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한국TV 라디오서울
  • LANGUAGE
  • ENG
  • KOR
ktown1st
케이톡
  • 전체
  • 업소록
  • 케이톡
  • K블로그
  • 지식톡
  • 구인
  • 렌트
  • 부동산
  • 자동차
  • 사고팔기
    • 뉴스Ktown스토리
    • 케이톡케이톡
    • 업소록
    • K블로그
    • 지식톡
    • 부동산
    • 자동차
    • 구인
    • 렌트
    • 사고팔기
유저사진 youngyoung 열린마당톡 2013.09.11 신고
푸틴과 오바마의 힘겨루기
Tea Time Club 제공입니다.


Time Cover Story September 16, 2013
The World According to Vladimir Putin
Moscow is taking an ever more controversial stand with the U.S. Why Russia's leader dreams of imperial rebirth / By Simon Shuster / Moscow
타임 커버스토리 2013년 9월 16일
블라디미르 푸틴이 보는 세계
러시아는 미국과 점점 더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러시아의 지도자가 제국주의의 부활을 꿈꾸는 이유는 무엇인가? / 사이몬 슈스터 컬럼 / 모스크바

1. When Vladimir Putin emerged from his black limousine in Volgograd's train-station square on Aug. 23, squinting and blinking to adjust his eyes to the blazing sun of the steppes, he found an odd mix of people before him. Scattered among the few hundred elderly veterans who had gathered to greet him were a dozen leather-clad members of the Night Wolves, a Slavic motorcycle gang, standing at attention. But it was Putin's kind of crowd. Diving in, he returned the bikers' bear hugs and let the veterans get close enough to take selfies with him on their cameras, even as a secret-service agent stood two steps away with a black briefcase containing Russia's nuclear launch codes--Putin's nuclear football. "He's a colossal historical figure," remarked Mikhail Sidorov, a veteran of World War II, who stood watching at the edge of the crowd. "He's not quite Stalin yet, but he's getting there."
squinting and blinking: 눈을 가늘게 뜨고 깜박거리며squint: 사팔눈, 곁눈질, 흘낏 보기, 경향, 사팔눈이다, (눈을) 가늘게 뜨다 selfies: (슬랭) 자신의 팔을 벌려 스스로의 모습을 찍는 사진들 pictures taken of oneself while holding the camera at arms length.
8월 23일 블라디미르 푸틴은 Volgograd기차역 광장에서 검정색 리무진에서 나와 스텝(steppe)지역의 눈부신 햇살에 적응하고자 눈을 가늘게 뜨고 깜박거리며 자신의 앞에 이상하게 보이는 사람들이 섞여있는 것을 보았다. 푸틴을 맞기 위해 모인 수백명의 퇴역 노병들 사이에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슬라브족 모토사이클 갱인Night Wolves가 부동자세로 서 있었다. 하지만 이들은 푸틴 부류의 군중이었다. 그 군중 속으로 뛰어들며 푸틴은 바이커(biker)들의 힘찬 포옹을 받으며 노병들이 충분히 가까이 와서, 이들이 팔을 뻗혀 카메라로 스스로를 찍을 수 있도록 해주었다. 두어 발자국 곁에서는 한 비밀경찰이 푸틴의 핵 풋볼인 러시아의 핵 발사 비밀암호가 들어있는 까만색 가방을 가지고 서 있었다. 2차세계대전의 참전용사인 Mikhail Sidorov는 군중들의 한곁에 서서 보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역사적 거인입니다. 아직 스탈린 정도의 인물은 아니지만 가까이 가고 있습니다.”
2. This was meant to be a compliment, and Putin might well have taken it as one. Throughout the weekend of jingoism that Putin had come to inaugurate, Joseph Stalin was cast not as the despot who killed millions of his fellow citizens but as a founding father who transformed Russia from an agrarian society into an industrial giant capable of beating back the Nazi invasion. Later that day, Stalin's face was projected in green laser lights over a rally on the grounds of a former tank factory. A quarter-million people from around the Slavic world had gathered in Volgograd for the rally commemorating the start, 71 years earlier, of the Battle of Stalingrad, as the city was known during Stalin's rule. At the rally's culminating moment, the announcer read a prophecy that Stalin had made in 1939 at the end of the Great Purge. "Year by year new generations will arise," the announcer said, imitating Stalin's accent. "They will again raise the banners of their fathers and grandfathers and will restore to us everything we are owed." The crowd roared, and the sky lit up with fireworks.
jingoism:호전적 애국주의, 징고이즘, 주전론 inaugurate: (새 시대를 개시하다..의 막을 열다, 취임식을 거행하다, 취임시키다(미)에서는 특히 대통령에게씀, (보통 수동형으로, 낙성식(개업식, 발족식)을 거행하고 공공 시설을 쓰기 시작하다 culminating --으로 절정에 이른, --으로 막이 내린
