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부

발제문(이은숙 코치): 프로이트의 욕동 구조 모델 2

2019.09.29

과목: 상호주관적 관계적 정신분석의 이론과 역사

주제: 프로이트의 욕동 구조 모델 2

지도 교수: 신현근 박사

내용: 발제문 

발제자: 이은숙 ICC 코치

발제일: 9/23/2019

주교재:

Greenberg, J. R. & Mitchell, S. A., (1983). Object Relations in Psychoanalysi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정신분석학적 대상관계이론(1999). 제인 그린버그 & 스테판 밋첼(지음). 이재훈(옮김).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제2장지그문트프로이트: 욕동구조모델」2


A) 대상의본성과형성



*대상관계에대한프로이트의견해를살펴봄에있어, 사람들의심리적기능에미치는대상의역할과그대상의본성(대상이어떻게존재하게되는가에대한)을구분할필요를느낀다. 이구분을명확히해두지않으면이론들사이에서핵심적인차이를놓치게되어혼란에빠지게될것이다.


*욕동이론은초기의방어모델에서보다자신의충동들을억압하는데미치는사회적영향력을감소시켰다. 그것은이전시기보다대상관계가가지는영향력을축소시켰다는것이다. 욕동모델이등장한이후부터구조모델이성립되기전까지그의이론속에서타자들과의관계는보잘것없는역할을해왔다.


*구조모델은대상관계들이미치는심리적영향력을새롭게강조한다. 동일시개념(1917a, 1923a)이도입되고, 생애초기양육자와의관계로부터자아와초자아의구조들이발달한다는이론이전개되었다. 또한타자들과맺는관계들이설명되고, 오이디푸스기이전의대상과맺어진유대들이밝혀졌다. 따라서현실속에인물인이들대상은심리경제학속에서중요한역할을담당하게되었다. 이렇게프로이트가초기의관계구조모델을뜯어고친것은비판을받았지만그의이론속에서일어났던대상들의역할변화는놀라운것이다.


1.프로이트이론에서대상은무엇인가?

2.부모또는아버지, 어머니개개인사이의일련의상호작용들을내면화한표상인가?

3.돌보는이에게서아기가자신의정신적내용을담아주는‘그릇(container)’을발견함으로써생기는내적감각들의외재화인가?


만약후자라고가정하면, ‘대상’은그역할에상관없이구조이론의관계적모델밖에있게된다. 왜냐면이론속에서대상자체의발달과정은내적인욕동의변천과정으로설명될수밖에없기때문이다.


*프로이트가사용한대상개념은처음부터욕동개념과연결되어있었다. 우리는이개념이초기방어모델에서발달되어나온것이라고생각하지않는다. 욕동개념은저어개념보다뒤에나온것이기때문이다.


*프로이트의초기이론은특정한사회적상황안에서이루어지는관계를설명한다, 초기이론에서는대상개념은그어디에도찾아볼수없다, 후기욕동이론의‘대상들’과초기방어이론의‘사람들’ 사이에는결정적인개념적차이가존재한다. 그차이는대상이사람이어야할필요가없다는사실에있다.


*프로이트의「꿈의해석」에서제시된원망모델은그것의과도기적역할에걸맞게대상에대한새로운접근을예시한다. 원망의목적이‘지각된동일성’ 이라는주장은그원망이과거의조건을재확립하는것을목적으로삼는다는것이다. ‘지각적동일성’은과거에유아가느꼈던만복경험을가리키고, 만족을일으키는조건들은원망의내용에따라결정된다. 때문에대상과의필연적관련성을가지고있지않다.


*대상이란용어는, 프로이트의「세편의에세이」서처음나타난다. 대상에대한프로이트의첫번째정의는성적매력을느끼게하는사람을성적대상이라고부르자라고말했다.

(1905a, pp.135-136; 강조는원래저자의것) 그러나이개념은동성애에대한논의에서,“모든사람이특별한성적대상에애착을작는성적본능을가지고태어난다는피상적설명”을거부해야한다고주장했다. 그리고나서프로이트는유아는성적본능과성적대상사이의관계를실제보다밀접하게간주하는습관이있다고결론짓는다(1905a, pp. 140-141, 147-148).


