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부

발제문(이수영 ICC 코치): 멜라니 클라인의 우울적 자리

2019.06.18

과목클라인 학파 대상관계 이론과 그 역사

주제멜라니 클라인의 우울적 자리

지도 교수신현근 박사                               

내용발제문                                

발제자이수영 ICC 코치

발제일: 6/17/2019

주교재:

Segal H. (1990). Klein.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First published 1979 by The Harvest Press Ltd.).

멜라니 클라인멜라니 클라인의 정신분석학(1990). 하나 시걸(지은이). 이재훈(옮긴이).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우울적자리(The Depressive Position)

 

-논문 <조울상태의 심리발생론에 대한 기고(A Contribution to the Psychogenesis of Manic Depressive States)>는 클라인의 정신분석학적 사고의 발달에 있어서 하나의 분수령을 이루고 있는 논문우울적 자리라는 새로운 개념을 소개

-아동의 심리적 기구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서 생후 처음 몇 해가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이런 이해는 내적 대상의 중요성 및 생후 첫 몇 해 동안 아동이 내면화된 대상들을 구조화하는 방식에 대한 인식과도 연결.

-이 논문에서 그녀는 원시적인 대상관계를 관찰하면서가장 원시적인 부분 대상관계로부터 전체적이고 독립적인 외적 대상관계에 이르기까지 대상관계의 전반적인 윤곽을 기술.

-불안을 편집불안과 우울불안으로 구분.

-1935년 논문아이의 통합적 인식 능력이 자라면서 아이는 어머니를 하나의 전체적인 존재로 인식하기 시작한다고 기술이런 변화를 우울적 자리의 시작으로 보았다.

 

●        부분에서 전체로

-어머니를 전체적인 대상으로 보게될때전체적인 인격체로 사랑할수 있게되며전과 다른방식으로 인식하게 된다.

-어머니는 전체대상으로 느껴지게 되며아이의 만족감의 근원일 뿐만 아니라 좌절과 고통의 원천으로도 느껴진다.

-어머니에 대한 아이의 사랑은 양면성을 지닌다.

       --사랑의 대상이면서 동시에 언제든 파괴될수 있는 존재인 어머니가 계속 내사;

         파괴-내적실체유아의 내적세계-황폐혼돈.

       --아이가 사랑받는 어머니와 자신을 동일시;

         그녀의 상실에 대해 고통스런 감정을 느끼게되며새로운 감정의 양상을 나타냄.

-대상이 부분이 아닌 전체로서 사랑 받을수 있을때그 대상에 대한 상실감 또한 하나의 전체로서 느껴질수 있다.

 

●        죄책감

-상실감슬픔, 그리고 애타는 그리움의 감정에 죄책감이 추가된다.

-우울적 자리초기 단계의 환상 속에 존재하는 박해자들의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편집적 불안과 죄책감상실감

 및 그리움등의 우울한 감정들이 혼합된 복합체.

-우울적 자리로 퇴행함으로서 우울증을 앓으며그 자리는 죽어가는 또한 죽은대상들을 내포이것이 그들이 겪는 

 고통과 불안의 핵이다.

 

●        박해불안과 우울불안

-우울적 자리에서 자아는 박해불안persecutory anxiety과 우울불안depressive anxiety 사이를 끊임없이 오고간다.

-자아는 대상에 대한 증오가 강할때 박해불안을 느끼고,

             대상에 대한 사랑이 우세할때 우울불안을 느낀다.

-아이들이 잘 먹지 않는것편집적 두려움-음식에 나쁜것이 섞여있을지 모른다

                                          우울적 두려움-음식을 먹어치우는 행위가 혹시 자신의 좋은대상을 해치는 결과가 될지도

                                                                  모른다

-건강염려증과 불안(아이와 성인 모두): 자신에 대한 두려움-자신이 독살당하거나 파멸될지도 모른다

                                                               상처입은 대상들-자신의 신체기관들이 위험에 처해있으며 돌보아 주어야

                                                                                           한다.

 

●        고착점fixation point

-클라인은 편집증의 고착점을 우울적 자리보다 앞에 두었고우울증의 고착점을 초기 우울적 자리에 두었다.

-우울증 환자는 우울적 자리의 문턱에 있으면서 좋은 내적 대상을 안정적으로 확립시키지 못한 상태에 처해있다.