칭찬으로 하는 말이었으며 푸틴 역시도 그 말을 칭찬으로 들었을 법하다. 푸틴이 막을 연 호전적 애국주의의 주말을 통하여 조셉 스탈린은 수백만명의 시민을 죽인 독재자로서가 아니라 러시아를 농업사회에서 나치의 침략을 격퇴할 능력을 갖춘 산업국가로 변화시킨 건국의 아버지로 부각되었다. 그날 오후늦게, 예전에 탱크공장이던 땅 위에 모인 시민들의 모임 위로 녹색의 레이저 광선으로 스탈린의 얼굴이 투사되었다. 71년전Battle of Stalingrad (스탈린그라드 전투)가 시작된 것을 기념하는 모임에 슬라브 세계 (=러시아) 전역에서 25만명이 스탈린 통치시절에 Volgograd로 알려진 이곳에 모였다. 이 행사의 절정의 순간에, 스탈린의 대숙청이 끝날 무렵인 1939년 스탈린이 한 예언을 아나운서가 낭독하였다. “앞으로 계속 새로운 세대들이 일어날 것입니다” 아나운서는 스탈린의 억양을 흉내내며 말했다. “후세들은 다시 한번 아버지와 할아버지들의 깃발을 높이며 우리가 빌려준 (=꾸어준) 모든 것을 다시 받아낼 것입니다.” 군중들은 환호하였고 하늘에서는 폭죽이 터져 훤해졌다.
3. Since May, when Putin began his third term as President, his declared objective has been to launch a 21st century Russian resurgence. But his rhetorical embrace of Russia's imperial past at home has brought him increasingly into conflict abroad--particularly with the West. Putin tried fitfully during the first decade of his rule to find common ground with the U.S. and its allies. Now he's blithely burning those bridges. The real-world effects of Putin's newly confrontational approach have been most evident in recent weeks with the crisis in Syria. Russian officials have suggested that a U.S. military strike against the Assad regime could lead to a war that would engulf the Middle East and even spread to Russia's southern frontier in the Caucasus. Putin has demanded proof that Assad had used chemical weapons against rebels, telling the Associated Press it was "ludicrous" that the Syrian military would gas its enemies when it already had them on the ropes.
common ground:공통점, 공통분모blithely 쾌활하게, 명랑하게; 태평스럽게; 부주의하게
푸틴 대통령의 3선의 임기가 시작된 5월부터, 그는 자신의 목표가 21세기 러시아의 부흥을 발현시키는 것이라고 선언하였다. 하지만 푸틴의 제국주의적 과거를 껴안는 정치적 수사가 해외에서 특히 서방세계와는 점차 갈등을 가지고 왔다. 푸틴의 통치 중 첫 10년 동안 미국과 미국의 우방들과 공통점을 찾으려고 일시적으로 노력을 하기도 하였다. 이제 푸틴은 아무일도 아닌것처럼 그 다리를 불태워버렸다. (=배수지진을 쳤다=극한대결의 자세를 취했다) 푸틴의 새로운 대결적인 접근방식이 실제세계에서 보여준 효과가 가장 분명하게 나타난 것은 최근 수주일 동안 시리아의 위기와 관련한 것이었다. 미국의 아사드 정권에 대한 군사공격은 중동지역을 삼킬 전쟁으로 이어질 것이며Caucasus(코카서스)에 있는 러시아의 남부국경지대 까지로 번질 수 있다고 러시아의 관리들이 말해왔다. 푸틴은 아사드가 반군을 상대로 화학무기를 사용했다는 증거를 요구하며 시리아 정부군이 이미 반군의 목을 죄고있는 상황에서 가스를 적군을 상대호 사용한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엉터리 주장”이라고 연합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4. Now, after a year of deadlock on everything from human rights to nuclear nonproliferation, the U.S. and Russia are as much at odds as at any time since the Cold War. The confrontation will be on full display Sept. 5--6 as Putin hosts world leaders at the G-20 summit in St. Petersburg for talks on the Syria crisis and the halting global economic recovery. On Aug. 7, U.S. President Barack Obama canceled a meeting with Putin scheduled to precede the G-20 gathering: it was the first time a summit of the Russian and U.S. leaders had been called off in 53 years. Obama compared Putin's slouching posture at previous summits to that of a "bored kid in the back of a classroom." Putin's response: "President Obama hasn't been elected by the American public in order to be pleasant to Russia," he told the AP. "And your humble servant hasn't been elected by the people of Russia to be pleasant to someone either."
deadlock: 막다른 골목; 정체 2. 꼼짝 못하다, 교착 상태(에 빠지다) slouch [slaut∫] (앞으로)수그리다, 구부리다, 구부정하게 서다(앉다, 걷다), 그렇게 서기(앉기, 걷기), 너절한 사람, 게으름뱅이, (모자챙이)늘어지다, 늘어뜨리다
인권문제에서 핵확산 금지 등 모든 문제에서 한치의 해결을 이루지 못한 교착상태가 일년정도 계속된 후, 미국과 러시아는 현재 냉전이 시작된 이래 그 어느때 못지않게 가장 관계가 악화되어 있다. 이러한 대결의 모습은St. Petersburg(세인트 페테르스부르그)에서 시리아 위기및 지체되고 있는 전세계 경제회복에 관한 회의를 위한 G-20 정상회담에서 푸틴이 전세계 지도자들을 초청하는 자리에서 9월 5일과 6일 극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8월 7일,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G-20 회담전에 예정된 푸틴과의 회의를 취소하였다. 러시아와 미국의 지도자들의 정상회담이 취소된 것은 53년 만에 처음있는 일이다. 오바마는 지난번 정상회담에서 푸틴의 삐딱한 자세를 “교실 뒤에서 수업이 재미없다고 지루해하는 어린 학생”의 태도에 비유하였다. 푸틴은 이렇게 대응하였다. “러시아를 즐겁게 해주라고 미국시민들이 오바마를 대통령으로 뽑아준 것은 아니다.”라고 그는 연합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마찬가지로 여러분의 공복인 저를 다른 국가를 즐겁게 해주라고 러시아 시민들이 뽑아준 것이 아니다.”
