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부

발제문(이수영 코치): 프로이트의 욕동 구조 모델

2019.09.20

과목상호주관적 관계적 정신분석의 이론과 역사

주제프로이트의 욕동 구조 모델

지도 교수신현근 박사                      

내용발제문                        

발제자이수영 ICC 코치

발제일: 9/16/2019

주교재:

Greenberg, J. R. & Mitchell, S. A., (1983). Object Relations in Psychoanalysi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정신분석학적 대상관계이론(1999). 제인 그린버그 & 스테판 밋첼(지음). 이재훈(옮김). 서울한국심리치료연구소.

 

 

지그몬트 프로이트욕동 구조 모델


   



 

-1900년까지 프로이트는 연구의 영역뿐 아니라 연구방법정신치료 방법도 창안

-인간 조건에 대한 프로이트의 근본적인 전망은 욕동구조모델에서 구체화핵심개념은 욕동.

-프로이트의 저작에서 쓰이는 욕동이라는 개념의 의미는 정신과 신체 사이의 경계를 나타내는 말,

정신이 신체와 맺고 있는 관련성 때문에 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자극의 원천을 지칭.

-’정신작용을 불러일으키는 요구이며정신적 기구의 활성체.(1905a, 1915a)

 

-하트만(Hartmann)과 라파포트(Rapaport)정신분석을 생물학적 과학으로 간주한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밝힘정신분석의 목적은 정신적 기제들을 이해인간의 정신적 삶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라는 방법을 설명하는 것.

 

-프로이트 이론에 대한 기계론적 해석은 많은 이론가들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음.

정신분석은 생물학적 과학이 아니며그것은 본질적으로 해석적 학문이라고 믿음정신분석은 사람들의 일상사의 의미를 밝히는 것으로 성립된다고 주장.

건트립(1971), 죠지 클라인(George Klein, 1976), (Gill, 1976), 홀트(Holt, 1965), 그리고 셰이퍼(Schafer, 1976)

욕동구조 모델은 욕동에너지와 구조적 개념들에 기반한 심리학을 의미의 심리학과 연결시킬 수 없기 때문에인간의 동기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

 

-기계적 욕동구조모델의 비판자들은 프로이트 이론을 해석하는 하트만과 라파포트의 관점을 어느정도 인정하면서도 생물학적 사고를 거부.

-셰이퍼는 정신기구가 마치 공간적으로 존재한다고 보는 프로이트의 경향과 이러한 접근이 가지고 있는 위험성을 지적.

-홀트는 프로이트 이론의 생물학적 뿌리들을 강조하면서생리학적 개념에 근거해서 에너지 개념을 비판

- ‘초심리학은 심리학이 아니다라고 하면서그의 개념들은 모든 심리학이 갖춰야만 하는 의도 및 의미의 함축을 갖지 못했다고 주장.

-욕동구조모델이 진정한 의미에서 모델이 되려면 의미론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프로이트는 생물학적 은유들을 사용하여 욕동구조모델을 형성그러나 프로이트가 생물학적 은유를 사용했다는것만을 강조하는 것은 그의 이론이 가지고 있는 심리학적 전망다시말해 일상사 속에서 숨은 의미들을 찾으려는 그의 이론적 면모를 놓칠수 있다프로이트가 기계적인 의미에서 설명적이라고 생각한 바로 그 원리들이 또한 해석적인 추진력을 제공그의 기제의 이론은 결국 의미론.

-인간의 기본적인 열정들에 대한 프로이트의 견해는 욕동구조모델에서 구체화그 기본적인 열정들은 근본적인 인간의 충동들을 나타낸다욕동들은 정신의 기제들일뿐만 아니라또한 그것들의 내용이다.

-프로이트가 과학적 심리학을 창안하겠다는 자신의 목표를 종종 언급하였지만또한 욕동이론을 의미론으로 보는것이 중요하다는 사실도 강조.

-그는 ‘원본능(id)의 힘은 개별유기체가 추구하는 진정한 삶의 목적의 표현이며’, 욕동들의 활동은 ‘삶의 현상 전체를 변화시킨다고 말했다.