-우울증 환자는 가혹한 초자아를 가지고 있다이 가혹성은 환자안에서 여전히 활동하고 있는 편집적 공포가

 만들어내는 박해감과 더불어 죽어가는 대상 혹은 죽은대상들이 자신들을 본래의 이상적인 상태로 회복시키라고 

 요구하고 질책하는데서 비롯된다고 설명

-우울적 자리의 발달에 있어서 유아의 중심적 과제충분히 좋고 안정적이며전체적인 내적 대상을 자아의 핵심에

 확립하는 일.

 실패할 시 편집증paranoid이나 조울증manic-depressive과 같은 정신질환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우울적 자리는 정신병psychoses의 고착점과 신경증neuroses의 고착점 사이에 존재.

 

●        방어기제

-우울적 자리의 발달과정에서 새로운 방어기제들이 발달이전에 사용되는 내적 박해자들에 대한 주된

 방어기제들에는 좋은 대상과 나쁜 대상으로 나누는 분열splitting, 이상화idealization거칠게 밖으로 내보내는 

 축출violent expulsion, 그리고 박해자들과 증오스런 자기의 부분들을 멸절annihilation시키는 것등이 있다

-우울적 자리는 조적 성격을 지닌 또 다른 방어기제를 형성이들의 주요 특징은 심리적 현실을 부정하는 것.

-이 방어기제들은 대상에 대한 의존성과 양가감정을 부인하게하며상실된 대상이 고통이나 죄책감을 일으키지

 못하도록 전능적으로 조종하고그 대상을 경멸적인 태도로 대하며승리감을 갖게 한다

-동시에파괴와 상실에 대한 감정을 모두 부정함으로서 이상화된 내적 대상 안으로 도피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어기제들은 정상적인 성장의 한 부분이지만만약 과다하거나 오래 지속된다면온전하고 좋은

 대상관계의 성장과 우울적 자리를 극복해가는 과정을 저해할 것.

 

●        보상과 회복기제

-<어린이 정신분석(The Psycho-Analysis of Children)>에서 여러종류의 보상restitutive과 회복기제reparative

 mechanism들에 서술하고 있지만우울적 자리에 대한 개념을 확립하면서 보상 충동이 심리발달에 있어서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됨

-좋은 대상에 대한 죄책감을 수반하는 우울적 고통은 회복의 소원들과 좋은 내적 대상을 회복시키는 환상들을 외적

 및 내적으로 활성화시키는데이러한 소원들에 좋은 내적 대상의 확립이 달려있다.

-논문 <애도와 조울상태와의관계(Mourning and Its Relation to Manic-Depressive State, 1940)>에서 우울적 자리에

 관한 연구를 확장아이들이 어떻게 내적 세계를 형성해가며그들의 증오심과 가학성이 활성화될 때 좋은 대상들이

 어떻게 외부적 및 내부적으로파괴된 것으로 느껴지는지그리고 자신의 사랑으로 그것들을 제거하기 위해 어떤 

 시도를 하는지에 관해 서술.

-이 과정에서 아이의 기대에 어긋나지않게 다시 타나나는 어머니와 그녀의 돌봄은 필수적.

 이것은 아이에게 대상들이 지니고 있는 능력과 탄력성을 확신시켜주며아이의 적대감이 갖는 전능성을 줄여주고

 아이 자신의 사랑과 회복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증가.

-어머니가 자주 보이지 않거나 어머니의 사랑이 부족할 때 아이는 우울적 박해불안의 지배를 받게 된다.

 

●        정상적비정상적인 성인의 애도과정에 관한 연구

-사랑하는 대상이 사라지는 것은 애도하는 사람안에 있는 우울적 자리의 갈등을 일깨운다는 것

-초기 편집적 공포와 우울적 공포에 노출

-편집적으로 의사나 간호사를 비난우울증적인 자기질책이나 자기비하

-조적방어기제 활성화상실의 고통에 대한 방어로서 무의식적 경멸과 승리감이 활성화이는 죄책감을 증가,

 마음속에 상실된 사람을 좋은 내적 대상으로 회복시키는 것을 어렵게 만들며고통과 애도의 기간이 길어지는 결과

-프로이트애도작업은 사랑하는 사람이 외부세계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거듭 재발견하는 현실검증을 포함.