5. The proximate cause of the latest spat was Russia's decision to grant asylum to Edward Snowden, the whistle-blower who is wanted in the U.S. for leaking the secrets of American intelligence agencies. But the roots of Putin's confrontationalism are as much political and economic as they are personal and historical. Having faced Western creditors abroad and a disaffected population at home when he first took office in 2000, Putin has spent the past 15 months marrying his country's windfall profits from soaring oil and gas prices to a patriotic message of imperial rebirth. In an attempt to exorcise Russia's lingering humiliation over the Soviet collapse, he has plowed investment into military hardware and its bristling display from its borders in Europe to the economically vibrant Pacific Rim.
proximate cause of the latest spat: 최근의 승강이의 근인(=가장 가까운 원인) spat: 가벼운 싸움(을 하다), 가볍게 때림(때리다), (비 따위가)후두두 뿌리다가벼운 싸움(을 하다), 가볍게 때림(때리다), (비 따위가)후두두 뿌리다 disaffected: 싫어진, 불만스러운, 정떨어진, 마음이 떠난, 배반한 bristling 거센 털처럼 일어나는, 화내는
최근 (미국과 러시아의) 승강이와 불협화음의 근인은 미국 정보당국의 비밀을 누설한 혐의로 미국에서 범인인도를 원하는 내부고발자인 에드워드 스노든의 정치적 망명을 러시아가 허가하는 결정을 내린 것이다. 하지만 푸틴의 대결주의적 자세는 개인적이며 역사적인 것 만큼 정치적이며 경제적이기도 하다. 2000년 그가 처음 대통령직에 올랐을 때 해외에서는 서방채권국들에, 국내에서는 불만이 가득한 시민들에 시달린 적이 있는 푸틴은 지난 15개월을 치솟는 석유와 천연가스 가격으로 부터 나오는 엄청난 이윤과 제국의 부활이라는 애국적인 메시지를 결합시키는데 사용하였다. 소비에트 공화국(=소련)의 붕괴에 대한 사라지지 않는 러시아의 굴욕감을 악령을 쫓듯 없애버리려는 시도로, 푸틴은 군대 하드웨어(=무기)에 투자하여 유럽 국경으로부터 경제적으로 더욱 활성화된 환태평양 지역으로 무력의 거센 모습을 보여주었다.
6. But Russia's rapid rebound has also revealed its limitations, which have left Putin in no position to offer a leadership alternative to the U.S. Russia still lacks the military or economic muscle to build a broad coalition of allies. States once bonded to Moscow by force or expediency have broken away in all directions--pushed as much by the centrifugal force of their ambitions as the arrogance of their onetime overlord. Corruption inside Russia is stuck at the level of a Third World kleptocracy, rendering the state so inefficient that Putin often has to intervene in the pettiest municipal affairs, such as unpaid wages at provincial factories or building-code violations. The nation that put the first man into space has given the world no distinctly Russian exports under Putin except for midshelf vodka and Kalashnikov assault rifles.
a Third World kleptocracy: Kleptocracy, (from Greek: - kleptēs, "thief" and - kratos, "power, rule", hence "rule by thieves") is a form of political and government corruption where the government exists to increase the personal wealth and political power of its officials and the ruling class at the expense of the wider population, often without pretense of honest service. This type of government corruption is often achieved by the embezzlement of state funds. 제 3세계의 도둑들에 의한 정치 (=부패정치) kleptocracy [klept´akr∂si] 도벽이 있는, 절도광의, 절도광 *mid-shelf: 싸지도 비싸지도 않은 독주/ 비싼 술은 top shelf liquor 싼 술은 bottom shelf liquor
Vodka – Stoli / Gin – Tanqueray / Tequila - Jose Cuervo / Whiskey - Jim Beam White label, or Jack Daniel's #7 / Rum – Bacardi / Scotch - Dewar's Well top shelf liquor is the expensive stuff and bottom shelf liquor is the cheap stuff. Mid-shelf liquor is the good yet affordable stuff. All kinds of average grade liquor. Nothing really expensive or really cheap.
하지만 러시아의 급속한 반등은 또한 그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여 푸틴이 미국을 대체할 지도력을 갖추게하는 위치에 놓이게 하지 못했다. 러시아는 여전히 광범위한 우방연합을 세울 군사적 경제적 힘이 부족하다. 무력이나 편의에 의하여 러시아에 결속이 된 국가들이 분열되어 사방팔방으로 떨어져 나갔다. 한때 주군의 오만함과 같은 정도로 자국의 야망이라는 원심력에 의하여 튕겨져 나가왔던 것이다. 러시아 내의 부패는 제 3세계의 부패정치 수준에 머물러 국가경영이 너무나 비효율적이라서 종종 지방에 있는 공장들에서 일하는 인부들의 미지급 임금이나 건축법규 위반 등 시 행정적인 사소한 일에도 푸틴이 개입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우주에 첫 인간을 보낸 국가가 푸틴의 통치하에 두드러진 수출품이라는 것이 겨우 중간 가격의 보드카와 칼라쉬니코프 공격용 소총 뿐이다.
