받아 썼다고 했다.
그는 “당시 노무현 대통령이 ‘우리가 쓴 것은 모두 투명하게 기록을 남겨놔야 한다’고 해서 청와대 특수활동비 사용 내역을 모두 기록해 제출했다.
그 기록들은 이미 국가기록원에 이관돼 있다”고 강조했다. 특수활동비는 원래 현금으로 쓰고 영수증 등 증빙명세 제출 의무가 없어 ‘깜깜이돈’으로 알려져 있지만, 노 전 대통령이 투명 집행 원칙을 강조해 결제 내역을 정리해놨다는 뜻이다.
익명을 원한 노무현 정부 당시의 청와대 수석도 “노 전 대통령은 임기 내내 국정원장 독대 보고 조차 거부한 분”이라며 “전혀 그런 일(국정원 돈의 청와대 유입)이 없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재만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이 검찰에서 국가정보원으로부터 거액의 특수활동비를 상납받은 것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진술함에 따라 향후 검찰의 수사 칼끝이 박 전 대통령을 향할 것이라는 관측이 고개를 든다.2일 검찰에 따르면 이 전 비서관은 체포 직후 이헌수 전 기조실장 등 국정원 고위 관계자들로부터 많게는 매월 1억원씩, 총 수십억원의 현금을 받은 사실을 인정하면서 이는 박 전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는 취지로 진술했다.
펄쩍 뛴 DJ·盧 사람들김대중 정부 때인 2001년 9월부터 다음해 1월까지 청와대에 있었던 유선호 전 정무수석은 “과거 YS(김영삼 전 대통령) 정부 시절에는 그런 관행이 있었는데 DJ(김대중 전 대통령)가 집권한 뒤로는 첫 일성으로 선언한 게 ‘국정원 돈 안 받겠다’는 것이었다”며 “DJ는 자기 목표를 위해 주변을 희생하는 분이어서 당시 청와대에는 돈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유 전 수석은 “정무수석으로 있는 동안 정식 청와대 예산에서 활동비가 지원됐지만 정확히 기억하기도 힘들 만큼 소액이었다”며 “국회의원이나 언론인 등에게 식사 대접할 일이 있었지만 술 한 잔 제대로 사기 어려웠다”고 했다.
정무수석은 대통령을 보좌해 대(對)국회 및 정당과의 소통ㆍ협력, 여론 수렴 등을 맡는다.
김대중 정부 집권 후 국정원뿐만 아니라 코바코(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언론재단에서 돈을 가져왔지만 김대중 전 대통령은 ‘어떤 경우에도 일체 돈 받지 마라’고 했다”라고 말했다.
노무현 정부 청와대 근무 인사들은 노무현 정부도 국정원 자금이 유입됐을 수 있다는 한국당의 주장을 일축했다.
노무현 정부 집권 초인 2003년 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청와대에 있었던 유인태 전 정무수석은 통화에서 “일각에서 황당한 주장이 제기돼 당시 청와대 돈을 관리했던 총무 파트에도 알아봤는데 일절 없었다고 한다”고 전했다.
유인태 전 수석은 정무수석 재직 당시 국정원 예산이 아니라 청와대 예산에 정식 편제된 특수활동비로 매월 500만원 정도 받아 썼다고 했다.
그는 “당시 노무현 대통령이 ‘우리가 쓴 것은 모두 투명하게 기록을 남겨놔야 한다’고 해서 청와대 특수활동비 사용 내역을 모두 기록해 제출했다.
그 기록들은 이미 국가기록원에 이관돼 있다”고 강조했다. 특수활동비는 원래 현금으로 쓰고 영수증 등 증빙명세 제출 의무가 없어 ‘깜깜이돈’으로 알려져 있지만, 노 전 대통령이 투명 집행 원칙을 강조해 결제 내역을 정리해놨다는 뜻이다.
익명을 원한 노무현 정부 당시의 청와대 수석도 “노 전 대통령은 임기 내내 국정원장 독대 보고 조차 거부한 분”이라며 “전혀 그런 일(국정원 돈의 청와대 유입)이 없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재만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이 검찰에서 국가정보원으로부터 거액의 특수활동비를 상납받은 것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진술함에 따라 향후 검찰의 수사 칼끝이 박 전 대통령을 향할 것이라는 관측이 고개를 든다.2일 검찰에 따르면 이 전 비서관은 체포 직후 이헌수 전 기조실장 등 국정원 고위 관계자들로부터 많게는 매월 1억원씩, 총 수십억원의 현금을 받은 사실을 인정하면서 이는 박 전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는 취지로 진술했다.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