*프로이트는“본능들과그변천들” 에서대상에대해언급한다. 프로이트가말하는대상은본능과관련해서가장변하기쉬운것으로서대상은원래본능과연결되어있다결과적으로대상은가능한만족을일으키는데특별히적합한존재일때만본능과연결된다...때문에대상은본능이만족을추구하는동안번이고변할있다그리고대상은본능의전치(displacement)의해서중요한역할을갖게된다.” (1915a, pp. 122-123; 강조는인용자의것). 우리는이러한설명에서대상은원망의만족을위하여, 원망이설정한조건들에따라결정된다는초기원망이론의흔적을볼수있다.


* 이수정된이론에서는욕동의특성이결정됨에따라, 욕동의특성에의해서대상의특성이결정된다.욕동이전치될수있다는것은대상이어느시점에서나쉽게변화할수있음을암시한다.


*대상이욕동에연결되어있지않다는사실은발달을시작하는생애초기는대상없는상태임을말한다. 프로이트는생애초기에대상없는상태가가능한가에대해분명한태도를보이기를주저했다. 그럼에도불구하고생애초기가‘자체성애적’이라고말함으로써, 대상없는상태가가능함을암시했다.


*자체성애적인상태라는것은유아초기에리비도분배의특성이라고할수있다. 그러나프로이트는「세편의에세이」에서다음의유명한구절을썼는데, 이는초기욕동의자체성애적인특성과는전혀다른견해를시사했다.



성적만족이영양의섭취와연결되어있는유아초기단계에서성적본능은

유아자신의신체외부에있는어머니의젖가슴에서성적대상을발견한다.

아이가만족을주는기관이아니라그기관을가진사람전체를지각하게

됨에따라본능은그대상을잃게된다. 최초대상상실이후성적본능은

대체로자체성애적이된다.그리고잠재기를지날때까지첫대상과가졌던

원래의관계는회복되지않는다. 따라서왜어머니의젖가슴을빠는아이가

모든사랑관계의원형이되는가하는질문에는충분한근거가있다. 대상의

발견은사실상첫대상의재발견이다(1905a, pp. 222; 강조는인용자의것).



*이구절은몇몇이론가들이프로이트이론과일부관계구조모델이론가들이이론사이의간격을메우려고사용했던부분이다. 그러나이것은공정한해석이아니었다. 이는프로이트의이론들과모순된다.


*프로이트는정신적기능의원리들이란논문에서(1911a) 블로일러(Bleuler, 1912)의자폐증개념을유아의최초의상태를나타내는표상으로사용했다. 쉬레버(Schreber)의사례(1911b)에서자체성애는유아가외부대상을선택하기전의발달단계를상징하는말로사용된다.본능들과변천” 에서도자체성애는정신적삶의처음시작’ 단계를가리킨다(1915ap.134). 이와같이프로이트의저술들은외부대상에대한관계가발달적으로성취된다는사실을일관되게보여준다.


*만일최초상태에서본능의대상이존재하지않는다해도그후에발견되어지는것이거나창조되어지는것임이분명하다. 프로이트는점점더대상이창조되어지는것이라는쪽으로생각하게되었다. 어린한스의사례에서, 한스는그를돌보아사람어머니에의해자신의성감대로부터쾌감을....얻었다사실상쾌감이이미대상의선택을지향하고있다” 고말했다. 이는어린아이들은“자신들의만족경험으로부터성적대상들을이끌어낸다” 는말과함께자기애(narcissism) 에대한논문에서반복된다(1914a, p. 87). 이내용은프로이트가나중에‘어머니를대상으로창조한다’는말로써, 가장명확하기표현한다(1926a, p.170; 강조는인용자의것).


*욕동이론의이러한설명들은원망모델에뿌리를두고있으며, 보다초기의만족경험들에의해규정된다. 그러나욕동이론은성적인욕동을전제로하기때문에, 초기경험들자체는대상에작용하고대상을구성하는욕동의성격에의해결정된다. 한대상을창조하느냐안느냐는그대상이얼마나훌륭히본능적목적을충족시키느냐에의해결정된다고볼수있다.


*여기서우리는대상관계에대한프로이트의전체적인견해를짐작할수있다. 삶의초기에는통일되고조직화된성적욕동이란존재하지않는다. 유아는대상을향하지않는욕동들을가진피조물이다. 자기보존욕동들과의비성적인관계를거쳐, 성적욕동들은자신의신체밖으로나아가돌보는사람의젖가슴이나팔과같은신체일부로향한다.