7. Instead of functioning democratic institutions, Russia today has Putin's brand of "manual control," a form of government based on Kremlin fiat and jerry-built solutions. Add to that the economy's dependence on the prices of oil and gas (they make up 45% of exports) and Russia's frailties are plain to see--even in the most stage-managed setting. On the square in Volgograd, Putin suggested a role in Russia's resurgence for the Night Wolves, whom he has held up as representatives of a new generation of patriots. "He told us to be proud of our past," says the biker gang's leader, Alexander Zoldastanov, who goes by the nickname Surgeon. But for all their patriotic bluster, even the Night Wolves have to import their bikes. The three-wheeler that Putin likes to ride at the front of their columns is a Harley-Davidson.
fiat 명령,인가 Russia's frailties: 러시아의 나약함, 약점 frailty 연약,무름,약점,단점,과실 jerry-built 날림으로지은,아무렇게나만든bluster: 휘몰아치다, 휘몰아침, 거세게 일다, 호언장담 Harley-Davidson: 위스컨신 주에 본사를 둔 미국 모토사이클 제조업체
제 기능을 다하는 민주적 제도 대신, 오늘날의 러시아는 프틴 브랜드의 “수동 통제시스템”을 가지고, 크레믈린에서 내려우는 명령과 날림으로 지은 해결책을 토대로 한 형태의 정부이다. 거기에 석유와 가스 (수출의 45%를 차지)에 의존하는 경제가 더해지면, 가장 무대관리자가 통제를 하는 환경이지만, 러시아의 취약성은 훤히 들여다 보인다. Volgograd의 광장에서, 푸틴은 새로운 세대의 애국자의 대표들이라고 자신이 추켜세원Night Wolves에게 러시아의 부흥에 역할을 해 줄것을 당부하였다. “우리에게 과거에 대한 자부심을 가져달라고 푸틴은 말했습니다.”라고 외과의사라는 별명으로 불리는모토사이클 갱의 지도자인 Alexander Zoldastanov는 말한다. 하지만 이들의 애국적 호언장담에도 불구하고Night Wolves조차도 그들의 자전거를 수입하여야 한다. 푸틴이 줄지어 타는 모토사이클 갱 앞에서 타기를 즐기는 세바퀴 모토사이클은 할리 데이비슨이다.
8. Breaking Out the Big Guns
On July 13, the day after Snowden announced his plan to seek asylum in Russia, reveille sounded early at military bases across the country, rousing troops from their barracks in the middle of the night for the biggest round of war games since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The snap drill, which Putin had ordered the previous evening, would field 160,000 military personnel, 1,000 tanks and scores of warships and aircraft across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The Defense Ministry, eager to head off any claims of aggression, insisted that the show of force was not aimed at any nation in particular.
seek asylum: 망명지를 찾다, 망명을 원하다 asylum [∂s´ail∂m] 수용소, 양육권, 정신병원, 도피처
무력시위를 갑자기 보여주다
7월 13일, 스노든이 러시아에 망명을 할 게획을 발표한 후, 러시아 전역에 있는 군기지들에서는 기상나팔이 새벽 일찍 울려 한 밤중에 소련이 붕괴된 이후 가장 큰 규모의 전쟁훈련을 하기 위해 막사에 있는 병사들을 깨웠다. 전날 저녁 푸틴의 명령으로 시작된 갑작스런 군사훈련에 소집된 병력은 16만명의 군인, 1천개의 탱크, 수십대의 군함과 비행기가 시베리아와 러시아 극동지역 전역에서 출동하였다. 호전적이라는 그 누구의 주장도 일축하기 위하여 러시아 국방부는 이번 무력시위는 어떤 특정국가를 상대로 한 훈련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9. Konstantin Sivkov saw it differently. Having served from 1995 to 2007 as a military strategist for the Russian General Staff, he says the war games had an obvious target--a joint attack from the U.S. and Japan against Russia's eastern frontier. "You have to think of it in terms of threats," he says. "And the threat to Russia over the past quarter-century has come from the Western world, and specifically the USA. They are our geopolitical opponents."
geopolitical opponents:지정학적 적수* The General Staff of the Armed Forces of the Russian Federation is the military staff of the Armed Forces of the Russian Federation. It is the central organ of the Armed Forces Administration and oversees operational management of the armed forces under the Russian Ministry of Defence. 러시아 국방부 소속 군사위원회 (군통치 중심기관)
Konstantin Sivkov는 의견이 다르다. 1995년부터 2007년까지 러시아 국방부 소속 군사위원회 (=군통치 중심기관)의 군사전략가를 역임한 그는 이번 군사훈련은 분명한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미국과 일본의 연합군의 러시아 동부전선 공격을 퇴치하기 위한 훈련이라는 것이다. “위협의 관점에서 생각하여야 한다”고 그는 말한다. “그리고 지난 25년에 걸쳐 러시아에 대한 위협은 서방세계로, 특히 미국으로부터 왔다. 그들이 우리의 지정학적인 적군인 것이다.”