-욕동구조모델의 초심리학적 공식은 대인관계적 교류정서환상과 같은 사건의 의미에 따라 결정그리고 그 사건들의 의미는 작용중인 욕동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본능적인 강제들과 문명의 반대 압력들 사이의 갈등과 그것에서 파생된 방어작용에 의해서 결정.

-초기 프로이트의 이론인 이중본능 이론에 따르면동기는 그것이 리비도적 욕동들에 의하여 지배될 때에는 성적인(혹은 관능적인)의미를 지니며자아 본능들에 의하여 지배될 떄에는 자기보존의 의미를 지닌다.

-그의 수정된 후기이론에서 이러한 동기들의 의미는 생명본능과 죽음본능의 성쇠에 따른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하여 결정된다.

-프로이트의 이론중에는 결코 바뀌지 않고 그의 저서들속에서 면면히 지속되는인간의 본질과 인간 경험의 기본적 구성요소들이라고 할 수 있는 어떤 근본적인 원리가 있다.

동일시개념과 현실원리와 같은 다른 이론적요소들은 비록 정신분석학의 기본 요소라고 알려져 있지만욕동구조모델의 본질적인 요소는 아니다.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적 이론은 세단계로 구분.

1)     1880년대 후기-1905브로이어의 카타르시스 방법을 채택한 것으로 시작관계구조모델과 어느정도 비슷한 방식으로 정서 및 방어의 개념들을 설명.

2)     1905-1910유혹이론(seduction theory)을 공식적으로 폐기한 시기로부터 시작욕동구조모델을 정의하는 많은개념들을 발전.

3)     1911년 이후: “정신적 기능의 두가지 원리들(Two principles of Mental Functioning, 1911a)”이라는 그의 논문과 함께 이론발달의 셋째 단계를 도입이 시점부터 관계적개념들을 이미 확립된 욕동모델의 구조안에 통합어떻게 조정전략들을 사용했는지를 가장 분명하게 보여준 시기.

 


항상성 원리정서 이론 그리고 방어 모델



-프로이트의 모델이 의미론과 기제의 이론을 동시에 포함프로이트의 가장 근본적인 가정들중의 하나가 항상성원리라는 사실을 고려할때 보다 분명해진다.

-항상성의 원리브로이어의 <히스테리아에 대한 연구>(The studies of Hysteria)에서 처음 등장.

-자극을 가능한 한 제로상태에 가깝게 유지하는것이 정신적 기구의 목적.

-고요함은 즐거운것이고흥분은 불쾌한것이며그러므로 우리는 자극수준을 낮추기위해 필요한 어떤 행동을 시작그 행동은 외부로 향한 것일수도 있고 내부로 향한것일수도 있다.

-프로이트의 항상성원리 이론은 신경학적개념들의 영향정신구조를 수로에 비유하는것에 의해 영향.

-항상성의 원리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가장중요한 문제는 그들에게 오는 자극을 제거하는 것.

그것은 욕동구조모델의 가장 기본적인 가정을 바탕으로 한것또한 그 가정을 강화시킨것.

-항상성원리는 인간은 이론적으로 그리고 임상적으로 하나의 폐쇄된 에너지 체계로서 간주할 수 있다는것관계적 모델의 보다 ‘개방된 체계들은 항상성원리를 필요로하지 않으며 그원리를 지지하지도 않는다.

-<히스테리아의 연구> “과학적 심리학을 위한 기획(The Project for a scientific Psychology, Freud, 1895a)에서브로이어와 프로이트는 그들의 매우 다른 이론적 관점들에도 불구하고인간행동은 항상성원리에 의하여 규정된다고 믿었다.

-어떤 특정한 사건과 관련된 감정이 외부환경 때문에 또는 도덕적윤리적 가치들과 갈등을 일으키기 때문에 방출되지 못하면그 감정과 연결된 사건은 병인이 된다.

-프로이트가 제안한 치료 방법은 이러한 이론적 가정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생겨난 것그는 억압된 기억들을 회복함으로써 카타르시스를 가능하게 한다고 생각다시말해사건이 발생했을때 질식되었던그래서 결과적으로 계속 신경증 증후들을 낳게한 갇힌 정서를 충분히 방출시켜야 하며그렇지 않으면 질병은 불가피하다는 것.

