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민 의원의 "삭제권한 없어"인터뷰(펌)
http://www.podbbang.com/ch/8155 (장윤성의 팟짱)
[578.신경민 "임과장 자살 3박4일의 비밀, 조직적 삭제 의혹"]
***********************************************************
http://www.goba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467
신경민 “임씨, 삭제 권한 없어” 조직적 개입 의혹 제기
“사망한 임씨 4월 전출… 윗선과의 공모 여부 의문”
나혜윤 기자 | balnews21@gmail.com
승인 2015.07.23 14:59:01 수정 2015.07.23 15:39:36
신경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숨진 국가정보원 직원 임모씨의 ‘자료 삭제’에 대해 “4급 이하라 삭제권한이 없다”며 조직적 개입 의혹을 제기했다.
23일 국회 정보위원회 야당 간사인 신 의원은 이날 당 정책조정회의에서 “이병호 국정원장이 현장조사를 수용한 이후 임 과장이 숨진 17일까지 나흘간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가 중요하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신 의원은 “임 과장은 지난 4월 전출했었고 국정원 내규에 따르면 4급 이하 직원은 삭제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정보위 이전에 삭제했다’고 가정하면 삭제권한이 없는 4급 직원이 어떻게 실행했는지가 의문이고, 윗선과의 공모 여부가 의문”이라며 “이 부분은 정보 사찰과 관계없이 조사와 수사, 처벌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신 의원은 “정보위 이후 삭제했다면 정보부 내외에 집단적, 조직적, 광범위한 삭제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심대한 의미를 갖고 있다”며 “전출한 임 과장이 여기에 동원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여당 간사의 ‘말 바뀐 해명’에 대해서도 “여당 간사는 국정원의 대변인을 자임하고 있는 만큼, 국정원이 감찰을 놓고 허둥대고 있는 것으로 해석이 된다”고 질타하기도 했다.
앞서 여당 간사인 이철우 새누리당 의원은 19일 임 과장이 “감찰을 받았다”고 했다가 다음 날 “(임 과장에게 국정원이) 전화 몇 번으로 확인한 정도”라고 다른 해명을 내놓은 바 있다.
신 의원은 “임 과장이 개인 PC와 해킹프로그램이 설치된 메인 PC의 자료를 다 삭제한 것인지 아닌지 분명히 해야 한다”며 “만약 다 그랬다면 임 과장의 개인 PC만 복구 가능하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닌지도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해외 데이터까지 지웠다면 우리는 해킹 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는 모든 PC의 검증을 반드시 해야한다”며 “로그 자체가 영구 삭제되어 복구는 불가능해질 것이라는 전문가들 지적이 있었다”고 강조했다.
한편, 해당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계속 터져 나오는구나”(드라**), “사실과 진실은 조금씩 밝혀진다. 그들은 덮으려고 무수한 방해를 할 것이다”(단*), “그러니까 개인일탈 조작원이래잖아”(버*), “유서가 유서 같지 않다”(lon*****), “범죄조직 국가조작원”(min***), “국정원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외국에 기밀을 누출할 수도 있겠네”(툰*), “뭘 하나 하더라도 제대로 하는 게 없네”(한걸**), “개인 일탈이라고 하겠죠. 그럼 세금 왜 사용했나”(불량**) 등의 반응들을 보였다.
[578.신경민 "임과장 자살 3박4일의 비밀, 조직적 삭제 의혹"]
***********************************************************
http://www.goba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467
신경민 “임씨, 삭제 권한 없어” 조직적 개입 의혹 제기
“사망한 임씨 4월 전출… 윗선과의 공모 여부 의문”
나혜윤 기자 | balnews21@gmail.com
승인 2015.07.23 14:59:01 수정 2015.07.23 15:39:36
신경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숨진 국가정보원 직원 임모씨의 ‘자료 삭제’에 대해 “4급 이하라 삭제권한이 없다”며 조직적 개입 의혹을 제기했다.
23일 국회 정보위원회 야당 간사인 신 의원은 이날 당 정책조정회의에서 “이병호 국정원장이 현장조사를 수용한 이후 임 과장이 숨진 17일까지 나흘간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가 중요하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신 의원은 “임 과장은 지난 4월 전출했었고 국정원 내규에 따르면 4급 이하 직원은 삭제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정보위 이전에 삭제했다’고 가정하면 삭제권한이 없는 4급 직원이 어떻게 실행했는지가 의문이고, 윗선과의 공모 여부가 의문”이라며 “이 부분은 정보 사찰과 관계없이 조사와 수사, 처벌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신 의원은 “정보위 이후 삭제했다면 정보부 내외에 집단적, 조직적, 광범위한 삭제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심대한 의미를 갖고 있다”며 “전출한 임 과장이 여기에 동원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여당 간사의 ‘말 바뀐 해명’에 대해서도 “여당 간사는 국정원의 대변인을 자임하고 있는 만큼, 국정원이 감찰을 놓고 허둥대고 있는 것으로 해석이 된다”고 질타하기도 했다.
앞서 여당 간사인 이철우 새누리당 의원은 19일 임 과장이 “감찰을 받았다”고 했다가 다음 날 “(임 과장에게 국정원이) 전화 몇 번으로 확인한 정도”라고 다른 해명을 내놓은 바 있다.
신 의원은 “임 과장이 개인 PC와 해킹프로그램이 설치된 메인 PC의 자료를 다 삭제한 것인지 아닌지 분명히 해야 한다”며 “만약 다 그랬다면 임 과장의 개인 PC만 복구 가능하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닌지도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해외 데이터까지 지웠다면 우리는 해킹 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는 모든 PC의 검증을 반드시 해야한다”며 “로그 자체가 영구 삭제되어 복구는 불가능해질 것이라는 전문가들 지적이 있었다”고 강조했다.
한편, 해당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계속 터져 나오는구나”(드라**), “사실과 진실은 조금씩 밝혀진다. 그들은 덮으려고 무수한 방해를 할 것이다”(단*), “그러니까 개인일탈 조작원이래잖아”(버*), “유서가 유서 같지 않다”(lon*****), “범죄조직 국가조작원”(min***), “국정원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외국에 기밀을 누출할 수도 있겠네”(툰*), “뭘 하나 하더라도 제대로 하는 게 없네”(한걸**), “개인 일탈이라고 하겠죠. 그럼 세금 왜 사용했나”(불량**) 등의 반응들을 보였다.

좋아요 0
태그
DISCLAIMER
이곳에 게시된 글들은 에이전트 혹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올린 게시물입니다. 커뮤니티 내용을 확인하고 참여에 따른 법적, 경제적, 기타 문제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케이타운 1번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의견이나 대표성을 가지지 않으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에 의해 입은 손해나 피해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