10. That attitude is echoed in Russia's official military doctrine. Adopted in 2010, it lists the expansion of NATO, the military alliance dominated by the U.S., as Russia's biggest external threat, and the bulk of Russia's defense budget is spent with that in mind. Over the past decade, that spending has managed to raise the armed forces from the disasters of the 1990s, when Russia's military was in such a dire state that a band of separatist guerrillas from the tiny region of Chechnya forced President Boris Yeltsin to grant them de facto independence. Putin came to power in 2000 with a promise to correct the mistake.
the military alliance:군사동맹 alliance [∂l´ai∂ns] 동맹, 결연, 결혼, 인척관계, 협력, 협조, 동맹자, 연합국
그런 태도는 러시아 정부의 공식 군사 독트린에서도 반복되어 나타난다. 2010년 채택된 군사독트린(=성명서) 나토(=북대성양 조약기구)의 팽창과 미국주도의 군사연합을 러시아 최대의 외부적 위협으로 간주하고 러시아 국방예산의 큰 부분을 그것을 염두에 두고 사용한다. 지난 10년 동안, 군 지출은 러시아 군부를 1990년대의 재난에서 끌어올리는데 성공하였다. 1990년대 당시 군은 너무나도 열악한 상황에 있어서 체츠니아같은 작은 지역의 분리운동 게릴라들 그룹이 보리스 옐친으로 하여금 실질적인 독립상태를 부여하지 않을 수 없도록 압박하였다. 푸틴은 2000년도에 권력을 잡으면서 과거의 실수를 정정하겠다고 약속하였다.
11. Before his first year in office was out, Chechnya had again been conquered and its capital destroyed, while the Russian military began a long march toward modernization. Today Russia has the third largest military budget in the world--$90 billion in 2012--behind the U.S. and China. Even though it is not involved in any wars, it drafts hundreds of thousands of men into the armed forces each year, maintaining a standing army of more than 800,000 soldiers, and spends the same proportion of its GDP--4.4%--on its military as the U.S. does. Last year, as he prepared to take his third term as President, Putin made the extravagant pledge to "completely rearm" the military at a cost of nearly $800 billion by the end of the decade. That would be piled on top of major pay hikes for police, teachers and other state employees, whose support has helped keep Putin's popularity rating above 60% in all the major polls.
the extravagant pledge:엄청난 재원이 드는 공약 extravagant [ikstr´æv∂g∂nt] 낭비하는, 터무니 없는, 엄청난
대통령이 된 후 첫 일년이 지나기 전에, 체츠니아를 다시 정복하여 수도를 함락시켰으며 러시아 군부는 현대화를 향한 긴 행진을 시작하였다. 오늘날 미국과 중국에 이어 러시아는 세계에서 세번째로 큰 군 예산을 가지고 있다. (2012년 군 예산은 9백억 달러) 러시아는 현재 어떤 전쟁도 하지 않고있음에도 매년 수십만명의 군인을 입대시키고 있어 상비군이 80만명 이상을 유지하고 있고, 미국과 마찬가지로 국내총생산의 4.4%를 군 예산에 사용하고 있다. 작년에 세번째의 임기를 준비하면서 푸틴은 2019년까지 8천억 달러에 가까운 비용으로 군을 “완전히 재무장”시키겠다고 공약하였다. 그 예산은 주요 여론조사에서 푸틴의 지지도를 60% 이상으로 높여주도록 도와준 경찰과 교사 및 다른 국가공무원들을 위한 봉급인상에 더하여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12. Such generosity is underwritten by the windfall of high oil prices, which have been at historic peaks under Putin, just as Russia became the largest producer of both crude oil and natural gas in the world, surpassing even Saudi Arabia. In 2006 energy exports let Russia pay off nearly all its remaining Soviet-era debt to the West--about $23.7 billion--years ahead of schedule. The money could have been used to raise wages or build badly needed infrastructure. "But Russia wanted to be in the club of countries that cannot be pressured from the outside, that can play its own game," says Natalia Orlova, chief economist at Alfa Bank in Moscow. "This was a political decision to free Russia from the pressure of Western creditors." Russia's public debt is now 10% of its GDP, compared with an average of 110% for other advanced economies, according to the World Bank.
windfall of high oil prices:고유가로 인한 뜻밖의 횡재
그렇게 예산을 풍요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고유가로 인한 수입의 급증으로 가능한 것이었는데 유가는 푸틴의 통치하에 역사적 최고의 가격을 이루고 있다. 러시아는 현재 전세계에서 원유와 천연가스를 가장 많이 수출하여 사우디 아라이바 보다도 더 많이 수출하는 국가가 되었다. 2006년 러시아의 에너지 (=석유와 가스) 수출로 약 237억 달러에 달하는 소련시절의 부채잔액을 서방세계에 기한보다도 미리 모두 상환하였다. 그 돈은 절실히 필요한 인프라스트럭쳐(=기간산업=하부구조=도로, 교량 및 통신시설)건설에 사용되거나 임금인상에 사용될 수도 있었다. “그러나 러시아는 외보세계의 압력을 받지 않고 자체의 계획을 수행하는 국가들의 단체에 소속되는 것을 원하였다.고 모스크바의 알파은행의 수석경제분석가인 나탈리아 올로바는 말한다. “이것은 정치적 결정으로 러시아를 서방의 채권국으로 부터 자유롭게하는 정책이다.” 러시아의 공공부채는 현재 국내총생산의 10%인 반면 다른 선진경제 국가들의 경우는 평균 110%가 부채라고 월드뱅크는 말한다.
13. But as Russia learned in 2008, a drop in the oil price would devastate its economy. The cost of crude collapsed that year from a peak of $145 per barrel to $30, and Russia's GDP contracted by 8%, the sharpest fall in a decade. That summer also put Russia's military to the test when a war broke out with neighboring Georgia--Stalin's homeland. Although Russia crushed its tiny adversary in less than a week, its war machine was shown to be an inefficient wreck. More tanks were lost to malfunction than enemy fire, and at one point Russian officers were forced to use store-bought navigation gadgets after the official ones gave out. "There were a lot of red faces in the general staff," recalls Sivkov, the military strategist.
devastate its economy:경제를 망치다, 파괴하다
하지만 2008년 러시아가 교훈을 얻은대로, 유가의 하락은 경제를 파국에 빠지게 한다. 그 해 (2008냔) 배럴당 145달러의 유가가 배럴당 30달러로 폭락하면서 러시아의 국내총생산은 8% 감소하여 10년내 최대 하락을 보여주었다. 그해 여름은 또한 스탈린의 고향인 인근 그루지아와 전쟁이 일어나 러시아 군을 시험대에 올려놓았다. 조그만 적국을 일주일 이내에 러시아가 진압하였지만, 전쟁장비가 비효율적인 고철수준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적국의 공격으로 보다 더 많은 탱크들이 기계결함으로 망가졌으며 한 시점에서 러시아 장교들은 정부에서 발급한 위치추적장치가 작동을 하지 않아 가게에서 구입한 네비게이션(=위치확인장비)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군사위원회에 얼굴이 붉어진 간부들이 많았습니다”라고 군 전략가인Sivkov는 회상한다.
14. The American Bogeyman
In a lookout tower high above the rally in Volgograd, the co-author of its script, Alexander Prokhanov, sat at a small table with a bottle of Soviet champagne. He stood up from time to time for a better view of the battle re-enactments on the stage, which combined the acrobatics of Cirque du Soleil with the aesthetics of The Hunt for Red October. "It is a joy to watch," Prokhanov told me in his balcony after the last barrage of fireworks. "What we're seeing now, what we saw tonight, is the process of resurrection, like a mammoth frozen in the Arctic waters that has begun to rise on its sturdy Russian legs."
The American Bogeyman: 미국이라는 도깨비 bogeyman 도깨비,악귀
미국이라는 악귀
Volgograd 행사를 내려다 보는 높은 탑 위에서, 행사의 대본을 공동으로 쓴Alexander Prokhanov가 소련의 샴페인 병이 있는 탁자에 앉아 있었다. 가끔 무대 위에서 벌어지는 전쟁의 장면을 더 잘 보이 위해 일어나기도 하였다. 이런 장면은 유명한 서커스단인Cirque du Soleil의 공중곡예와The Hunt for Red October (=핵 잠수함 사건을 그린 영화)의 미학을 합친 것과 같았다. “즐겁게 감상하였습니다.”라고Prokhanov는 마지막 폭죽이 여기저기 터진 뒤 발코니에서 내게 말했다. “우리가 지금 보는 것, 그리고 오늘 저녁에 본 것은 부활의 과정입니다. 마치 북극해 얼어있던 매모스가 굳건한 러시아 다리로 일어서기 시작하는 것과 같는 모습입니다.”
15. Prokhanov, a right-wing demagogue no less prominent in Russia than Rush Limbaugh is in the U.S., sought to capture that sense of revivalism in the book he published last year, The Stride of Russian Victory. It argues that Moscow is destined to establish a new empire, the fifth in its history, based on Putin's vision of a "Eurasian Union" of former Soviet states. Making way for this empire will be the era of American decline, which Prokhanov, like much of Russia's political elite, judges to be imminent. In the opening chapter he writes, "Russia will shake off America's decrepit hegemony and take back the emptied geopolitical spaces ... Herein lies Russia's imperial chance, the rise of her imperial destiny."

