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1%가 자본주의 존속막는 최대 걸림돌
상위1%,자본주의 적인가 우군인가
입력시간 | 2014.06.24 05:00 | 류성 기자 sta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상위1%가 자본주의 존속막는 최대 걸림돌
1%가 99% 압도하는 사회의 미래는 없다
소득불평등심화로 자본주의 대변혁 불가피
[류성의 산업칼럼]상위1%,자본주의 적인가 우군인가
[이데일리 류성 산업 선임기자] ‘상위 1%가 나머지 99%를 압도하는 사회.’
미국과 유럽 등 자본주의 종주국을 중심으로 갈수록 악화하는 부와 소득의 불평등 심화현상이 세계적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공산주의를 꺾고 최후의 승자가 된 자본주의의 운명도 얼마 남지 않았다는 비관론까지 솔솔 나오고 있다.
세계적으로 부와 소득의 불평등 현상이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한국에서도 계층간 격차가 심각한 사회적 병폐로 자리잡고 있다. 얼마 전 시민단체인 경제개혁연구소는 한국의 소득 불평등 실상을 보여주는 보고서를 냈다. 이 연구소는 한국의 소득 상위 1%(19만 명)가 올리는 소득은 하위 40%(768만 명)의 소득과 맞먹는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상위층은 근로소득보다 금융이나 부동산 투자를 통한 이자·배당 등의 소득이 훨씬 크다고 지적했다. 노동보다 돈이 돈을 재생산하는 ‘변형’ 자본주의 생태계가 정착했다는 주장이다.
돌이켜보면 ‘상위 1% 대 하위 99% 간 대결구도’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단언컨대 인류 역사가 시작된 이래 단 한번도 피할 수 없었던 인류의 숙명이었다. 심지어 태고시대 동굴에 살던 원시인 사회도 상위층과 하위층으로 양분돼 있었다. 상위층 원시인들은 하위층보다 더 날카로운 화살촉과 창을 사용해 상대적으로 월등한 사냥 성과(소득)를 거뒀다는 것을 보여주는 유물들이 나오고 있다.
완전한 평등은 유토피아에서나 존재할 것이다. 현실에선 실현 불가능할 수 밖에 없는 게 인간사회의 한계다. 그렇다면 왜 지금 상위 1%와 하위 99%의 대립구도가 가장 큰 시대적 문제로 비화하고 있는 걸까. 무엇보다 상·하위층 간 소득과 부의 불평등의 정도와 방향성이 극단으로 치닫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내놓은 분석에 따르면 미국의 소득 상위 1%는 지난 1981년 국가 전체소득의 8.2%를 차지했지만 2012년 19.3%로 두 배 이상 늘었다. 같은 기간 영국(6.7%→12.9%)과 독일(10.7%→12.7%)도 비슷한 추세였다. 한국 또한 상위 1% 소득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981년 6.5%에서 2012년 9.7%로 크게 늘었다.
‘상위 1% 독식시대’가 본격 도래하면서 자본주의의 미래에도 먹구름이 끼고 있는 역설의 시대다. 자본주의 최대 수혜층인 상위 1%가 자본주의 존속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형국이어서다. 어제보다 오늘이, 오늘보다 내일이 더 암담해지는 현실에 하위층은 자본주의에 대해 심각한 염증을 느끼고 있다. 현 자본주의 체제의 근본적 개혁을 요구하는 구성원들이 급증하는 현상은 당연한 귀결이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점은 상위 1%에 대한 부의 쏠림현상이 심해지면서 그동안 이 사회를 양분하던 ‘성장이냐 분배냐’의 논란도 다소 잠잠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성장의 과실이 상위 1%에 과도하게 집중되는 기간이 길어지다보니 정작 추가 성장을 하는데 필요한 동력과 기반이 근본부터 흔들리고 있다는 것을 뒤늦게 깨닫게 된 것이다.
상·하위 계층 간 부의 격차가 정도를 넘어서면 혁명이나 민중 봉기 등으로 기존 체제가 붕괴할 수 있다. 그걸 동서고금의 역사는 말해준다. 지금은 소득 및 부의 불평등의 추(錘)가 위험 수준으로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소득과 부의 불평등’이 세계적 화두가 됐다는 사실 자체가 이를 반증한다.
