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감상은 역시 클라식이다.
초중고 때는 음악시간이란게 일주일에 한시간 정도였고
그나마 음악이론을 배우기 보다는 잡담 하다가 시간 다 보내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다 보니 제대로 된 음악 상식이 있을수 없고
악보도 읽을줄 모르다 보니 성인이 된 후에도 클라식 음악에 대한
매력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음악은 인간의 감정을 소리로 표현해 내는 예술이다.
그게 클라식이 되었던 대중가요 뽕짝이 되었던 팝이건 다 마찬가지다.
그러나 찐한 감동을 주는 장르는 역시 클라식이다.
대중가요가 말초적 감성을 건드려 느끼는 가벼운 느낌이라면
클라식은 내면 깊숙한 곳에서 진한 감동으로 다가오는 느낌이라고
할수있다.
무슨말이냐 하면
여름철에 시원한 콜라나 맥주한잔을 드리켜면 일시적으로 목구멍이
시원해 지는 느낌이 대중가요라면, 클라식은 숙취해소를 위해
뜨끈뜨끈한 사골 곰탕 국물을 마신후 느끼는 속의 편함 같은거라고나
할까.
어째 비유를 하려니 잘 안된다.
그건 그렇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클라식과는 거리가 멀다. 그래서
테너 가수로서 세계 최고를 자랑했던 파파로티의 Nessun Dorma를 듣고
야 그게 노래냐 ? 돼지 멱따는 소리지 라는 무지함을 들어내는 것이다.
클라식을 감상하려면 기초악보 정도는 읽을줄 알아야 하고
교향악단의 악기가 무슨종류가 있으며 연주자의 배치는 어떤 식으로
되어 있는지, 지휘자가 어떤식으로 지휘봉을 휘두르는지 대충
감을 잡을 정도는 되야 클라식 감상에 입문할수가 있다.
처음에는 쉬운 성악곡 부터 감상하다가 진도가 좀 더 나가면
피아노 독주 속은 삼중주(피아노 첼로 봐요린)같은 곡을 듣고나서
교향곡 (심포니) 으로 업그레이드를 하는게 좋다.
내가 월남국수란걸 처음 먹어보고 도저히 구역질이 나서
먹지못했는데, 주위에서 월남국수도 먹는 연습을 해야 한다고 하길래
다섯번 정도를 매운 소스를 듬뿍넣어 얼큰하게 만들어 먹으며
적응을 하려고 한적이 있었는데, 그러다 보니 월남국수의 맛에
매력을 느껴 지금은 일주일에 한번정도는 꼭 먹는 포(pho) 메니아가
되었다.
클라식 감상도 마찬가지다. 처음에는 접근하기가 쉽지않지만
자꾸 접하다 보면 클라식의 매력에 빠져들게 되고, 나중에는
대중가요와는 비교할수 없는 찐한 감동에 빠져들게 되는것이다.
파파로티의 Nessun Dorma 를 들을때와
배호의 삼각지 로타리를 들을때 느끼는 감동의 차이는 하늘과
땅 차이만큼 크다는건 클라식을 조금이라도 이해한 후에야 느끼게 된다.
이미자의 동백아가씨를 듣고 감동을 느끼려고 하지말고
오늘 부터라도 그리운 금강산이나 고향의 노래를 틀어놓고 귀를 기우려
감상부터 해 보자. 뭐가 다른지..
내가 뽕짝노래 좋아하고 즐겨 부르지만, 음악감상은 역시
클라식에 무개를 90% 이상 두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첨언 : 클라식을 알면 대중가요 팝 재즈등등을 다 이해할수 있지만
클라식을 모르면 대중가요나 재즈등 어느 한 장르에만 집착이 되는
우물안 개구리가 된다.
그나마 음악이론을 배우기 보다는 잡담 하다가 시간 다 보내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다 보니 제대로 된 음악 상식이 있을수 없고
악보도 읽을줄 모르다 보니 성인이 된 후에도 클라식 음악에 대한
매력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음악은 인간의 감정을 소리로 표현해 내는 예술이다.
그게 클라식이 되었던 대중가요 뽕짝이 되었던 팝이건 다 마찬가지다.
그러나 찐한 감동을 주는 장르는 역시 클라식이다.
대중가요가 말초적 감성을 건드려 느끼는 가벼운 느낌이라면
클라식은 내면 깊숙한 곳에서 진한 감동으로 다가오는 느낌이라고
할수있다.
무슨말이냐 하면
여름철에 시원한 콜라나 맥주한잔을 드리켜면 일시적으로 목구멍이
시원해 지는 느낌이 대중가요라면, 클라식은 숙취해소를 위해
뜨끈뜨끈한 사골 곰탕 국물을 마신후 느끼는 속의 편함 같은거라고나
할까.
어째 비유를 하려니 잘 안된다.
그건 그렇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클라식과는 거리가 멀다. 그래서
테너 가수로서 세계 최고를 자랑했던 파파로티의 Nessun Dorma를 듣고
야 그게 노래냐 ? 돼지 멱따는 소리지 라는 무지함을 들어내는 것이다.
클라식을 감상하려면 기초악보 정도는 읽을줄 알아야 하고
교향악단의 악기가 무슨종류가 있으며 연주자의 배치는 어떤 식으로
되어 있는지, 지휘자가 어떤식으로 지휘봉을 휘두르는지 대충
감을 잡을 정도는 되야 클라식 감상에 입문할수가 있다.
처음에는 쉬운 성악곡 부터 감상하다가 진도가 좀 더 나가면
피아노 독주 속은 삼중주(피아노 첼로 봐요린)같은 곡을 듣고나서
교향곡 (심포니) 으로 업그레이드를 하는게 좋다.
내가 월남국수란걸 처음 먹어보고 도저히 구역질이 나서
먹지못했는데, 주위에서 월남국수도 먹는 연습을 해야 한다고 하길래
다섯번 정도를 매운 소스를 듬뿍넣어 얼큰하게 만들어 먹으며
적응을 하려고 한적이 있었는데, 그러다 보니 월남국수의 맛에
매력을 느껴 지금은 일주일에 한번정도는 꼭 먹는 포(pho) 메니아가
되었다.
클라식 감상도 마찬가지다. 처음에는 접근하기가 쉽지않지만
자꾸 접하다 보면 클라식의 매력에 빠져들게 되고, 나중에는
대중가요와는 비교할수 없는 찐한 감동에 빠져들게 되는것이다.
파파로티의 Nessun Dorma 를 들을때와
배호의 삼각지 로타리를 들을때 느끼는 감동의 차이는 하늘과
땅 차이만큼 크다는건 클라식을 조금이라도 이해한 후에야 느끼게 된다.
이미자의 동백아가씨를 듣고 감동을 느끼려고 하지말고
오늘 부터라도 그리운 금강산이나 고향의 노래를 틀어놓고 귀를 기우려
감상부터 해 보자. 뭐가 다른지..
내가 뽕짝노래 좋아하고 즐겨 부르지만, 음악감상은 역시
클라식에 무개를 90% 이상 두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첨언 : 클라식을 알면 대중가요 팝 재즈등등을 다 이해할수 있지만
클라식을 모르면 대중가요나 재즈등 어느 한 장르에만 집착이 되는
우물안 개구리가 된다.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