America's decrepit hegemony: 미국의 노쇠한 헤게모니 decrepit 병약한, 노쇠한, 노후한
보수주의자이며 선동가로서 미국의 러시 림보만큼 러시아에서는 유명한 Prokhanov는 그가 작년에 출판한 책인The Stride of Russian Victory(러시아 승리의 활보)에서 러시아의 부활의 느낌을 포착하려고 노력하였다. 그 책에서 러시아는 구 소련의 “유럽-아시아 연합” (Eurasian Union")의 비전을 가진 푸틴의 지도력으로 역사적으로 제 5제국을 건설해 나갈 운명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제국으로 가는 길을 닦는 것은 미국의 몰락기가 될 것이라는 것이다. 많은 러시아의 정치적 엘리트가 그렇게 생각하듯이 Prokhanov도 그렇게 될 날이 곧 다가올 것이라고 판단한다. 첫 챕터에서 그는 이렇게 썼다. “러시아는 노쇠한 미국의 헤게모니를 털어버리고, 공백이 생긴 지정학적 자리를 메워나갈 것이다. 여기에 러시아의 제국주의적 기회, 제국의 운명이 일어날 기회가 있다.”
16. Prokhanov's anti-Americanism has recently made its way into the political mainstream. This winter, when Russia banned U.S. families from adopting Russian children, the Kremlin official in charge of child welfare, Pavel Astakhov, described American adoptive parents as buyers in the orphan trade and closet pedophiles. He even suggested in an interview with me that the U.S. is trying to depopulate and conquer Russia's resource-rich regions by adopting all their children.
closet pedophiles:잠재적 소아성애자, 몰래 숨어 있는 소아성애자
Prokhanov의 반미주의가 최근 러시아의 주류 정치에 들어왔다. 이번 (2012년) 겨울 미국 가정이 러시아의 어린이를 입양하는 것을 금지시켰면서, 아동복지국 책임자인 크레믈린 관리 Pavel Astakhov는 미국에서 입양을 하는 부모들을 고아수출품을 사는 바이어이며 몰래 소아성애를 즐기는 자들로 묘사하였다. 또 그는 인터뷰에서 미국이 러시아의 모든 어린이들을 입양함으로써 러시아의 자원이 풍부한 지역들을 정복하려고 하고 있다고 내게 말했다.
17. On Russian state TV, Uncle Sam has been turned into a bogeyman for all occasions, blamed for everything from slowing economic growth--expected to be 1.8% this year, compared with an average of 7% during Putin's first two terms as President--to the dumbing down of Russian youth. When a wave of street protests broke out against Putin in late 2011, he called the organizers paid "agents" of the West. The American development agency USAID was then accused of fomenting the protests and summarily kicked out of Russia in September 2012.
fomenting the protests: 시위를 선동하다 foment 찜질하다, (반란, 불화등을)빚다, 도발하다, 선동하다
러시아의 국영 TV방송에서, 엉클 샘(=미국인의 상징)은 모든 경우에 도깨비로 변하여 둔화된 경제성장 (푸틴의 첫 두 임기 평균 7%에 비해 금년에는 1.8%)에서부터 러시아의 청년들이 멍청해지는 것에 이르기 까지 모든 것이 미국탓이라고 치부한다. 2011년 후반 푸틴을 반대하는 거리의 데모물결이 일어나자, 푸틴은 데모를 주동한 사람들은 서방에서 돈을 받는 첩자라고 말하였다. 그런 뒤 미국개발국USAID는 데모를 조장하고 선동한 혐의를 뒤집어 쓰고 2012년 9월 즉결처분식으로 러시아에서 쫓겨나왔다.
좋아요
좋아요 0
태그
페이스북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열린마당톡 의 다른 글