-프로이트는 자신의 전생애에 결쳐서 그의 이론안에 항상성의 원리가 가지고 있는 위치를 재조정.

-욕동모델이 완전하게 명료화되기 이전에는항상성원리에 의해 지배받는다고 믿었던 정신적 에너지의 양은다시 말해 방출을 필요로 하는 자극들은 바로 감정들이라고 생각되었다.

불러일으켜진 감정의 성격은 우리 자신의 성격과 사건자체의 성격에 의하여 결정된다.

-우리가 살고 있는 문화그것의 가치관과 가치 규범들은 우리가 어떤 감정을 받아들여야 할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그것들은 다시 어떤 감정을 방출해서는 안되는지를 결정하는데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따라서 가치 규범이 인정하지 않는 감정들을 초래한 사건의 기억은 억압그 기억은 병리적인 세력으로 남아있게 된다.

 

-프로이트는 ‘실제신경증(actual neurosis)’과 정신신경증(psychoneurosis)’을 구별.

실제신경증에는 불안신경증(anxiety neurosis), 신경쇠약증(neuraesthenia)이 속한다.

프로이트는 실제신경증의 발병원인을 환자의 현재생활에서 나타나는 성적기능장애의 탓으로 돌렸다.

그는 이러한 실제신경증이 생기는 기제를 성적물질의 축적과 그에 따른 화학적변형때문이라고 생각. (이 과정을 생리적인것으로 이해)

-프로이트에게 있어서 정신분석치료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정신 신경증그는 정신신경증이 수용될수없는 생각들과 그 생각들로 인해 감정을 방출할 수 없었기 때문에 생긴 결과라고 생각.

 

-외상(trauma)에 대해, “수용될수없는 생각은 나중에 그와 관련된 기억들과 함께 제거되어 분리된 정신적 내용물을 형성한다그러나 그 생각들이 맨 처음부터 분리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다그것들도 처음에는 사고의 주류(main stream of thought)와 소통되고 있었음이 틀림없다그렇지 않다면 그 생각들을 배제시키려는 갈등은 일어나지도 않았을것이기 떄문이다. ‘외상적이라고 할 수 있는것은 바로 그 갈등의 순간들이다".

 

-프로이트 이론의 첫 단계에서 수용 불가능한 생각들과 그로인한 갈등은 그것들의 원천이 무엇인지와 상관없이 병리적인 것으로 간주.

-히스테리에 대한 연구에 이어서 출판된 일련의 논문들에서프로이트는 정신 신경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어린 시절에 경험한 성적 유혹이라는 개념을 도입억압된 기억의 핵심은 사춘기 이전에 ‘성기 부분에 실제적인 자극이 주어졌던 초기 사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그것들이 현재의 경험속에서 나타나는 증후들의 원인이라는 것.

-프로이트의 초기 이론에 있어서 성의 위치는 순수하게 임상적 경험에 기반한 것완성된 욕동 구조모델에서 성은 모든 인간행동을 유발하는 동기적 힘으로 작용한다.


 

원망 모델



-<꿈의 해석>은 욕동구조모델의 발전과정에서 중요한 전환점정신적 기구의 작용들에 대한 일반화된 모델을 제시이 모델은 인간 행동을 유발하는 동기적 힘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진술을 제공하는데그렇다고 해서 완성된 그의 욕동이론의 특색이라고 할 수 있는 인간 행동의 동기적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아니다.

-프로이트는 ‘삶의 어쩔수 없는 상황들(exigencies of life)’은 작용을 방해한다고 주장이러한 방해들의 최초의 형태가 바로 ‘주요한 신체적 욕구들이라고 주장.

 

-항상성원리가 충족되려면 만족의 경험이 필요이러한 만족의 경험은 욕구에 의해 생산된 흥분과 연관된 기억이라는 형태의특별한 지각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따라서 다음번에 그 욕구가 발생할 때는 원래의 만족경험을 재구성하기 위하여 정신적 기구의 편에서 그 지각을 다시 불러일으키려고 시도한다프로이트는 이 충동을 원망(wish)’라고 불렀다원망의 성취는 그 지각이 실현됨으로써 이루어진다만족을 재경험하려는 최초의 시도는 그 만족에 대한 지각을 환각적으로 재창조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프로이트의 언어에서원망의 성취는 ‘지각적 동일성(perceptual identity)’을 창조하려는 노력으로 요약될수 있다지각적 동일성이란 보다 이전의 만족스런 상황이 현실이나 환상 속에서 재구성되는 것.

