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서방의 세상이야기(석가,노가,박가)
--
오래 오래 전, 아주 오래 전, 이 두 발이 한국 땅을 밟고 살던 젊은 시절의 한 때
산을 너무 좋아해서 한국의 높은 산, 유명산이라면 무조건 이산 저산을 기어 올라가고 하던 등산 광 시절에 추석을 며칠 앞둔 토요일 저녁 이곳에 하루를 자면서 들은 일이다.
얘긴 강원도 삼척 근방 한 산골동네,
이 곳에서 태어나 60여년을 이 곳에서만 줄곧 살고 있는 석(石)가 노(老)가 박(朴)가 성을 가진 세 동갑네기가 있었지요.
이 동네는 깊은 산 속이라 버스가 낮에 한 번, 저녁 때 쯤 한 번 들어왔다.
마침 추석 전이라 특별히 할 일도 없을 뿐 아니라 나이들도 있고 해서 딱히 할 일들이 없다보니 날만 새면 이 들은 노인정에서 만나 이런 저런 얘길 나누다가 점심때가 되면 각자 집에 가서 식은 밥 한 그릇으로 뱃속을 채우곤 다시 모여서는 해가 산 너머로 넘어가는 걸 봐야 각자의 집으로 돌아가곤 하였다.
그러다 간밤에 어느 집에서 제사라도 모셨다 하면 그 날은 노인정 잔칫날이 되었다. 제사를 모신 집에서 제사 음식 이것저것을 정성스럽게 소반에 담고 호로병엔 옥수수로 만든 막걸리를 담아 이들 노인들이 드시게 가지고 오곤 하였다.
이래서 죽은 귀신들 덕분에 살아있는 세 영감이 맛있게 잡숫고 마시고 하는데 가끔은 빈속에 막걸리가 들어가다 보면 얘기들이 빗나가서 아무 것도 아닌 일로 티격태격하는 수가 생긴다고 했다.
티격태격의 한 장면을 들은 대로 기억나는 대로 옮겨 보면
석(石) 영감 : 야, 이x, 박가야, 넌 언제 죽냐?
박(朴) 영감 : 넌 아직도 내가 왜 안 죽는지 모르냐?
석 영감 : 야, 이x아 네가 안 죽는 걸 내가 어떻게 아냐? 내가 뭐 산신령이냐?
박 영감 : 이x아, 네가 죽어야 내가 너의 제사 밥을 얻어먹을 것 아닌가?
석 영감 : 뭐여? 이x아, 내가 죽어야 네가 죽는다고? 난 너 앞에 안 가! 이x아!
박 영감 : 저러니 돌이지. 너 성이 왜 돌인지 아냐?
석 영감 : 야 이x아, 남의 조상은 왜 들먹거려? 내 조상이 어때서? 너무 단단해서, 야 이x아, 네가 무식해서 알아들을지 모르겠지만 우리 조상 얘기 좀 해줄게..
우리 조상 중엔 옛날 고려 말에 나라의 운이 다 해가자 벼슬길을 버리고 낙향하였는데 새 나라의 임금이 벼슬을 준다고 불러도 두 나라를 섬길 수 없다고 나가지 않자 지금의 충주에 있는 차이산 밑에 유배를 시켜 거기서 돌아가셨던 분이 계신단다.
그 선조의 함자(銜字)가 화원(花園) 석여명(石汝明)이시다.
지조가 돌같이 단단했던 분이시지..
노(老) 영감 : 야, 이 늙은이들아, 뭐하냐? 어른이 왔으면 얼른 일어나지들 않고..
박(朴) 영감 : 어허 늙은 게 왜 왔냐? 집에 죽치고 앉아 있지.... 성도 지x 맞게 노가(奴家)가 뭐냐? 천방지축이란 말이 뭔지나 아냐?
--
이렇게 하루해가 저물고 다시 다음 날엔 언제 무슨 일이 있었는지 다 없어지고 아침에 만나면 어흠! 이x은 인사도 하지 않고...
이렇게 산골동네의 역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
벌써 한국엔 추석이라 해서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는 걸 TV로 보니 갑자기 아주 옛날이 그리워져 몇 자 올려봤습니다.
