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림이 있는 시간, 좋은 걸까, 나쁜 걸까?
기다림이 있는 시간, 좋은 걸까, 나쁜 걸까?
==
젊어서는 누구나 그저 앞만 보고 걷고 뛴다. 나도 그랬었다.
살기 위해선 뭔가 해야 한다. 우선 먹고 살기 위해 본능적으로 해야 할 일이 있다.
일어나 세수하고 밥 먹고 일 나가고, 다시 돌아와 손 닦고 밥 먹고 좀 쉬다간 자고......
.
이렇게 정해진 인생길, 먼 여로엔 그저 걷는 것 뿐 달리 사색이란 없었다.
이러다 보니 여기에 어떤 재미라는 게 끼어들 틈이 없었다.
이래서 삶에 흥미를 잃게 된다. 이렇게 사는 게 아닌데..
그러다 나중에 시간이 나면 차차 생각해야지..
.
이제 나이 희수(喜壽)를 넘어서고 나니
주체 할 수 없는 만큼의 시간들이 밀려온다.
젊어서는 나중에 시간이 나면 해야지 하였는데
그렇다면 지금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이 많은 시간을
아무런 기다림도 없이 멍하니 보낼 것인가.
.
아무런 기다림이 없는 무료한 시간이라면
스스로 신체 가늠이 안 되어 병원의 도움을 받고
그냥 숨만 쉬고 있는 환자와 무엇이 다르단 말인가?
.
그런데 기다림이 있는 시간이
늘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글도 어디선가 봤다.
.
기다림이 있는 시간이 행복하다는 말은,
어떤 새로운 변화가 내 삶으로 들어와 나를 변화시킬 것이라는
기대가 때로는 사람을 살아가게 하는 힘이 되기 때문이다.
.
하지만 그 기다림이 행복이 될 수 있는 것은
기다리는 무언가가 반드시 오리라는 사실을 알기 때문이다.
.
만일 올지도 안 올지도 모를 기대는 어떨까?
결과의 도래가 불확실 한 것을 기대 한다는 것은 오히려 순간을 불행하게 한다.
.
늘 내가 입버릇처럼 뇌까리는 게 있다.
그렇다. 행복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고 내가 스스로 만드는 것이고,
보람은 다 만들어진 다음에 느끼는 게 아니라
순간순간에 보람을 느끼면 그게 바로 행복이다.
결과는 미루어 두고 보람 있다고 생각하는 일에 몰두하자.
.
기다리는 것이 와야만 행복해진다고 믿을 때
우리는 기다림 때문에 불행해진다.
.
반드시 저것이어야만 한다고 고집할 때 우리는 불행해진다.
이는 행복을 외부의 결과에 맡겨놓는 것이기 때문이라 결론을 짓는다.
.
그렇다면 재미없는 삶에 생기를 불어넣을 방법은 없는가?
첫째 :
기다리고 싶다면, 반드시 올 것을 기다려라.
둘째 :
미래의 모든 가능성에 가슴을 열자. 단 하나의 결과를 고집하지 말라.
즉 반드시 무언가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없다면 실망할 일도 없다.
미래의 결과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다면
어떤 경우에도 행복 해 질 수 있다.
.
진인사 대천명 (盡人事待天命) !
--
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최선(人事)을 다하고(盡)
천명(天命)을 기다린다(待).
.
'어떤 일이든지 자신의 노력으로 최선을 다한 뒤에
그 성공의 여부는 하늘의 뜻에 따라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
Do your best and leave the rest to God.
==
==
젊어서는 누구나 그저 앞만 보고 걷고 뛴다. 나도 그랬었다.
살기 위해선 뭔가 해야 한다. 우선 먹고 살기 위해 본능적으로 해야 할 일이 있다.
일어나 세수하고 밥 먹고 일 나가고, 다시 돌아와 손 닦고 밥 먹고 좀 쉬다간 자고......
.
이렇게 정해진 인생길, 먼 여로엔 그저 걷는 것 뿐 달리 사색이란 없었다.
이러다 보니 여기에 어떤 재미라는 게 끼어들 틈이 없었다.
이래서 삶에 흥미를 잃게 된다. 이렇게 사는 게 아닌데..
그러다 나중에 시간이 나면 차차 생각해야지..
.
이제 나이 희수(喜壽)를 넘어서고 나니
주체 할 수 없는 만큼의 시간들이 밀려온다.
젊어서는 나중에 시간이 나면 해야지 하였는데
그렇다면 지금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이 많은 시간을
아무런 기다림도 없이 멍하니 보낼 것인가.
.
아무런 기다림이 없는 무료한 시간이라면
스스로 신체 가늠이 안 되어 병원의 도움을 받고
그냥 숨만 쉬고 있는 환자와 무엇이 다르단 말인가?
.
그런데 기다림이 있는 시간이
늘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글도 어디선가 봤다.
.
기다림이 있는 시간이 행복하다는 말은,
어떤 새로운 변화가 내 삶으로 들어와 나를 변화시킬 것이라는
기대가 때로는 사람을 살아가게 하는 힘이 되기 때문이다.
.
하지만 그 기다림이 행복이 될 수 있는 것은
기다리는 무언가가 반드시 오리라는 사실을 알기 때문이다.
.
만일 올지도 안 올지도 모를 기대는 어떨까?
결과의 도래가 불확실 한 것을 기대 한다는 것은 오히려 순간을 불행하게 한다.
.
늘 내가 입버릇처럼 뇌까리는 게 있다.
그렇다. 행복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고 내가 스스로 만드는 것이고,
보람은 다 만들어진 다음에 느끼는 게 아니라
순간순간에 보람을 느끼면 그게 바로 행복이다.
결과는 미루어 두고 보람 있다고 생각하는 일에 몰두하자.
.
기다리는 것이 와야만 행복해진다고 믿을 때
우리는 기다림 때문에 불행해진다.
.
반드시 저것이어야만 한다고 고집할 때 우리는 불행해진다.
이는 행복을 외부의 결과에 맡겨놓는 것이기 때문이라 결론을 짓는다.
.
그렇다면 재미없는 삶에 생기를 불어넣을 방법은 없는가?
첫째 :
기다리고 싶다면, 반드시 올 것을 기다려라.
둘째 :
미래의 모든 가능성에 가슴을 열자. 단 하나의 결과를 고집하지 말라.
즉 반드시 무언가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없다면 실망할 일도 없다.
미래의 결과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다면
어떤 경우에도 행복 해 질 수 있다.
.
진인사 대천명 (盡人事待天命) !
--
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최선(人事)을 다하고(盡)
천명(天命)을 기다린다(待).
.
'어떤 일이든지 자신의 노력으로 최선을 다한 뒤에
그 성공의 여부는 하늘의 뜻에 따라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
Do your best and leave the rest to God.
==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