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부

발제문(강성광 코치): 대상관계와 정신분석학적 모델들

2019.09.10

과목상호주관적 관계적 정신분석의 이론과 역사

주제: 대상관계와 정신분석학적 모델들

지도 교수: 신현근 박사                      

내용: 발제문                        

발제자: 강성광 ICC 코치

발제일: 9/9/2019

주교재:

Greenberg, J. R. & Mitchell, S. A., (1983). Object Relations in Psychoanalysi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정신분석학적 대상관계이론(1999). 제인 그린버그 & 스테판 밋첼(지음). 이재훈(옮김).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장 대상관계와 정신분석학적 모델들

 

대상관계


 

- 정신분석가의 일상적인 작업은 환자들이 타인들과 맺는 관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 분석 중인 환자는 누군가에게 말하고 있다. 그의 의사소통은 그가 지금 말을 걸고 있는 사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와 그가 그 상대와 맺은 관계에 따라 결정 된다.

- 정신분석학의 모든 이론들은 이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가장 초기 욕동이론에서, 프로이트는 욕동의 대상(넓은 용어로는, 욕동이 향해지는 사람), 욕동의 원천 및 욕동의 목적과 함께, 욕동의 본질적인 특징들을 좌우하는 요소라고 생각했다.

- 비록 대상은 항상 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욕동과는 별로 상관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지시된 대상과 연결되지 않고서는 욕동이란 것은 표현될 수 없다는 점에서 그것은 본질적이다.

- 욕동을 생리 적인 차원에서보다 심리적 차원에서 이해하는 한, 욕동은 그것으로 인해 촉발된 행위와 그것이 지시하는 대상을 통해서만 드러난다. 이러한 점에서, 모든 정신분석학적 지식은 개인이 타인들과 맺는 관계로부터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대상관계에 대한 정신분석적 연구의 어려운 점:

- 그러나 대상관계를 정신분석학적으로 연구한다는 것은 간단 한 문제가 아니다 환자가 말하는사람들의 행동이 다른 관찰자들이 말하는 내용과 똑같지 않기 때문이다.

- 이 사실은 최초의 정신분석 치료라고 할 수 있는, 안나 오(Anna O, Breuer and Freud, 1895)의 사례에서도 극적으로 드러난다. [안나는 자신의 담당 의사인 브로이어(Breuer)가 자신을 사랑한다고 믿었고, 그녀가 브로이어의 아이를 임신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브로이어는 그녀의 망상이 가지는 자신과 그녀의 관계에 대한 상호 역동적인 의미를 이해하지 못했다. 대신 난처해진 그는 서둘러 그녀의 치료를 종결지었다. 안나의 이러한 엉뚱한 반응을 해석한 것은 브로이어가 아니라 그의 동료인 프로이트였다. 프로이트는 관습적으로 결코 인정될 수 없는 내용을 담고 있는 안나의 망상에 용기있게 대처했다. 그리고 그는 사람이 타인들과 가지는 상호작용의 의미를 더 깊이 분석함으로써 안나의 반응을 해석 했다.]

 

전이와 대상관계:

- 프로이트의 전이 이론은 환자들이 말하는대상들이 반드시 외부세계의실제 사람들과 동일하지 않다는 사실을 분명히 지적하고 있다.

- 전이라는 개념은 과거에 환자가 맺었던 특정한 사람과의 관계가 다시 현재 그가 맺고 있는 대상(그것이 분석가, 친구, 연인, 부모이든)과의 관계 속에서 새롭게 재현되는 것을 의미한다.

- 사람들은 실제의 타자뿐만 아니라, 자신의 감정과 행동에 강력한 영향을 미쳤던 인물의 심리적 표상이라고 할 수 있는 마음속의 타자에게도 반응하며 그들과 상호작용을 한다.

- 전이라는 용어를 보다 기술적이고 제한된 의미로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전이(transference)가 일어나는 사례들은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사례: 분석 도중 실현 불가능한 성공을 쫓다 허송세월한 것이 부끄럽다고 고백한 한 중년 남자가 있었다. 그는 혼자 살고 있었는데 마침 그의 조카딸과 그녀의 남자친구가 휴일에 그를 방문하게 되었다. 방문을 앞두고 매우 긴장하면서 청소하고 준비하였다. 휴일이 지난 후 면담에서 그는 그아이들이 마치 부모의 감시를 받지 않는게으름뱅이얼간이처럼 하루 종일 침대에서 뒹굴었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모든 것이 순조로웠다하며 매우 오만하고, 경멸적이었고 마치 자신이 아래 사람에게 베푼다는 식이었고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 환자가 생각하는 손님의 성격과 실제 그들의 성격에는 관계가 없고, 손님 맞을 준비할 때 이 남자는 성내고, 비판적이며, 자기만 옳다고 믿는 부모와 상호관계를 하는 나쁘고 수치스런 행동을 하는 아이였고, 그 후 면담에서는 그 남자가 그러한 부모 역할을 가지고 있었다.]

