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썹, 눈의 모습으로 운을 판단하는 법
관상학의 동의보감이라 할 수 있는 <마의 상법>에는 수십가지로 눈썹의 상을 구분 하는데 일반인 들이 정확히 그 상을 구분 하기는 어렵고, 그 중 비교적 구분이 가능한 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가 흔히 '일자눈썹' 이라고 부르는 양쪽 눈썹이 붙어있는 듯한 눈썹을 관상학상 '교가미' 라고 하는데 이런 눈썹을 가진이는 빈천한 자가 많고 형제 불화수가 있어 형제간 의가 좋지 못하다.
버들잎처럼 생긴 눈썹의 상은 '유엽미' 라 하는데 이 역시 형제간 정이 없는 상이나 자신은 발전하는 상이다. 칼처럼 날카롭게 생긴 눈썹은 '검미' 인데 지식이 풍부하며 높은 직위에 오를 수 있는 눈썹의 상이다. 이 눈썹의 특징은 부모덕 없어 초년에 빈궁하게 지내는 경향이 있으나 자수성가하여 크게 되며 자손도 번창하고 자신 역시 장수하는 좋은 눈썹의 상이다. 하지만 같은 칼모양의 눈썹이라 하여도 짧은 칼 모양을 하고 있으면 '첨도미'라 하여 성질이 매우 흉폭하고 마음이 간교하고 음탕한 눈썹의 상 이어서 함부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죄를 지어서 감옥에 갇히게 되는 흉한 상으로 분류한다.
문둥이처럼 눈썹이 거의없는 상을 가진 이들이 있는데 이는 흉한 눈썹의 상이다. 여기에다 눈썹이 누렇고 박약하면 타향에서 객사하는 흉한 상으로 본다. 눈썹 꼬리부분이 단정치 못하고 흩어져 꼭 빗자루와 같은 눈썹을 소추미라 하는데 정이 없고 남 잘되는 것을 시기하고, 재물이 모이지 않는 빈한한 상이다. 반면에 눈썹 꼬리가 단정한 상은 일찍 출세하고 재물이 풍부한 좋은 상이다.
팔짜 눈썹을 지닌이의 운명은 어떠할까? 이런 눈썹을 지닌 이는 동기간이 귀하지만 재물은 넉넉한 상이다. 우리가 미인의 눈썹을 묘사할 때 초생달과 같은 눈썹이라는 표현을 하는데, 이런 눈썹을 신월미라 표현하는데 남녀 공히 이런 모습의 눈썹은 최상격의 눈썹으로 친다. 크게 출세하고 형제가 많고 형제 모두가 귀하게 되는 상이며 형제간에 우애도 깊다. 관상에서 제일 중요하게 취급하는 곳이 눈이다. 눈은 만물을 비추는 해와 달에 비유한다. 왼족 눈이 양이요, 아버지를 나타내며 오른족 눈은 음이니 어머니를 의미한다. 눈은 정신이 머무는 집이라 하여 그 사람의 인격 이나 마음의 탁하고 청함을 나타내기에 매우 중요한 신체부위이다. 눈빛이 그윽하고 빛나면 윤택하고 부귀한 삶을 살게 된다. 눈망울이 솟아있지 않고 견실하게 박혀 반짝 반짝 빛나면 부귀한 상이다. 눈이 가늘면서 깊이가 있으면 장수하면서 진중하고 경망스럽지 않다. 검은 동자와 흰자위의 배합에 있어 흰자위가 많은 눈은 액운이 많다.
눈이 크면서 동그란 이는 어떤 운명을 암시할까? 그러한 눈은 살면서 풍파를 많이 겪게 되는데 이 눈에 눈을 이리저리 경망스럽게 굴리는 습관을 가진 이는 꾀가 많지만 깊은 지혜가 아닌 잔꾀를 부리는 사람이며 약은 머리를 굴리지만 올바른 판단을 하지는 못하는 사람이다.
사물을 바라볼 때 정면으로 보지 못하고 곁눈질하는 이는 남녀 불문하고 음난하며 도둑질하는 습관이 있는 경우가 많다. 항상 화난 듯한 눈이 상을 가진 이는 마음이 바르지 않아 타인에게 해를 주니 조심해야 한다.
남에게 살해 당하거나 사고로 惡死(악사)나 단명할 수 있는 가장 흉한 눈의 상은 눈동자 위에 붉은 핏줄이 서 있고, 이 핏줄이 검은 눈동자를 침해하고 있는 경우로, 이것이 최악의 눈의 상이라 할 수 있다.
어쨌든 <마의 상서>에서는 눈을 39가지의 형상으로 분류하는 바 눈의 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기한 눈의 빛인데 눈의 빛은 수려해야 하고 그 형상이 발라야 좋은 상의 눈이다.
눈은 정신의 표현이다. 수도에 정진 하거나 한 분야에서 최고의 경지에 올라 깨달음을 얻은 사람의 눈빛은 강한 빛을 발하지 아니하고 맑으며 고요한데, 어찌보면 어린아이의 눈빛과 매우 흡사하여 맑지만 멍청해 보일 수도 있는데, 이는 화광반조(눈빛을 거두어 내면을 비춘다)를 이룬 눈의 상이다.
자료제공: GU DO WON (철학원)
213-487-6295, 213-999-0640
주소: 2140 W. Olympic Blvd #224
Los Angeles, CA 90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