-1900년 프로이트가 제시했던 무의식의 내용은 전적으로 원망들로 이루어져 있다.

-원망들을 만족시키려는 내적인 압력에 의해서 형성모든 꿈의 동기적 힘은 무의식에서 찾아야 한다더 확장하면 모든 정신적 활동의 배후에는 원망들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정신기제의 관점에서 볼때, 1900년에 등장한 원망이란 개념은 후기 이론의 욕동과 같은 지위를 갖는다이 둘 모두는 내적 긴장을 만들어낸다.

-욕동이 후기 이론에서 동기적 세력이듯이원망은 이 전환적 단계에서 동기적 세력이다.

그의 후기 이론에서 금지된 욕동 파생물들(특정한 충동들)이 억압된다면초기이론에서는 금지된 만족 경험들에 대한 갈망들이 억압된다.

이 두 개념들 사이의 차이는 그것들의 내용에 있다즉 차이는 두 모델들이 뿌리를 두고 있는 핵심적인 가정들 속에 있다.

 

-프로이트 이론의 두번째 단계인 전환기가 끝나고 욕동 모델이 완성되자,

어떤 행동도 그 행동의 바탕이 되는 욕동(물론 원래의 충동에 대한 방어들과 더불어)의 특징에 의하여 자세히 설명될 수 있게 되었다.

-프로이트의 이중본능 이론은 더 이상의 환원이 불가능한 이중적인 동기적 내용들을 가리킨다.

<히스테리아 연구>에서 나타난 초기 모델에서 사람의 행동을 유발하는 구체적인 동기는 그 사람이 처한 상황에 의해 비롯된 것이지내적인 자극에 의해 결정된 것이 아니다.

전환기동안 그의 이론에서는 행동을 일으키는 일차적인 원인은 상황들이며 감정은 그로부터 발생한다고 본다.

완성된 욕동이론에서는 인간 행동의 동기를 결정짓는것은 욕동들이며상황들은 부수적인 요인으로 본다.

 

-<꿈의 해석>에서 나타난 과도기적 모델이 지닌 성격

-원망들은 ‘만족의 경험을 다시 체험하려는 갈망들이다그러나 이 갈망들은 이미 내적인 욕구가 만족되었던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발생한 것.

-그러나 이 전환기의 모델에서는 그 내적 욕구의 내용이 무엇인지가 분명치 않다그저 만족을 요구하는 이 주요한 신체적 욕구들로부터 나오는 만족을 얻으려는 최초의 ‘삶의 사건들을 말하고 있을뿐이다.

-그의 원망모델은 더 넓은 범위의 해석적 가능성을 열어준다.

-후기 모델과는 달리이 시기의 이론에서는 욕구의 내용은 결정되어 있지 않다그러나 그 이론은 무엇인가를 원망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과거에 한번은 내부의 욕구들이 어느정도 만족된 경험을 가져야 한다고 말하는 점에서 초기 이론과 다르다.

 


욕동 구조 모델의 등장



-욕동 개념이 처음 등장한 것은 <성욕에 관한 세편의 에세이>(The Three Essays on the Theory of Sexuality)

-욕동은 에너지의 원천이며정신적 기구의 활성제이다한 사람이 원망하는 것의 내용은마음을 자극하는 신체와 결부된 힘들의 작용에 의해서 결정그 힘들이 바로 인간의 본성을 결정짓는다.

-프로이트는 자신의 이후 연구에서 동기의 결정 요소로서의 욕동의 고유한 지위를 강조하였다.

욕동은 ‘정신 작용을 일으키는 요구이며, 모든 활동의 궁극적인 원인이며모든 정신적 활동은 무의식적인 활동으로서 시작한다라고 여러자기 방식으로 정의한다.