- 이 사례의 환자는 자신이 경험한 모든 타인과의 관계를 하나의 유형(비판하는 부모와 수치스러운 일을 하는 아이)으로 해석한다.

- 이러한 관계 유형은 환자의 머리 속에서 존재하는 타자를 보는 하나의 틀의 역할을 한다.

 

내적 이미지:

- 우리들은 현실 속에 존재하는 사람의 성격과 그의 행동의 반응 양식을 보고 그 사람에 대한 마음속의 이미지(정신적 표상)를 세운다. 그러나 그마음속의 이미지에는 실제의 인물이 전혀 가지지 않고 있는 특성이 담겨진다.

- 실제 인물과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그 인물에 대한 이미지가 서로 다르다는 점이 정신역동 이론에서 중요한 이론적 문제였다. 정신분석가들은 이러한 이미지들을 다양한 이름으로 불러왔다. 내적 대상(internal object), 환상적 타자(illusory others), 내사(introjects), 인격화(personification), 그리고 표상적 세계( representational world)를 구성하는 요소 등.

- 심리적 경제(psychic economy) 안에서 그 이미지들이 갖는 기능 또한 논쟁거리이다. 그 이미지들은 실제 대상의 반응을 예측하는 막연한 근거가 되며, 그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 시켜왔던 경험들과 연결된 요소이며, 일종의 내면의 감시자로서 활동하는 비판적인 박해자들이며, 또한 압박과 고립의 시기에 나타나 내적인 안전과 지원을 보장해주는 구원자이기도 하다.

- 일반적으로 이론가들은 이러한 내적 이미지들을, 한 개인의 마음속에서 형성된, 자기 인생에서 중요했던 인물과 경험했던 관계들의 잔재라고 본다. 그 관계는내면화되고 앞으로 그 사람의 태도나 반응이나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

- 내적 이미지들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성격들은 정신분석 이론가들에게 어려운 질문들을 제기한다. 내적 대상들의 성격은 과거와 현재의실제사람들의 성격과 어떻게 연관이 있는가? 내적 대상은 한 개인이 다른 개인과 맺고 있는 관계 전반에 대한 지각적 표상인가? 아니면 그 타자의 특정한 측면과 성격들에 대한 지각적 표상인가? 어떤 조건에서 그 이미지들은 내면화 되며, 개인의 내면세계의 일부로서 그 이미지들은 어떤 작용을 하는가? 외부세계에서 살고 있는 실제 인물에 대한 이미지가 마음속에 생겼다면 앞으로 그와의 관계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정신적 삶 안에서 내적 대상들이 갖는 기능은 무엇인가? 다른 종류의 내적 대상들이 존재하는가? 실제 대상이 내면화되는 환경이나 절차가 달라진다면, 그로부터 형성되는 내적 대상들도 달라질까?

 

대상관계 이론:

- ‘대상관계 이론이라는 용어는, 가장 넓은 의미에서, 이러한 질문들에 대답하려는 시도들을 가리킨다.

- 대상관계 이론은 사람들은 외부세계와 내적세계를 동시에 살아가며, 어떤 이들에게 외부세계와 내적세계는 서로 상호 침투적인 것이고, 또 다른 이들에게 이 두 세계는 엄격하게 분리된 것이라는 임상적 관찰을 설명하려는 노력이다.

- 따라서 대상관계라는 말은 한 개인이 실제로 사람들과 맺는 관계뿐만이 아니라 그가 맺는 내적 대상과의 관계 그리고 그 내적 대상들이 가지는 심리적인 기능을 밝히고자 하는 이론들이나 이론들의 측면을 가리킨다.

 

대상관계라는 용어의 문제:

- 대상관계 이론에 대한 논의는대상관계라는 용어가 가지는 복잡성 때문에 어려운 일이 되었다. 왜냐하면 대상관계라는 용어는 맥락에 따라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지시적인 의미와 암시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뜻이 모호하고 혼란스럽다.