-클라인프로이트의 관점그의 내면 세계 및 사랑하는 사람과 동일시되었던 최초의 내적 대상들의 상태

 관련되어 있다고 봄이 작업은 내적 대상의 회복이 이루어질 때까지 편집적 감정들로 퇴행하는것과 상실에 대한 

 조적방어들을 극복하는것을 포함.

-비정상적인 애도와 조울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애도의

    --공통점유아기의 우울적 자리가 재활성화.

                   이 조울상태과 애도상태는 유아 신경증에 의해 완화되는데이를 거치면서유아의 우울적 자리는 극복

    --차이점조울증 환자들과 애도과정에 실패한 사람들은 초기 아동기에 좋은 내적 대상들을 확립하지 못했고,   

                   그럼으로써 자신의 내적 세계를 안전한 것으로 느낄 수 없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정상적인 애도에 있어서는사랑하는 대상의 상실로 인해 재생된 초기 우울적 자리가 어린시절에 자아가

                   사용했던 것과 비슷한 방법을 통하여 다시금 수정되고 극복이는 실제로 상실한 사랑하는 대상을

                   내적세계안에 다시 회복이는 동시에 내면의 최초의 사랑하는 대상 (-좋은 부모)을 다시 확립하는것.

 

●        우울적 자리의 창조적인 측면

-우울적 자리를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서 자아가 좋은 내적 대상들로 풍성해지며,이 풍성한 자아가 승화와 창조적 

 노력을 위한 주요 원천이 된다고 보았다.

 

●        우울적 자리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논문 <초기의 불안의 관점에서 본 오이디푸스 콤플렉스(The Oedipus Complex in the Light of Early

          Anxieties)>에서우울적 자리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사이의 상호관계에 대해 서술

       --어머니의 젖가슴과의 관계가 구체적으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초기의 견해를 견지

       --어린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모두 또 다른 대상으로서 아빠의 페니스에 관심을 갖는다는 견해를 유지

       --아이가 환상안에서 어머니의 몸과 부모에 대해 공격하는것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견해를 유지

       --원래 증오가 우세해지는 상태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시작된다고 보았지만우울적 자리에 대한 이론을

         명료화하면서 자신의 견해를 바꾸었는데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시작을 우울적 자리의 일부분으로 보게 됨       

       --어머니가 하나의 전체대상으로서 아이에게 인식될때어머니와 아버지의 관계가 그의 환상안에 등장,

         따라서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우울적 자리의 틀 안에서 시작된다고 말할 수 있다.

       --어머니의 젖가슴에 대한 모든 관계는 환상 안에 있는 부모의 부부관계에 영향을 미치며역으로 오이디푸스적

         질투는 젖가슴에 대한 원래의 양가감정에 덧붙여져서 좋은 내적 대상으로서의 젖가슴과의 관계를 더욱 위험한

         것으로 만들수 있다.

       --우울적 자리에서 부모는 개별적으로 그리고 부부로서 아이의 좋은 전체 대상이며또한 아이의 환상안에서

         공격받는 대상이 되는데특히 성교를 통해 결합되어 있을때.

       --초기논문에서 클라인은 그런 공격들이 야기시키는 두려움에 대해 묘사하였으나우울적 자리의 중요성을

         발견하면서 그녀는 사랑과 죄책감 및 상실의 감정에 더 큰 비중을 두게 되었다.

-오이디푸스 소원을 포기하도록 만드는것:

       --프로이트거세의 위협을 통해 포기된다고 봄

       --클라인불안(거세 또는 사라짐죽음에 대한 두려움) + 부모에 대한 사랑과 그들을 해치지 않으려는 바램

 

●        프로이트와 아브라함

-우울적 자리에 관한 클라인의 연구는 프로이트와 아브라함의 연구를 계승발전시킨 것동시에 아이들과

 성인에대한 그녀의 연구의 결정체

      >>프로이트

-<애도와 우울증Mourning and Melancholia, 1917)>에서 우울증 환자의 자기 질책이 자아와 양가적으로 내사된 내적

  대상사이의 상호 질책임을 발견(우울증 연구를 통해서 처음으로 초자아의 개념을 형성하게 됨)

-우울증과 정상적인 애도를 구분

     --우울증내적 대상과의 관계를 뜻대상은 내사되며리비도는 내면으로 향한다.

                    자아와 이 내적대상과의 관계는 매우 양가적이며상호 고문과 질책의 관계가 자아안에 형성.