*이렇게자체성애가점차대상사랑으로변함에따라, 유아는보다많은만복과좌절을경험하게된다. 만족스런경험을통해유아들은만족이어떤것인가하는상(image)을만든다. 이러한만복들과그런만복을이끌었던조건들에대한연상이대상을형성한다.


*돌보는사람의신체일부로향하는부분욕동들인, 부분본능들(component instincts)을통해최초의대상이창조된다는사실은최초의대상이부분대상(part object)임을의미한다. 유아는자신의부분욕동이충족되는경험을통해자신의부분욕동을만족시킨어머니의젖가슴을부분대상으로창조한다. 유아가그욕동으로인해창조된대상은자신을바라보는어머니(mother-as-looker가될것이다. 유아는결코‘전체’ 어머니(whole mather)를지각하지못한다.


*프로이트의저술들에서는개인이맺고있는대상관계의성격은그사람이가진욕동에달려있음을분명히밝혔다.


어떤환자가독을지닌어머니(mother as poisoner)상을가지고있다면상은구강기단계에서그가경험했던어머니와의관계의성격을암시한다.


아버지가자신을유혹했다는여성환자의고백은현실에서그러한유혹이일어났다기보다이디푸스적인욕동들이그녀와아버지관계를지배한다는사실을암시한다.


*결론은부분대상을창조하는부분욕동은리비도적단계들에해당된다. 이리비도적단계들은사실상대상관계의내용을구성한다. 대부분의정신분석학이론가들과마찬가지로프로이트도성공적인심리발달의척도는전체대상과의일관된관계를확립하는능력이었다.


*욕동구조모델에따르면, 전체대상은분리된유아의성적충동들(이들각각은자신의부분대상을발생)이전체대상에집중할수있는하나의성기적성충동으로통합될때에형성된다.


*프로이트는집단심리학에서사랑이란? ‘직접적인성적만족을위해성적본능들의부분이대상에집중되는것에지나지않는다’ 라고말한다. 지속적인사랑을할수있는능력도초기의성적관심에서발생한다. 유아는방금사라진욕구가다시생기리라는것을확신한다이러한확신은유아가성적대상에게자신의성적본능을지속적으로집중하게만든다확신은대상에대한욕망이식는시기에도‘ 대상을사랑하게만드는일차적인원인이된다.”


*지속적인사랑의능력은승화(sublimation)의발달과도관계가있다. 이승화는어린시절의욕동대상들이었던가족구성원들과다정하고애정이있는관계들을확립하도록허용한다.


*관계모델이론가들은일반적으로전체대상과관계를맺을수있는능력을지각의발달과정과연결해서설명한다. 전체대상을창조하기위해서는우선대상표상과자기표상을분열시켰던세력들, 즉초기경험들을분열시켰던세력들을극복해야한다. 그과정을통해개인은실제로존재하는인물과어느정도비슷한통일성(unity)을가진상을만들어낸다.


*통일성이형성되면, 동일한사람에대한다양한감정들과충동들을성기적성으로집중된하나의지향성을가질수있게된다. 실제로이과정은거의자동적으로이루어진다. 따라서성기적성은전체대상과관계할수있는능력이성취되었음을나타내는자연스러운증거다.


*전체대상에대한관계모델의견해는욕동모델에서역전된다. 중요한발달적성취는초기의부분본능들과성감대들을성기의우선성아래에통합하는것이다. 만일이것이정말로성취된다면, 항상적대상이형성될것이다. 대상자체는구성요소들을하나의통일된성적본능안으로조직화함으로써얻어지는자연스러운결과물이다.


*욕동모델에서대상은욕동위창조물이기때문이다. 대상관계는욕동의목적으로남는다. 「세편의에세이」에서프로이트는“만일성적으로흥분되지않은사람의상감대가접촉에의해자극된다면쾌락의감정을낳는다.