-  따라서 몇몇 연구자들은 몇몇 이론가들의 연구에만대상관계 이론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려고 한다. 때로는 오로지 멜라니 클라인의 이론 만올 호칭하는 말이 되기도 했고, 또 어떤 때에는 페어베언을 존경하는 의미에서 그의 이론만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클라인과 패어베언의 이론에 등장하는대상이라는 개념은 그 본질적인 의미도, 기원도, 내용도 다르다.

- 보다 최근에는 컨버그가 클라인의 개념과 주장에 영향을 받은 말러의 이론과 자아 심리학에 영향을 받은 제이콥슨의 이론을 통합한 그의 새로운 이론에 대상관계 이론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 대상관계라는 용어의 더 큰 문제점은 그 용어가 많은 저자들에 의해 의도적으로 논쟁적인 어투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고전적 욕동이론에서대상관계’:

- ‘대상관계라는 개념은 프로이트 욕동이론의 핵심적인 부분에서 나왔다. 비록 그의 후기 이론에서대상이란 말은 공격적 욕동의 대상을 의미하기도 했지만, 원래 프로이트의 용어에서대상은 물론 리비도적 대상을 말한다.

- 이런 점에서 프로이트가 사용한 대상이란 용어는 일상 영어에서 대상(object)이라는 말이 가지는 이중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가 말하는 대상이라는 단어는 사물이라는 의미와 함께 목표나 표적이라는 뜻을 동시에 담고 있다. 프로이트의대상욕동의 표적이 되는 사물이다.

- 프로이트는 대상이라는 개념을 욕동과 연결해서 사용했다.

- 이러한 대상과 욕동 사이의 분명한 연관에도 불구하고 프로이트의 고전적인 욕동이론을 받아들이지 않은 채, ‘대상이나대상관계에 대한 이론을 발전시킨 이론가들도 있다.

 

저자의 대상관계 개념 정리:

1. 정신분석의 역사 속에서 대상이라는 개념은 실제 외부세계 사람들과 내적으로 형성된 그들의 이미지들 모두를 포괄한 용어로 사용되어왔다. 이 용어가 가진 이러한 이중적인 의미는 모든 분석 치료에서 발생하는내면외부사이의 교류를 묘사 하는 데에 유용하다.

2. ‘대상이라는 말은 일반적인 용법에서도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론적 개념으로서도 다양한 의미들을 지칭하는 용어가 될 수 있다. 활동적인 대상들과 정적인 대상들, 호의를 베푸는 대상들과 악의를 가지고 있는 대상들, 살아있는 대상들과 혹은 이미 죽어버린 대상들이 거주하는 환자들의 대상세계에 대한 경험을 설명하는 데대상이라는 말은 적절하다. 왜냐하면 대상이란 말이 특정한 타자를 지칭하는 말이 아니라 일반적인 타자까지 아우르는 용어이기 때문에, ‘대상관계라는 말속에는 이미 타자들과의 관계에서 얻은 다양한 경험들을 포괄하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

3 ‘대상이라는 말이 일반적인 타자를 지칭하기는 하지만, 이 용어가 지칭하는 타자들은 실재하는 존재들이다. 이 용어가 가진 이러한 의미는 환자들이 내적 대상과 가지는 거래가 외부세계에서 일어나는 거래 만큼이나 경험적 사실성을 가진다는 점을 설명하기에 적절하다. 비록 현상학적 차원에서, 환자들은내적 대상들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경험하지만, 그 사실이 내적 대상 들이 물리적 실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내적 대상들은 외부세계에서 살고 있는 실재하는 존재도 아니고 마음속에 살고 있는 난쟁이들 같은 상상의 존재도 아니다.

4. 대상이라는 말의 일반적인 의미에는, 그것이 지속성을 가지고 있지만 사람들이 그것을 조종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는 뜻이 담겨져 있다. 대상은 다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다시 그려질 수 있다. 그것은 둘로 나뉘어지기도 하고, 다시 원래대로 고쳐지기도 하고, 심지어 파괴될 수도 있다. 그 용어가 가지는 이러한 의미 는, 대상들에게 미치는 심리내적인 작용을 지시하는 정신분석학적 개념들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며, 그러한 심리내적 작용을 보고하는 환자들의 경험을 설명하는 데도 적절하다.

 

정신분석 이론의 개념적 모델들

 

- 정신분석학은 본질적으로 해석적 학문이다.

- 정신분석 이론들은 임상 자료들과의 계속적인 변증법적 갈등 안에서 발전해왔다.