                    자기비하건강염려증적 상태자기질책을 초래

     --애도외적 대상의 상실을 뜻

                애도에서리비도는 점차 상실된 대상으로부터 떨어져나와 새로운 대상에게 투자 될수 있도록

                자유로워진다.

      >>아브라함

-조울증 상태에 대해 많은 연구를 했으며풍부한 임상자료들을 제공

-우울증의 근원을 유아기그 고착점을 유년 시절에서 찾음

-논문<정신장애의 관점에서 본 리비도 발달에 관한 소고(A Short Study of the Development of the Libido, Viewed in the Light of Mental Disorders, 1924)>

우울증의 고착점을 후기 구강기와 초기항문기 단계에 두었고이 단계에서 대상은 환상속에서 삼켜지고배설물로 변화되며바깥으로 축출된다고 함.

이런 활동에서 대상은 비록 전체로서의 어머니에게까지 확장되지만본래 부분 대상인 젖가슴이다.

-우울한 상태가 되는 일차적인 원인이 어머니와의 관계에 있다고 보았다(프로이트와 다른점)

-정상적인 애도가 우울증과 유사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

-애도에서는 우울증에서보다 상실한 대상과의 관계에서 증오심보다는 사랑을 더 많이 담고 있다.

-우울증 환자와 애도하는 사람 모두가 그리로 퇴행하는 일차적인 우울증primary depression이 존재한다고 가정

-조적상태를 방어로 보는 입장(프로이트아브라함 모두)에서 우울증과 관련시켰다.

          --삼켜진 대상에 대한 승리감(프로이트) / 이상화(아브라함)를 조적상태의 중요한 방어기제로 봄

-우울증에서는대상의 그림자가 자아에게 드리우지만조적 상태에서는대상의 밝은 광채가 자아에게 비추인다

 

●        우울증과 강박 신경증(아브라함)

-우울증의 고착점은 후기 구강기와 초기 항문기이다.

-강박증 환자는 대상상실의 위협과 관련된 본래적인 양가감정으로 고통받으며그러한 상실에 대한 방어를

 활성화시킴으로 결과적으로 우울증 환자가 된다.

-아브라함은 대상관계가 항문기 단계에서 시작된다고 추정

-우울증의 자기애적 측면부분적으로 내면화된 대상과의 관계에서 형성된 이차적 자기애.

-강조점의 변화생의 초기부터 존재하는 부분 대상관계에 대해 서술부분 대상을 향한 부분적 사랑이 있다고 함

-초기 및 후기 항문기적 활동에 몰두-->주된 성감대로서 항문의 출현 때문만이 아니라대상관계로부터 발생하는 

 불안때문이기도 한것으로 보았다고 가정이런 불안들은 항문기능에 더욱 관심을 갖게하고그것에 리비도를

 집중하게 한다.

 

●        클라인의 우울적 자리

-클라인의 우울적 자리에 관한 개념은 아브라함이 말하는 일차적 우울증primal depression”이라는 개념을 확장발전시킨것이다.

-그녀는 구강기와 항문기를 주로 자기애적 시기라고 간주했던 아브라함보다 훨씬 초기에 대상과의 관계가

 시작된다고 보았다.

-전체대상이 되는것을 양가감정의 경험과 우울불안이 등장하는것에 연관시킨다.

-가장 중요한 점은아브라함보다 우울적 자리가 보편적이라는 사실을 매우 중요하게 강조함으로써그 현상을

 정신병리와의 관련에서만이 아니라 정상적 발달과정과의 관련에서 연구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

-아이가 발달과정에서 성취해야 할 과제는 자아의 핵심에 좋은 젖가슴어머니아버지그리고 부모의 부부관계를

 안정적으로 확립하는것.

-이러한 내사들을 확립하는 일은 우울적 자리의 극복에 따르는 큰 고통을 수반.

-우울적 자리에 내포된 고통과 내적인 위협상황은 방어들을 형성하도록 하며그 방어들은 우울적 자리에 대한

 방어로서우울적 자리가 발달하지 못하도록 방해.

-우울적 자리의 개념은 그녀로 하여금 정신병적 병리와 신경증적 병리 사이를 보다 명료하게 구분할 수 있게 했으며,

 그 고착점들을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애도와 보상그리고 정상적인 창조과정의 연구를 위한 길을 열어 주었다.

 

  

좋아요
인기 포스팅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