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살려면
65세 이상 노인의 절반이 불면증을 겪지만,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1%에 불과하다. 불면증을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말고 '누구나 겪는 가벼운 증상'으로 여겨도 된다. 노인 불면증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걱정하면 오히려 증상이 심해져 진짜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 될 수 있다. 잠을 못 자는 것에 압박감을 느끼거나 숙면에 집착을 하는 부정적인 감정 자체가 불면증 악화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이다.
지난 6월 헬스조선의 '불면증을 이기는 제주 힐링캠프'를 진행했던 연세대 의대 이홍식 명예교수(정신건강의학과)는 "나이가 들면 식사 습관·성격·주변 환경이 변하는 것처럼 수면 습관도 변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며 "하루에 3~4시간 밖에 못 자고, 자주 깨거나 잠들기 어렵다고 해서 모두 건강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수면 습관이 변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일주기 리듬(하루를 주기로 변하는 생체리듬)이 빨라지기 때문이다. 일주기 리듬이 빨라지면 한밤중에 나와야 할 멜라토닌이 초저녁부터 나와 일찍 잠들게 되고, 그만큼 빨리 사라져서 새벽잠이 없어진다.
노인의 수면 습관 변화는 활동량이 줄어드는 탓도 있다. 노인은 젊은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동량이 적어 밤에 수면 요구량도 줄어든다. 몸을 많이 안 쓴 만큼 오랫동안 쉴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 때문에 총 수면량이 줄고, 한 번 잠에서 깨면 다시 잠들기 어려워진다.
영국 워릭대 연구팀이 878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0~64세 성인은 6시간 미만으로 자면 뇌 기능이 떨어진 반면, 65세 이상 노인은 뇌기능에 큰 변화가 없었다. 오히려 8시간 이상 잤을 때 뇌 기능이 떨어졌다.
이홍식 교수는 "달라진 수면 습관에 적응하기 힘들거나 수면의 질을 높이고 싶다면 생활 패턴을 조금만 바꿔보라"고 말했다. 명상이나 가벼운 신체 활동만 해도 잠을 잘 잘 수 있다. 불면증을 겪는 사람끼리 고민을 공유하면서 마음을 편히 먹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
“마음을 편히 먹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즉, 잠을 잘 잘려면 남을 헡 뜯지 말라는 말이 된다.
남을 원망하며 어떻게 하든 자신의 학식을 내세우며 상대에게 위화감을 주료고 애쓰는 작자들은 심장경색이 일어나 빨리 ‘유세차’ 할 경우가 많다고 한다. 즉 오래 살려면 좋은 감정을 가지고 살아라는 말인데 이건 무슨 학술에 들어가는가? 목사님의 설교에많이 있나?
지난 6월 헬스조선의 '불면증을 이기는 제주 힐링캠프'를 진행했던 연세대 의대 이홍식 명예교수(정신건강의학과)는 "나이가 들면 식사 습관·성격·주변 환경이 변하는 것처럼 수면 습관도 변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며 "하루에 3~4시간 밖에 못 자고, 자주 깨거나 잠들기 어렵다고 해서 모두 건강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수면 습관이 변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일주기 리듬(하루를 주기로 변하는 생체리듬)이 빨라지기 때문이다. 일주기 리듬이 빨라지면 한밤중에 나와야 할 멜라토닌이 초저녁부터 나와 일찍 잠들게 되고, 그만큼 빨리 사라져서 새벽잠이 없어진다.
노인의 수면 습관 변화는 활동량이 줄어드는 탓도 있다. 노인은 젊은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동량이 적어 밤에 수면 요구량도 줄어든다. 몸을 많이 안 쓴 만큼 오랫동안 쉴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 때문에 총 수면량이 줄고, 한 번 잠에서 깨면 다시 잠들기 어려워진다.
영국 워릭대 연구팀이 878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0~64세 성인은 6시간 미만으로 자면 뇌 기능이 떨어진 반면, 65세 이상 노인은 뇌기능에 큰 변화가 없었다. 오히려 8시간 이상 잤을 때 뇌 기능이 떨어졌다.
이홍식 교수는 "달라진 수면 습관에 적응하기 힘들거나 수면의 질을 높이고 싶다면 생활 패턴을 조금만 바꿔보라"고 말했다. 명상이나 가벼운 신체 활동만 해도 잠을 잘 잘 수 있다. 불면증을 겪는 사람끼리 고민을 공유하면서 마음을 편히 먹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
“마음을 편히 먹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즉, 잠을 잘 잘려면 남을 헡 뜯지 말라는 말이 된다.
남을 원망하며 어떻게 하든 자신의 학식을 내세우며 상대에게 위화감을 주료고 애쓰는 작자들은 심장경색이 일어나 빨리 ‘유세차’ 할 경우가 많다고 한다. 즉 오래 살려면 좋은 감정을 가지고 살아라는 말인데 이건 무슨 학술에 들어가는가? 목사님의 설교에많이 있나?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