- 프로이트는 환자들의 임상 자료에 기초하여 자신의 이론을 발달 시켰다. 그 이론은 다시 새롭게 도출된 임상 자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 분석 과정의 본질적인 부분은 치료자와 환자가 공동으로 환자의 삶을 탐구하는 것이며, 환자의 삶 속에서 잃어버린 부분을 찾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이다. 그 잃어버린 부분들은 억압(repression, Freud), 부주의(Inattention, Sullivan), 포기된 행동(disclaimed action, Schafer), 자기 기만(self-deception, Fromm), 혹은 나쁜 신념(bad-faith Sartre)이라는 개념으로 불려 왔다.

- 정신분석학적 이론은 환자가 자신에 대한 설명 속에 빠져 있는 부분을 되찾게 하기 위해서 가능한 해석들을 제공한다.

- 각 이론은 환자의 복잡한 삶 속에서 환자의 경험의 넓고 다양한 영역 들을 왜곡시키는 특정한 부분들을 찾아낸다.

- 각 정신분석학적 이론의 기본적 개념들은 복잡한 인간 경험의 직물이 짜여지는 날실과 씨줄이 된다.

 

정신분석학의 학문적 위치:

- 정신분석학을 해석적 학문이라고 말하지만, 과학적 학문으로서의 신뢰성도 가지고 있다.

- 정신분석학 이론들의 틀 안에서 모델이라는 개념은형이상학적 헌신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 정신분석학적 이론들은형이상학적 헌신들을 바탕으로 세워 졌다. 왜냐하면 그 이론들은 네 가지의 근본적 문제들과 관련된 검증할 수 없는 전제들을 기초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 우선 제기되는 문제는 분석의 기본 단위가 무엇이냐라는 것이다. 기본 단위를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이론들이 각기 다른 모습을 띤다. 무엇이 일차적인 것이고 무엇이 그로부터 파생한 것인가? 무엇이 경험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들인가, 욕동(drives)들인가, 소망들(wishes)인가, 가치들(values)인가, 목표들(goals)인가, 타자들과의 관계인가, 동일시들(identifications)인가, 선택들(choices)인가, 행동인가? 또 한 사람의 성격을 형성하는구조패턴내용은 무엇일까?

- 분석의 기본 단위의 문제에 대한 대략적인 답이 나오면, 서로 연관을 가지면서 전문화된 자신의 이론적 영역을 확보하고 있는 다음 세 가지 차원에 대한 설명이 뒤따르게 된다.

- 1. 동기, 사람들은 무엇을 원하는가? 인간 행동의 밑바탕에 있는 지배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 2. 발달, 아직 인성이 형성되지 않은 유아로부터 어느 정도 고정된 인성을 가진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사건들은 무엇인가?

- 3. 구조, 무엇이 개인의 삶 속에서의 행동과 사건들과 관계들에서 나타나는 규칙들을 만드는가? 무엇이 과거의 사건들과 현재 의 경험 및 행동 사이를 매개하는가?


가장 중요한 대립 관계의 정신분석학적 모델:

- 정신분석학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대립관계는 본능적 욕동을 출발점으로 삼았던 원래의 프로이트 모델과, 개인의 타자들과의 관계로부터만 유일하게 구조를 전개시키는 페어베언과 설리반의 작업에서 시작된 포괄적인 대안적 모델 사이에서 발생했다.

 - 저자는 원래의 모델을 욕동 구조(drive/structure)모델이라고 부르고, 대안적 모델을 관계 구조(relational/ structure) 모델이라고 부를 작정이다.

- 이 용어를 선택한 것은 이들 모델들이 가지는 심층심리에 대한형이상학적 공약이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 모든 정신분석이론들은 개인의 성격을 유형화하는, 좀처럼 변하지 않는 독특한 심리적 유형들과 기능들이 있다고 전제한다. 그러한 유형들과 기능들이 인간의 경험을 조직 하고, 그 경험에 대해 어떤 행동적 반응을 보일 것인가를 결정한다. 대부분의 이론가들은 그 유형들과 기능들이 가지고 있는 일관성과 지속성을 강조하는 의미로 그 유형들과 기능들을정신적 구조라고 부른다.

- 설리반은구조라는 용어가 더 이상 변화하지 않은 이미 굳어진 체계라는 뜻을 가지고 있음을 지적 하면서 그 말 대신역동[dynamism]’이라는 단어를 시용하자고 주장했다.

- 저자는 구조라는 용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구성물이라는 공간적인 뜻에서가 아니라 라파포트(Rapaport)가 정의한 정신분석 안에서천천히 변화 하는 형태들이라는 뜻에서, 또 프리드만(L. Friedman)이 정의하는반응적 안정성이란 의미에서 사용한다.

좋아요
인기 포스팅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