*이러한진술을오늘의시점에서읽을때, 우리는프로이트가‘자극’이일어나는상호관계가얼마나중요한가를이해하는데실패했다는사실에당황하거나심지어충격을받을것이다. 그가실수로사람사이의상호관계의중요성을무시했던게아니다. 프로이트의환자였던도라(Dora)를비교해보자. (p.83-84)


*프로이트가「세편의에세이」에서주장한원리들이도라의경우에도적용되고있음을알수있다. 도라의반응이성감대의자극때문에생긴것이라고생각했으며. 그녀와K의관계를설명할수있다고믿었다. 하지만프로이트는도라의사례를잘못다뤘다는비판을받아왔다. 비판자들은프로이트의해석이욕동이론의바탕으로이루어졌고얼마나그의사고가욕동이론에영향을받고있었는지를간파하지못했다. 비록도라의사례가프로이트의초기저술에서왔고프로이트이론의절정기에출판되었음에도불구하고도라의행동에대한프로이트의해속에는일관된원칙이있었다고볼수있다.


*욕동구조모델은다른모델들처럼명확히정의된해석적체계를전제로하고있다. 이전제들은우리의주의상황을어떤측면으로행하게하고, 다른것으로부터는멀어지게한다. 프로이트는대상관계의본능적뿌리들에대해계속해서초점을맞춤으로써, 타자들과의관계가내적욕구들에의하여형태지어진다는귀중한이론적, 치료적통찰을얻었다.


*대상의본성과형성에대한프로이트의이러한이론적입장은그의초기이론부터훅이론까지일관되게유지되는주요한측면이다.





B) 욕동구조모델의근본적전제들과그것들의응용


B) 욕동구조모델의근본적전제들과그것들의응용


*욕동구조의전제들을통해프로이트가고심했던문제들이무엇이었는지를추측하고자한다. 또한현제정신분석학이론안에존재하는문제들을해결하는데욕동이론을응용해보고자한다. 프로이트의기본가정을정리하면다름=음과같다.


1. 정신분석학연구의단위는독립된존재인개인이다. 인간은아리스토텔레스가말한‘사회적동물’이아니다. 인간은자신의진정한잠재성을실현하는데사회조직을필요로하지않는다. 사회는이미완성된개인을보호해주지만, 그보호는개인이자신의가장소중한목표를희생한대가로얻어지는것이다. 프로이트이이론에서는사회적관계를떠난개인에대하여말하는것이필수요소다.


2. 사회적관계를떠난개인을연구의단위로보기때문에. 욕동구조모델은인간이라는하나의닫힌체계안에서에너지를유통시키는‘항상성원리’에대해말하는것이가능하다. 항상성원리는개체안의자극수준을가능한무(無)에가깝게유지하려는정신기구의목적으로말한다. 항상성의원리는자극의압력으로부터자유로운상태를성취하는것이라는가정을산출한다.


3. 욕동모델의완성과함께, 항상성원리에따라방출되는자극의본성또한본능적욕동의이론안에서개념화되었다. 비록인간행동을완벽하게설명하기위해서욕동을반대하는힘들에대해설명이있어야겠지만, 인간행동의동기는궁극적으로욕동에기원을두고있다욕동은인간의생물학적유전에기초한두개의독립된욕구들의체계로환원될수있다.


프로이트가인간해동의근원적동기라고말한두가지욕동중에서도성적인욕동이그의이론의중심이었다. 초기욕동이론이주로밝히고자했던것은성적욕동이어떻게작용하는가?라는문제였다.


4. 프로이트이론에서는본래적인대상, 처음부터개인과뗄수없이연결된인간환경으로서의대상이란존재하지않는다. 개인의욕동이만족경험과좌절의경험을통해대상을‘창조’ 한다. 프로이트에게있어대상은충동에따라오는것이지만. 관계적모델을추구하는이론가들에게충동은단지대상과관계맺는하나의방식일뿐이다.


*정신분석학이론들은현존하는자료들을폭넓게해석하려는다양한시도라고볼수있다. 이론의힘은그것의유연성과확장가능성에있다. 강력한이론은새로운정보를만들어낸다. 새로운이론은그것의기본전제하에새로운현상들을설명할수있는능력이있을때만성립된다. 이론과과학적자료들사이의관계는상호적이며, 만일그체계안에서새로운현상들을설명해낼수없다면, 어떤이론도살아남을수없다.


*프로이트는히스테리아등의전이신경증과강박충동장애들과같은정신적장애를가진상대적으로제한된환자집단을연구함으로써얻어진자료들을토대로자신의심리학적이론화작업을시작했다. 심지어앞에서언급한병리중에많은증상들을자신의연구대상에서제외시켰다.


