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 레모(San Remo) 이탈리아 산레모는 북서부 프랑스 국경지대와 맞붙어 있는 매우 아름다운 작은 항구도시다. 프랑스 니스에서 가려면 기차로 한시간이면 당도할 수 있는 곳이다. ![]() 1 년 내내 꽃이 피는 "꽃의 도시"이기도 한 이곳은 올리브 재배가 매우 활발하며, 다이나마이트를 발명한 노벨이 5 년 간 살다 생을 마감한 곳이기도 하다. ![]() 주말이면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 온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루기도 한다. ![]() 벼룩시장이 열리기 때문이다. ![]() 이만하면 산레모를 모두 소개한 듯 하지만 또 하나 반드시 언급할 것이 있다. 바로 산레모가요제(Festival della canzone italiana)다. ![]() 산레모가요제는 매년 3 월 초에 5 일 간에 걸쳐 ‘Ariston’ 극장에서 화려하게 펼쳐진다. 산레모 가요제는 1951 년 시작됐다. 2 차 세계대전 이 후, 산레모시가 자기 고장을 홍보하고 시민들의 사기도 북돋을 겸 개최하게 됐다고 한다. 규모도 처음에는 작았지만 해가 갈수록 커져, 현재는 세계 가요제의 대명사가 됐다. ![]() 산레모 가요제가 유명세를 타기 시작한 것은, 1957 년 토니 달라라(Tony Dallara)가 ‘Come Prima’를 불러 미국에 알려지면서 부터였다. ![]() 1958 년에는 도미니코 모듀뇨(Domenico Modugno)가 부른 ‘Volare’가 미국챠트 1 위에 올랐다. 한국에선 1964 년부터 동아방송에서 '칸초네를 즐깁시다' 란 프로그램을 통해 ‘노노레타’ 등이 유행했다. 노노레타는 질리오라 친케티(Gigliola Cinquetti)가 16 세의 어린 나이로 1964 년 산레모가요제에서 대상을 받았다. ![]() 1971 년에는 MBC-TV 를 통해 우승곡 1 위인 니콜라 디바리(Nicola Di Bari, 위 사진)의 마음은 집시(Il cuore e uno zingaro), 2 위 곡 '케세라', 3 위 곡 '1943 년 4 월 3 일생' 이 함께 방송됐다. ![]() 한국에서는 이 노래들이 동시에 히트하면서.. 산레모 가요제 붐이 일었다. ![]() 매년 3월 열리는 가요제를 통해 유명해진 가수들로는.. 크라우디오 빌라(Claudio Villa) 니콜라 디바리(Nicola Di Bari), 이바 자니키(Iva Zanicchi), 에로스 라마조띠(Eros Ramazzotti), 마르코 마시니(Marco Masini) 로라 파시니(Laura Pausini), 엘리사(Elisa), 안드레아 보첼리(Andrea Bocelli)등이 있다. ![]() 산레모 가요제의 아이러니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밀바(Milva)와 루치오 달라(Lucio Dalla)가 단 한번도 우승을 차지하지 못한 것이다. ‘축제의 노래’ 등으로 잘 알려진 '칸초네의 여왕' 밀바는 산레모 가요제에 14 번이나 참가했었다. Gigliola Cinquetti ![]() 질리오라 친케티의 노노레타(Non Ho L’eta)는 10 년동안 전세계에서 1,000 만장 이상의 음반을 판매한 이탈리아 최고의 힛트곡이다. 한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칸초네에도 제 1 위에 오른 불멸의 명곡이다. Nilla Pizzi ![]()
밀바(Milva) 이전에 이탈리아에서는 칸초네의 여왕으로 불렸다. 2011년 9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https://www.youtube.com/watch?v=rBEyHGGWBrU (Milva = L'lmmensita)
*가수들의 이미지는 구글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