hong75 열린마당톡 ♥ 급히 운전면허가 필요 하신 분 ♥
♥ 급히 운전면허가 필요 하신 분 ♥
최고의 합격률을 보장 하는 26년경험의 전문 강사가 면허가 급히 필요 하신 분을 위해 교육시간 자유선택 및 자택방문 교육을 실시합니다. 연락 주시면 운전면허 취득 과정을 친절히 …더보기
0 0 17
sekorean sekorean 열린마당톡 한국 안산의 88.7 MHz 단원 FM 에 출연해서 이야기 나눴습니다
한국 안산의 88.7 MHz 단원 FM 에 출연해서 이야기 나눴습니다
<2025년 6월 넷째 주 미주한인 우리 세상 440화>세월호, 이태원, 여러 산업현장에서의 대형 인명사고 등 사회적 참사를 국가나 사회는 어떻게 대하는가?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더보기
  • #단원FM
  • #안산시
  • #공동체방송국
  • #미주한인우리세상
  • #미주동포설록
  • #캐롤라이나열린방송
0 0 25
sky001i 열린마당톡
대출가능한곳
요즘 같은 경제 상황에서 급전이 필요한 분들이 많아지면서 다양한 대출 상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기대출이 많거나 신용점수가 낮은 분들, 일용직 근로자, 4대 보…더보기
0 0 44
sekorean sekorean 열린마당톡 덕수궁 돌담길 옆 성공회당에서 열린 38주년 유월 항쟁 시민기념식
덕수궁 돌담길 옆 성공회당에서 열린 38주년 유월 항쟁 시민기념식
세월이 흘러도 오히려 더욱 분명하게 살아 움직이는 1987년 유월의 함성. 시민들이 스스로 마련한 기념식에 다녀왔습니다. 궂을 때도 맑을 때도 한국 사회의 정의와 민주를 위해 그…더보기
  • #유월항쟁
  • #시민기념식
  • #우원식의장
0 0 41
alpineski 열린마당톡 ◈미동부한인스키협회◈ 겨울 스키시즌 대비 인라인 스케이트 무료레슨
◈미동부한인스키협회◈ 겨울 스키시즌 대비 인라인 스케이트 무료레슨
겨울 스키시즌 대비, 인라인 스케이트 무료레슨.매월 일요일 2회(6월- 10월).장소: 뉴저지, 뉴 오버펙 공원과 사우스 마운틴시간: 8AM- 10AM문의 201 982 0608…더보기
0 0 43
iamthewinner 열린마당톡
무엇이 당신을 움직입니까?
투자가치가 있는 곳? 직장이 보장되는 곳? 혹은 삶의 질이 좋은 곳입니까?다 나름대로 합리적인 이유입니다.메이 플라워호를 타고 영국을 떠나 미지의 땅, 아메리카를 향해 떠난 이들…더보기
0 0 39
열린마당톡 더보기