*‘실제신경증’ 불안신경증, 신경쇠약, 정신병, 우울증은그의정신분석학에서다루어지지않았다. 잘못된성격형성과그로인해겪는생활상의고통의문제처럼, 오늘날에는정신분석학의핵심적인문제라고여겨지는것들이프로이트가욕동구조모델을형성하던시기에는관심의대상도되지않았다.


*연구영역의한계에도불구하고전이신경증에기반한이론을창안하지얼마가지않아서프로이트는개인적, 사회적발달을아우르는광범위한문제를다루기위해서자신의이론을확장했다. 결국그는거의모든정신병리의영역을다루었으며, 개인의정상적인발달의여러측면들을설명하고, 문명의발달과의미에대해저술했다. 그러나그의모든연구는욕동구조모델에기본전제를바탕으로하였다.


*현대정신분석학파들사이에서가장논란이되고있는문제들중하나는, 사람들을묶어주는유대의끈이무엇인가라는명백한대상관계의문제다. 보울비(Bowlby)는자신의연구(1958, 1969)에서이문제를직접적으로다루었고, 말러는암시적이지만본격적으로이문제를다룬다. 하트만(1939a)은이문제에특별히‘평균적으로기대하는환경’이라는개념에서찾아볼수있고컨버그(1976)는초기발달에미치는대상관계의역할에대한이론에서도찾아볼수있다. 설리반(1953)은주체와대상을연결시키는관계의끈에대한설명으로‘공동체적존재’라는개념에서명확히나타냈다. 설리반은이개념을통해타자들과의상호적관계가인간됨의가장근본적인요소라고주장했다.



*욕동모델의관점에서는사회적연결들은이차적인것이다. 사회적관계들은욕동에서발생한욕구들의방출을돕는타자들의능력에달려있고, 누군가그기능이매우적합하다고하더라고욕동개념안에서대상개념은그로인한특혜를주지않는다. 물론프로이트도사람들이형성하는사회적연결의중요성을간과할수는없다. 이문제는정신병리의영역을넘어서이론이가지는유연성에대한결정적시험대가된다.


*프로이트는여러저서들에서사회적관계들을다루었다. 「토템과타부」(1912-1913)에서그는자신의개인심리학의원리들을원시적사회조직에적용했다원시부족의많은관습들이무의식적인적개심근친상간적욕구양가성을통제하려는노력에서유래했다고보았다. 훨씬나중에「문명과그것의불만들」(1930)에서프로이트는사회자체가인간의선천적인본능적성향들을포기하도록강요했다고주장했다.


*인간의사회적관계에대한프로이트의가장포괄적인논의는「집단심리학과자아의분석」(1921)에서나타난다. 여기서프로이트는사람을한데묶는관계의본성을다루기때문에, 이책의내용은관계적모델이론가들의견해들에부합한다. 그는다음과같이말한다.

“개인의정신적삶은모델로서, 대상으로서, 돕는자로서, 적대자로서, 다른누군가와항상관련되어왔다. 그래서맨처음부터개인심리학은넓은의미에서사회심리학이기도하다.”


*그러나타자들과불가피하게관련을맺으며살아갈수밖에없는사실이개인심리학이결국집단심리학이라는사실을말하는것은아니다. 사실은그반대다. 프로이트는사회적본능은원시적인것이아니며, 근원적인것도아니라고주장한다. 그는오히려어떻게인간이자신의본능적충동들을만족시키는지를연구하는개인심리학이야말로사회적현상들을완벽하게설명해줄것이라고주장했다.


*이책에서프로이트는“집단구성원들이서로에게영향을미치는가?”

*“어떻게사람들이현재의그들의모습으로성장했는가?”라는심리학적중요한질문을던진다. 여기서한가지중요한점은 “어떻게감정이한사람에게서다른사람에게로전해지는가?”라는문제이다.


*예컨대, 설리반은중요한타자가느끼는불안이유아에게‘전염’ 된다고주장했다. 코헛은불안이외에도다양한감정들이공감된다고주장했다. 그러나사회심리학안에서는전영이라는개념도욕동구조모델에서는더근본적인요소로분석될수있었다.


*프로이트는다음과같이말했다. “우리가다른누군가의감정에신호들을알게될때, 우리도그와똑같은감정에빠지는경향이있다는사실에는의심의여지가없다. 그러나우리는얼마나우리는타인의감정에공감하지못하고그감정과는전혀다른방식으로반응하는가?”




좋아요
인기 포스팅 보기