‘소득 하위층이 아무리 발버둥쳐도 상위 1%의 ’세습된 부‘의 증가 속도를 따라갈 수 없다’는 토마 피케티 교수의 지적을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된다. 소득 및 부의 불평등의 추를 중심부로 다시 옮겨놓아야 한다. 자본주의가 위험하다. XML
입력시간 | 2014.06.24 05:00 | 류성 기자 sta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상위1%가 자본주의 존속막는 최대 걸림돌
1%가 99% 압도하는 사회의 미래는 없다
소득불평등심화로 자본주의 대변혁 불가피
[류성의 산업칼럼]상위1%,자본주의 적인가 우군인가
[이데일리 류성 산업 선임기자] ‘상위 1%가 나머지 99%를 압도하는 사회.’
미국과 유럽 등 자본주의 종주국을 중심으로 갈수록 악화하는 부와 소득의 불평등 심화현상이 세계적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공산주의를 꺾고 최후의 승자가 된 자본주의의 운명도 얼마 남지 않았다는 비관론까지 솔솔 나오고 있다.
세계적으로 부와 소득의 불평등 현상이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한국에서도 계층간 격차가 심각한 사회적 병폐로 자리잡고 있다. 얼마 전 시민단체인 경제개혁연구소는 한국의 소득 불평등 실상을 보여주는 보고서를 냈다. 이 연구소는 한국의 소득 상위 1%(19만 명)가 올리는 소득은 하위 40%(768만 명)의 소득과 맞먹는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상위층은 근로소득보다 금융이나 부동산 투자를 통한 이자·배당 등의 소득이 훨씬 크다고 지적했다. 노동보다 돈이 돈을 재생산하는 ‘변형’ 자본주의 생태계가 정착했다는 주장이다.
돌이켜보면 ‘상위 1% 대 하위 99% 간 대결구도’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단언컨대 인류 역사가 시작된 이래 단 한번도 피할 수 없었던 인류의 숙명이었다. 심지어 태고시대 동굴에 살던 원시인 사회도 상위층과 하위층으로 양분돼 있었다. 상위층 원시인들은 하위층보다 더 날카로운 화살촉과 창을 사용해 상대적으로 월등한 사냥 성과(소득)를 거뒀다는 것을 보여주는 유물들이 나오고 있다.
완전한 평등은 유토피아에서나 존재할 것이다. 현실에선 실현 불가능할 수 밖에 없는 게 인간사회의 한계다. 그렇다면 왜 지금 상위 1%와 하위 99%의 대립구도가 가장 큰 시대적 문제로 비화하고 있는 걸까. 무엇보다 상·하위층 간 소득과 부의 불평등의 정도와 방향성이 극단으로 치닫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내놓은 분석에 따르면 미국의 소득 상위 1%는 지난 1981년 국가 전체소득의 8.2%를 차지했지만 2012년 19.3%로 두 배 이상 늘었다. 같은 기간 영국(6.7%→12.9%)과 독일(10.7%→12.7%)도 비슷한 추세였다. 한국 또한 상위 1% 소득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981년 6.5%에서 2012년 9.7%로 크게 늘었다.
‘상위 1% 독식시대’가 본격 도래하면서 자본주의의 미래에도 먹구름이 끼고 있는 역설의 시대다. 자본주의 최대 수혜층인 상위 1%가 자본주의 존속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형국이어서다. 어제보다 오늘이, 오늘보다 내일이 더 암담해지는 현실에 하위층은 자본주의에 대해 심각한 염증을 느끼고 있다. 현 자본주의 체제의 근본적 개혁을 요구하는 구성원들이 급증하는 현상은 당연한 귀결이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점은 상위 1%에 대한 부의 쏠림현상이 심해지면서 그동안 이 사회를 양분하던 ‘성장이냐 분배냐’의 논란도 다소 잠잠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성장의 과실이 상위 1%에 과도하게 집중되는 기간이 길어지다보니 정작 추가 성장을 하는데 필요한 동력과 기반이 근본부터 흔들리고 있다는 것을 뒤늦게 깨닫게 된 것이다.
상·하위 계층 간 부의 격차가 정도를 넘어서면 혁명이나 민중 봉기 등으로 기존 체제가 붕괴할 수 있다. 그걸 동서고금의 역사는 말해준다. 지금은 소득 및 부의 불평등의 추(錘)가 위험 수준으로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소득과 부의 불평등’이 세계적 화두가 됐다는 사실 자체가 이를 반증한다.
‘소득 하위층이 아무리 발버둥쳐도 상위 1%의 ’세습된 부‘의 증가 속도를 따라갈 수 없다’는 토마 피케티 교수의 지적을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된다. 소득 및 부의 불평등의 추를 중심부로 다시 옮겨놓아야 한다. 자본주의가 위험하다. XML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