로그인

  • 회원가입
  •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글쓰기

댓글 많은 Ktalk

  • [라디오서울 좋은아침 좋은… new14
  • 라디오서울과 하이트진로가 … new11
  • 한국산 라면 new9
  • [중국 결혼 문화]굴욕이란… new8
  •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new3
  • 제주 KFC 개웃기넼ㅋㅋㅋ… new3

조회수 많은 Ktalk

  • 클립토(코인) 에 대한 정… new0
  • 장대한 창조와 종말의 광경… new0
  • [SAT 무료수업] '이 … new0
  • 탐정 업무 new0
  • 아틀란타/조지아 이사 오시… new0
  • 대한민국은 왜 맥없이 무너… new0

사진으로 보는 Ktalk

  • 6.3사전 선거는무효! 6.3사전 선거는무효!

카테고리

미국에서 나와 비슷한 한인들과
이웃이 되는 공간!
  • 전체
  • 뉴스 제보 New
  • 오늘의 일상톡
  • 지역소식톡
  • 반려동물톡
  • 속풀이톡
  • 정치·이슈톡
  • 열린마당톡
  • 홍보톡
×

선택하기

카테고리를 선택해주세요.

  • 전체
  • 뉴스제보 New
  • 오늘의 일상톡
  • 지역소식톡
  • 반려동물톡
  • 속풀이톡
  • 정치·이슈톡
  • 열린마당톡
  • 홍보톡
중복선택 가능합니다.
선택저장
한국일보
사이트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교환/환불정책 광고운영
3731 Wilshire Blvd., 8th Floor, Los Angeles, CA, 90010, USA Tel.(323)450-2601
Ktown1번가 대표이메일 webinfo@koreatimes.com | 업소록 문의 yp@koreatimes.com
Powered by The Korea Times. Copyright ©The Korea 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