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인의 미술관 사랑은 세계 최고라 해도 결코 과언이 아니다. 그들은 자국은 물론이거니와, 외국에서 문화재를 발견해도 절대 그대로 놔 두지 않았다.
![]() 법적 발굴 허가를 받은 후에는 전문가들을 총동원하여 문화재 발굴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트로이와 바빌로니아가 그랬고, 베르가마와 이오니아가 그랬다.
![]() 독일에 있는 미술관, 박물관을 모두 합치면 6,200개 정도가 된다고 한다.
![]() 이것은 미국(17,500개) 보다는 적지만, 땅 크기의 비율로 보면 독일이 훨씬 더 우위에 있는 것이다.
![]() 베를린에는 총 62개의 미술관, 박물관이 있다.
![]()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것은 199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으로 지정 된 박물관 섬이다.
![]() 오늘은 1904년에 개관한 카이저 프리드리히 박물관(Kaiser-Friedrich-Museum)을 소개한다. 1956년 부터는 빌헬름 폰 보데(Wilhelm von Bode)의 이름을 따 ‘보데박물관’으로 부르는 곳이다.
![]() 빌헬름 폰 보데는 현대 박물관학의 창시자로 독일의 미술사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 보데는 원래 괴팅겐과 베를린에서 법학을 공부하던 법학도였다. 그러다가 미술에 관심을 갖게 되자, 그는 베를린과 빈에서 미술사를 공부하게 된다. 또한, 시간이 나는데로 벨기에, 네델란드, 이탈리아에 있는 박물관들을 열심히 찾아 다니기도 했다.
![]() 열심히 연구한 결과 보데는 1870년 라이프치히 대학에서 미술사 박사학위를 받는다. 학위논문은 ‘프란스 할스와 그의 학교(Frans Hals und seine Schule)’에 대한 연구였다.
![]() 보데는 보조 큐레이터를 거쳐 1890년부터는 게멜데갤러리(Gemaldegalerie)의 관장을 지낸다. 게멜데갤러리는 카라바조의 ‘승리의 아모르’가 걸려 있는 문화광장 지역에 위치한 회화관이다.
![]() 1905년에는 프로이센 문화재단의 총감독이 됐다. 프로이센 문화재단 산하에는 베를린 섬의 5개 박물관을 비롯한 총 17개의 미술관, 박물관이 속해 있다.
![]() 당시 독일 제국의 황제 겸 프로이센의 왕이었던 빌헬름 2세(Wilhelm II)는 보데를 전적으로 신임했다. 그의 선견지명으로 사들인 미술품은 카라바조, 렘브란트, 프란스 할스 등 대가들의 작품이 주를 이룬다.
![]() 거기에 조각에 관한 식견도 상당했기에, 그는 50 권 이상의 책과 수많은 논문들을 발표했다.
![]() 그 중에는 피렌체의 조각가, 이탈리아의 청동 조각품, 이탈리아의 조각 등이 있으며, 독일 조각의 역사(Geschichte der deutschen Plastik)를 출간한 것은 광범위한 그의 저술서 중에서도 백미라 할 수 있다.
![]() 그래서 그런지, 보데 박물관에는 독일, 네델란드, 이탈리아 작가들의 조각품이 많이 전시돼 있다.
![]() 보데는 1929년 83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며, 그의 장례식은 카이저 프리드리히 박물관에서 거행됐다.
1956년, 동독정부는 빌헬름 폰 보데가 독일 미술계에 끼친 헌신과 행적을 기려 카이저 프리드리히 박물관을 보데 박물관으로 박물관 이름을 변경시킨다.
![]() 보데 박물관의 컬렉션은 보데가 심혈을 기울여 수집한 조각품들과 비잔틴 미술이 주를 이룬다.
![]() 작품을 하나하나 감상하려면 아래의 다음과 같다.
![]() Benedetto da Maiano의 옥좌 위의 마리아(Enthroned Madonna) ![]() Giovacchino Fortini 의 ‘Marquise Fabio Feroni’의 흉상. ![]() Antonio Bonvicino 의 십자가상(Crucifix). ![]() 독일 화가, 대 루카스 크라나흐(Lucas Cranach the Elder)의 아담과 이브(Adam and Eve, 1531년)’. ![]() 로히에 반 데르 베이덴의 ‘십자가에서 내려지는 그리스도(kreuzabnahme Christi)’. ![]() 안토니오 카노바(Antonio Canova)의 댄서(Tanzerin) ![]() 니콜라스 게르헤릍 반 레이던의 ‘단골스하임의 성모마리아와 아기 예수(1460 ? 1465).` ![]() 12세기 말엽 작품 니더바이에른, 독일(작자미상): 나귀를 타고 가는 예수 그리스도.
![]() 대천사 미카엘과 가브리엘을 거느린 승리의 그리스도: 애프스 모자이크(Apse Mosaic)라벤나, 545년). ![]() 페드로 롤단(Pedro Roldan)의 Mater Dolorosa Buste(1670/1675). ![]() 십자가, 피사(Pisa) 십자가의 길이: 390cm ![]() 15세기경 이탈리아 조각품, 이름없는 남자의 흉상(Bildnis eines Unbekannten). ![]() Donatello zugeschrieben(1386 - 1466)의 마돈나와 아기 예수(Mad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