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데 박물관을 나와 베를린 대성당((Berliner Dom)으로 발길을 옮겼다.
![]() 베를린 대성당 앞에 분수가 있는 정원은 루스트카르텐(Lustgarten)이다. 16세기, 궁전의 부엌 정원으로 만들어진 루스트카르텐은 ‘환희의 정원’이라는 뜻.
![]() 이곳에서 바라 보는 푸른색 돔형의 베를린 대성당은 아름답고 장엄하다. 하지만 전쟁이 없었다면 본래 대성당의 모습은 더 화려하고 웅장했다고 한다. 제2차 세계대전의 폭격이 그 모든 것을 폐허로 만든 것이다. ![]() 슈프레(Spree) 강 건너편 카페에서 바라 보는 대성당의 모습 또한 장대하다.
그런데 더욱 놀라운 것은 장대한 외관보다는 대성당 내부시설의 우아함 때문이었다.
![]() 유럽의 대성당은 금빛 찬란한 화려함을 내부의 특징으로 갖고 있기는 하지만,
베를린 대성당은 카톨릭 성당이 아니라 개신교인 루터교 교회이다.
안으로 들어 가면 햇빛이 쏟아져 내려 오는 돔 천장을 바라 보게 된다. 돔 모자이크는 산상수훈에서 팔복을 묘사한 것으로 50만개의 타일로 구성돼 있다.
중앙에는 노란색 스테인드글라스에 하얀 비둘기가 날개를 활짝 펼치고 있다.
하얀 비둘기는 기독교에서 성령(성삼위 중의 하나인 하나님의 영)을 상징한다.
중앙 제단에는 아름다운 원형 스테인드글라스와 붉은색 대리석 기둥, 금빛으로 수놓은 장식이 황홀하다.
독일의 교회 또는 성당의 고급스러움은 그 어떤 나라의 건축물도 따라 올 수 없는 우아함이 있다.
제단 옆으로는 113개의 레지스터와 7,269개의 관으로 이루어진 독일 최대의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돼 있다. 이것은 1905년, 빌헬름 자우어(Wilhelm Sauer)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자우어 오르간’이라 부른다.
사암 기둥으로 둘러싸인 본당 예배실에는 4명의 종교개혁자와 그들을 도운 선제후들의 조각이 새겨져 있다.
그 첫째가 독일의 종교개혁자이자 신학자, 마틴 루터(Martin Luter: 1483~1546).
둘째는 루터의 친구이자 독일의 종교개혁자인, 필립 멜란히톤(Philipp Melaneheton: 1497~1560).
세째는 프랑스 출신의 제2세대 종교개혁자, 존 칼빈(John Calvin: 1509~1564).
네째는 스위스의 종교개혁자, 울리히 츠빙글리(Ulrich Zwingli: 1481~1531) 이다.
그 맞은편에는 프로이센의 알버트 공작(Duke Albert of Prussia)의 조각과, 헤세의 영주 필립 백작(Philip I, Landgrave of Hesse), 브란덴부르크의 선제후 요하임 2세(Elector Joachim II of Brandenburg), 그리고 선제후 프레드릭(Elector Frederick the Wise of Saxony)의 조각이 있다.
특히 ‘선제후 프레드릭’은 루터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에 ‘바르트부르그 성’에 그를 은거시키고 그 곳에서 신약성경을 독일어로 번역하는데 전적으로 도움을 준 선제후였다.
종교개혁자, 울리히 츠빙글리는 ‘몸은 죽어도 영혼은 죽이지 못한다’ 라는 명언을 남긴 사람이다.
종교개혁자들이 서있는 예배당에서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는 매우 특별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