-이런 정의들이 본질적으로 의미하는 것은모든 인간의 행동은 결국 궁극적으로 하나의 독특한 질적인 특성을 지닌그리고 더 이상 나눠질 수 없는 본능적 원소를 갖는다는 것이다.

-전이 신경증의 분석에 대한 자신의 임상경험으로부터 나온 증거에 기초하여그리고 그가 ‘배고픔과 사랑 사이의 구별이라는 일반적인 구분에 따라프로이트는 본능의 내용을 설명그는 이러한 본능들이 일차적이고환원 불가능한 성적 욕동과 마찬가지로 일차적이고 환원 불가능한 자기보존 욕동으로부터 나왔다고 생각했다.

원망이론의 틀 안에서 내적 충동혹은 본능들의 내용을 성적 욕동과 자기보존 욕동의 두 욕동으로 설명했던 1905년도의 생각은 잠정적인 것에 불과그 후 앞의 이론을 수정해서 성적욕동과 파괴적욕동을 근원적인 본능 내용으로 보는 자신의 이중본능 이론을 수립한다.(1920)

 

-어린 아동들의 초기 성의 발달을 논의하면서, “성적인 목적은...외부에서 가해진 성감대의 자극을 만족감을 생성하는것을 통해서 제거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또 다시 성적 만족을 느껴보고 싶다는 욕구가 발생하려면적어도 한번은 과거에 그러한 만족을 경험해본 적이 있어야 한다…”우리는 이중 욕동이론에서보다 초기의 원망이론이 반복되고 있음을 알수 있으며프로이트가 보다 이전에 경험한 만족을 다시 경험하게 하는 지각적 동일성개념을 다시 사용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욕동이론에서는 원망이론에서와는 달리 쾌락의 본성을 엄격하게 정의한다.

쾌락의 본성은 정확하게 적절한 성감대의 자극을 통하여 성취되는 성적 만족에 있다이것은 초기 모델에서처럼흥분의 양적 방출을 허용한다그 흥분의 양은 결국 리비도의 양다시 말해 성적욕동의 에너지이다이 시기부터 프로이트의 이론은 정신적 기구를 활성화시키는 힘들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밝히고있다.

-프로이트의 욕동구조모델은 그가 이전에 주장했던 유혹이론을 일부 받아들이고 또 일부 폐기함으로써 발달플리스(Fliess)에게 보낸 편지에서 “아동의 성적 삶을 자극하는데 꼭 유혹이 있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왜냐하면 성적 자극은 자발적으로 그리고 내적 원인들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기 떄문이다"라고 말했다.

-일단 성이 인간 활동의 근저에 있는 내적인 힘으로 받아들여진다면유혹 개념은 이론적으로 축소되며 따라서 아동기 사건들의 중요성은 감소된다이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대상관계 문제들에 대한 욕동 구조 모델의 입장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

-처음부터 욕동구조모델은 이중 욕동이론이었다성적(리비도적욕동은 독립적으로 파생된 다른 욕동과 나란히 혹은 그것과의 갈등 속에서 항상 작용한다그러나 자신의 생애 전체에 걸쳐서 프로이트는 무의식과 신경증의 발생(대부분 그의 이론적 관심의 중심)에 관한 문제에 있어서 만큼은리비도적 욕동이 다른 욕동들보다 근본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첫번째 이중본능 이론을 수정한 후에도프로이트 이론의 초점은 성적본능의 표현들에 맞추어져 있었다.

-수정된 본능이론에서도 공격적 욕동은 첫번째 이중본능 이론에서의 자기보존욕동처럼리비도적 욕동의 발달단계에 상응할 만한것을 가지고 있지 않다.

-또한 프로이트는 자기보존 본능의 변천과정에 대해 이렇다 할 설명을 하지않았다.

대신 “신경증에서 자아가 스스로를 방어하는 것은 리비도의 요구들에 대한 대항이지 다른 어떤 본능의 요구들에 대한 대항이 아니라고 항상 생각해왔다"고 말한다.

-욕동이론에서 미처 설명되지 못한 영역들인자기보존 본능발달의 역사와 공격성 발달의 역사는 현대 정신분석학이 이론화하고자 하는 주요한 분야들이다.


좋아요
인기 포스팅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