옛날 코미디언 말로 “일주일만 젊었으면....”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
오래 오래 전, 아주 오래 전, 이 두 발이 한국 땅을 밟고 살던 젊은 시절의 한 때
산을 너무 좋아해서 한국의 높은 산, 유명산이라면 무조건 이산 저산을 기어 올라가고 하던 등산 광 시절에 추석을 며칠 앞둔 토요일 저녁 이곳에 하루를 자면서 들은 일이다.
얘긴 강원도 삼척 근방 한 산골동네,
이 곳에서 태어나 60여년을 이 곳에서만 줄곧 살고 있는 석(石)가 노(老)가 박(朴)가 성을 가진 세 동갑네기가 있었지요.
이 동네는 깊은 산 속이라 버스가 낮에 한 번, 저녁 때 쯤 한 번 들어왔다.
마침 추석 전이라 특별히 할 일도 없을 뿐 아니라 나이들도 있고 해서 딱히 할 일들이 없다보니 날만 새면 이 들은 노인정에서 만나 이런 저런 얘길 나누다가 점심때가 되면 각자 집에 가서 식은 밥 한 그릇으로 뱃속을 채우곤 다시 모여서는 해가 산 너머로 넘어가는 걸 봐야 각자의 집으로 돌아가곤 하였다.
그러다 간밤에 어느 집에서 제사라도 모셨다 하면 그 날은 노인정 잔칫날이 되었다. 제사를 모신 집에서 제사 음식 이것저것을 정성스럽게 소반에 담고 호로병엔 옥수수로 만든 막걸리를 담아 이들 노인들이 드시게 가지고 오곤 하였다.
이래서 죽은 귀신들 덕분에 살아있는 세 영감이 맛있게 잡숫고 마시고 하는데 가끔은 빈속에 막걸리가 들어가다 보면 얘기들이 빗나가서 아무 것도 아닌 일로 티격태격하는 수가 생긴다고 했다.
티격태격의 한 장면을 들은 대로 기억나는 대로 옮겨 보면
석(石) 영감 : 야, 이x, 박가야, 넌 언제 죽냐?
박(朴) 영감 : 넌 아직도 내가 왜 안 죽는지 모르냐?
석 영감 : 야, 이x아 네가 안 죽는 걸 내가 어떻게 아냐? 내가 뭐 산신령이냐?
박 영감 : 이x아, 네가 죽어야 내가 너의 제사 밥을 얻어먹을 것 아닌가?
석 영감 : 뭐여? 이x아, 내가 죽어야 네가 죽는다고? 난 너 앞에 안 가! 이x아!
박 영감 : 저러니 돌이지. 너 성이 왜 돌인지 아냐?
석 영감 : 야 이x아, 남의 조상은 왜 들먹거려? 내 조상이 어때서? 너무 단단해서, 야 이x아, 네가 무식해서 알아들을지 모르겠지만 우리 조상 얘기 좀 해줄게..
우리 조상 중엔 옛날 고려 말에 나라의 운이 다 해가자 벼슬길을 버리고 낙향하였는데 새 나라의 임금이 벼슬을 준다고 불러도 두 나라를 섬길 수 없다고 나가지 않자 지금의 충주에 있는 차이산 밑에 유배를 시켜 거기서 돌아가셨던 분이 계신단다.
그 선조의 함자(銜字)가 화원(花園) 석여명(石汝明)이시다.
지조가 돌같이 단단했던 분이시지..
노(老) 영감 : 야, 이 늙은이들아, 뭐하냐? 어른이 왔으면 얼른 일어나지들 않고..
박(朴) 영감 : 어허 늙은 게 왜 왔냐? 집에 죽치고 앉아 있지.... 성도 지x 맞게 노가(奴家)가 뭐냐? 천방지축이란 말이 뭔지나 아냐?
--
이렇게 하루해가 저물고 다시 다음 날엔 언제 무슨 일이 있었는지 다 없어지고 아침에 만나면 어흠! 이x은 인사도 하지 않고...
이렇게 산골동네의 역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
벌써 한국엔 추석이라 해서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는 걸 TV로 보니 갑자기 아주 옛날이 그리워져 몇 자 올려봤습니다.
옛날 코미디언 말로 “일주일만 젊었으면....”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